2008년 12월 6일 토요일

12-07-일

KAMCO Injects 1 Trillion Won Public Funds in Savings Banks
1 trillion won public fund will buyoff insolvent realty project financing (PF) loans of savings bank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FSC) and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disclosed on December 3 of the Korea Asset Management Corporation’s (KAMCO) plans to purchase this month 164 plants with insolvency risks out of 899 projects with PF loans borrowed from 89 savings banks with either a repurchase or ex post settlement condition. The overall scale of PF loans lent by savings banks stands at 12.2 trillion won. 1.3 trillion won was borrowed by businesses that are scheduled to be acquired. It has been five years since the credit card crisis in 2003 when such large sum of public fund was injected to purchase insolvent obligations of financial institutes. Meanwhile 121 businesses with outstanding payments are listed as primary buyoff subjects among 189 businesses with loans scaled under 1.5 trillion won and categorized as holding deterioration risk due to sluggish businesse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in September and October. Businesses that have undergone 70 percent of land purchase will also be classified as acquisition subjects. FSC forecasted that if the PF loan scale is over 50 billion won, average 70 percent purchase rate will probably be applied, leveling KAMCO’s actual funding scale to 1 trillion won. KAMCO is to buy the weak PF loans partially in cash and the rest in subordinate or senior bonds. [Dong-eun Lee / JYJ]
U.S. hopes to agree on sampling in fresh 6-way talks: State Dept. By Hwang Doo-hyongWASHINGTON, Dec. 5 (Yonhap) -- The United States said Friday that it still hopes the next round of six-party talks will produce results on the verification protocol on North Korea's nuclear ambitions even though U.S.-North Korea talks failed to narrow differences earlier in the day. "I think it's safe to say that the North has agreed to put some things on paper. And what we're trying to do is make sure that all of those assurances and clarifications, as I mentioned earlier, are on paper, so that we can codify this and we can finish the work on the verification protocol," Sate Department spokesman Robert Wood said. Wood dismissed suggestions that North Koreans might not show up for the tentatively scheduled six-party talks in Beijing Monday. "So the negotiations on that will take place in Beijing, and hopefully, we will have a final verification protocol after that meeting," he said. Christopher Hill, chief U.S. nuclear envoy, concluded a two-day meeting with his North Korean counterpart, Kim Kye-gwan, in Singapore, but failed to announce a reconciliation on taking samples from North Korea's nuclear facilities. North Korea's denial that it agreed to sample-taking produced another deadlock in the six-way talks as the U.S. insists the sampling was agreed to in October. "I'm sure the negotiations will be, as usual, difficult," Hill said of the prospect of the upcoming Beijing talks. Kim, for his part, said that the Singapore talks helped clarify positions on the protocol, but added further discussions are needed before finalizing a verification regime. The North Korean vice foreign minister did not oppose another round of the multilateral nuclear disarmament talks, last held in July, although China, host of the talks, has yet to officially announce Monday's session. Wood said the talks are "scheduled to happen," adding, "I have heard nothing about any possibility of it not taking place."Hill will visit Seoul Saturday and then fly to Beijing Sunday for discussions with other parties to the six-party talks "in advance of the six-party heads of delegation meeting, which we expect to begin on December 8," Wood said. Hill is scheduled to return to Washington Wednesday.Labor union to rally nationwide to protest leader's arrest SEOUL, Dec. 6 (Yonhap) -- A major labor union warned it will hold nationwide rallies on Saturday to protest the police arrest of its fugitive leader wanted for spearheading illegal demonstrations against U.S. beef imports in the summer. Lee Suk-haing, chairman of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the more radical of South Korea's two umbrella labor unions, was apprehended in an apartment west of Seoul on Friday night about a month and a half after he slipped through a police stakeout of the temple where he'd taken refuge, police said. Lee was wanted for organizing massive candlelight rallies against a decision in April to resume imports of U.S. beef that rocked the nation. The government has insisted the protests were illegal. Several civic organizers, who were also wanted over the beef protests, were arrested in November.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said it will request an arrest warrant for Lee in the coming days on charges of violating the law on public assembly, to keep him for interrogation. Lee's union,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s, accused police of trying to suppress the labor movement. It said thousands of its members will gather in downtown Seoul and major cities nationwide in the afternoon to protest Lee's arrest and the government's pro-management policies. "Not only did this administration suppress citizens' candlelight movement against the people's will and democracy but also criminalized the fair struggles of union members trying to protect the people's right to health," the union said in a statement. Labor rallies have resurfaced in recent weeks as the Ministry of Labor planned to revise a temporary employment law, which unions say will worsen working conditions and job security. The ministry said it will submit a revision bill by December to extend legally allowed temporary hirings from the current two years to three to four years before temporary staff are given a chance to become permanent employees. Small firms need a more flexible labor market to survive in these difficult times, it says.Vershbow calls on S. Korea to agree to complementary arrangements to FTA By Hwang Doo-hyongWASHINGTON, Dec. 5 (Yonhap) -- Former U.S. ambassador to South Korea Alexander Vershbow on Friday called for Seoul to consider some "additional negotiations" over a pending free trade deal with the U.S. Neither side has openly discussed renegotiation of the trade agreement signed in June last year that is still pending in both countries' legislatures. U.S. President-elect Barack Obama and other Congressional Democrats, who control both houses of Congress, have been reluctant to discuss the deal due to the sensitivity of the issue during a U.S. presidential transition. Obama, however, has said he would not support the Korea FTA "as it is" and termed it as "badly flawed," saying South Korea exports more than 700,000 automobiles to the U.S. annually while buying about 5,000 U.S vehicles. Vershbow, who recently completed his three-year service in Seoul, told a seminar here hosted by the Korea Economic Institute that South Koreans need "to be open minded by showing flexibility as the United States showed on beef after the candlelight vigil." He hoped that the incoming Barack Obama administration will ratify a free trade deal with South Korea early next year if Seoul takes flexibility. Vershbow was talking about the U.S. having agreed to make new arrangements in June to limit shipments of U.S. beef to cattle less than 30 months old to reduce concerns over mad cow disease. The pro-U.S. conservative government of President Lee Myung-bak allowed resumption of U.S. beef in April, a couple of months after his inauguration, only to face months of street rallies against the U.S. beef whose imports were banned after the first mad cow disease was found in the U.S. in 2003. "Both sides are careful to avoid the word renegotiation, but some additional negotiations or complementary understandings about non-tariff barriers may be the only way to get the Korus FTA go through," he said. "It's realistic to make some kind of fixes we need."He supported early signing of the Korea FTA, citing its "economic benefits and strategic importance."Vershbow feared any failure to do that will result in the "questioning in reliability of partners."He also noted South Korea is still moving with the FTA with the European Union, Canada, Australia, China and Japan, "thereby reducing the U.S. opportunity in the Korean market and weakening our political standing in the region.""We will also forfeit the strong leverage the Korus FTA provides," he said. The former top U.S. diplomat in Seoul, who was replaced by Kathleen Stephens in September, was meanwhile confident that South Korea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U.S.-initiated global financial crisis. "I think Korea's fundamentals still are pretty strong," he said, citing South Korea's foreign exchange reserves and efforts to reduce trade deficits and make swap line arrangements with foreign governments. "South Korea was affected by the financial crisis quite dramatically in term of stock markets and exchange rate and we have certain confidence in Korea's ability to manage the situation," he said. "Koreans are doing the right thing."Police arrest welder suspected of starting warehouse fire ICHEON, South Korea, Dec. 6 (Yonhap) -- Police said Saturday that they arrested a man suspected to have caused a large fire in a cold storage warehouse south of Seoul that left six dead and one missing. The blaze broke out in the warehouse basement in Icheon, 60 km south of Seoul, shortly after noon on Friday and spread over nearby mountains, driven by strong winds. Firefighters put it down late at night. The accident happened less than a year after a similar warehouse fire killed 40 dead in the same town. Police said, like the previous accident, welding sparks caused the fire. A welder identified only by his surname Kang, was being questioned by police, they said. "He confessed that he was welding an entrance gate leading to a basement refrigerator with his assistant when the flame jumped to a panel," a police officer said. They initially tried to beat down the flames but had to escape, the officer said. Kang was a subcontractor for a company called Sams that was commissioned to manage the warehouse, police said. Police planned to question Sams managers over negligence allegations. Rescue efforts continued for one worker who was still missing. The fire also left two others and a firefighter injured. Icheon is home to many warehouses, due to its proximity to Seoul. The lack of firefighting equipment and emergency exits was blamed for the January accident.S. Korea to build 12 nuclear reactors by 2022 SEOUL, Dec. 5 (Yonhap) -- South Korea plans to build 12 new nuclear reactors and increase green energy output to meet domestic demand and help cut back on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government said Friday. The plan reflects annual demand forecasts for the next 14 years and the need to join global efforts to stop global warming,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said. Domestic power demand is expected to rise an average 2.1 percent every year from 2008 to 2022 to reach 500.1 billion kilowatt hour, up from 368.6 billion kilowatt hour last year. The measures will increase South Korea's atomic energy output from 35.5 percent of the total power produced in 2007 to 47.9 percent in the target year. Of the 12 reactors, eight are under construction or have been approved with four new units to be included in the building plan. The plan also aims to bolster green, reusable energy output from 1.1 percent of total electricity production to 4.7 percent. The ministry said that if the goals are met, the country will be able to cut greenhouse gas output by 24 percent while increasing energy generation by 16 percent. Reducing greenhouse gases is expected to take on greater importance as Seoul comes under pressure to join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who have pledged to actively fight global warming. South Korea is currently not obliged to cut greenhouse gases as a Non-Annex 1 member of the Kyoto Protocol.(LEAD) Seoul shares remain volatile before rate-setting meeting SEOUL, Dec. 6 (Yonhap) -- South Korean stocks are expected to move in a tight range next week as investors remain on the sideline ahead of the central bank's rate-setting meeting, analysts said Saturday. The benchmark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KOSPI) plunged 47.94 points, or 4.45 percent, this week to end at 1,028.13. The index fell below the 1,000-point mark at one point but rebounded immediately on bargain hunting. Market volatility grew as investors worry that the economy is fast lapsing into a slowdown, hit by the fallout from the global financial turmoil. Companies and banks are suffering from a worsening credit crunch, calling for government help. Global efforts are intensifying to shield the world economy from recession, with central banks of advanced countries lowering interest rates and governments announcing economic stimulus measures. "Such a credit crunch and recession factors have already been reflected in local stocks," said Kim Jung-hyun, an analyst at Goodmorning Shinhan Securities. "Market volatility will last for the time being but the downward move is slowly losing its momentum."Investors will turn their attention instead to a rate-setting meeting to be held on Thursday by the Bank of Korea, analysts said. The central bank is widely expected to cut its key interest rate by at least 0.25 percentage point after trimming the rate by 1.25 percentage points to 4.0 percent since October. Options will expire next week, which will serve as another factor that will determine market movements. "Direction will depend on whether the central bank's rate decision satisfies expectations and option expiry doesn't augment volatility," said Lee Seung-woo, an analyst at Daewoo Securities.KEPCO plans to cut workforce by 10 pct: sources SEOUL, Dec. 6 (Yonhap) -- South Korea's power monopoly Korea Electric Power Corp. (KEPCO) will slash its workforce by 10 percent in line with government efforts to overhaul public companies, sources said Saturday. "Under the government blueprint to enhance management efficiency in the public sector, a 10-percent reduction in workforce is being discussed," said an official at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He added that the process will be completed within three years. KEPCO is in talks with its labor union representatives and government officials over the corporate overhaul plan, sources said. The power monopoly currently employs 21,700. The state-run company reported a net loss of 325.3 billion won (US$220 million) during the third quarter of this year due to a weak local currency and higher fuel costs. KEPCO officials were not available for comments.요지부동 시중금리 내리려면 어떤 처방을…”
기사입력 2008-12-05 18:44 최종수정2008-12-05 22:19
꽁꽁 얼어붙은 금융시장, 도대체 어떤 처방이 먹힐까.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려도 고금리 현상이 계속되고, 돈을 풀어도 실물시장으로 흘러들지 않는 기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 개최를 앞둔 한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시장에선 한은의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관심은 얼마나 내리느냐다. 대체로 현재 4.00%인 기준금리를 3.50%로 0.50%포인트 인하하는 쪽에 무게가 실린다. 정부와 시장의 금리 인하 압박이 계속되는 데다 최근 해외 주요 은행들이 0.75∼1.75%나 끌어내린 만큼 0.75% 이상 내릴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약발 안 서는 한은 처방=미국의 리먼 브러더스 부도 발표가 있은 뒤 한은이 세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25%포인트 내렸지만 회사채 금리와 가계대출 금리 등 시중금리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다.요즘엔 한은이 돈을 풀어도 그 중 상당액이 한은으로 되돌아온다. 자금이 실물경제로 흘러들지 못한 채 한은과 은행 사이를 시계추처럼 오가는 형국이다. 지난달 말 기준 은행들이 한은에 맡긴 여유자금은 자그마치 13조원을 웃돈다. 이들 은행은 국고채 RP(환매조건부) 매각 입찰에 참여해 연 4%의 금리를 받고 7일간 한은에 돈을 맡기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연말결산을 앞두고 제 코가 석자인 은행들은 대출 문턱을 높이는 등 리스크 관리부터 챙긴다.채권시장 관계자는 “한은이 돈을 풀면 필요한 곳까지 돈이 흘러야 하는데, 신용경색으로 인해 은행들이 대출을 꺼리면서 이런 메커니즘이 무너졌다”고 말했다. ◆“약도 쓰고 수술도 해야”=한은 관계자는 “모두들 약(유동성)을 달라고 아우성이지만 아무도 수술대(구조조정) 위에 올라가려 하지 않는 게 근본 문제”라고 지적했다. 은행업도 사업이므로 옥석을 가려내는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이어 “한은이 돈만 풀어서 끝날 일이 아닌 만큼 관련기관 간 협력체제를 제대로 가동해 돈이 풀리지 않는 이유와 돈줄이 막힌 곳을 찾아내 과감히 도려낸 뒤 유동성을 투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권순우 삼성경제연구소 거시경제실장은 “지금은 무조건 돈을 풀고 금리를 내린다고 해서 시중의 자금난이 해소되지 않는다”며 “구조조정을 통해 살릴 기업과 퇴출할 기업을 가려내는 작업이 병행돼야 시장의 신뢰가 되살아나 자금 흐름이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지준율 인하 여부 주목=이번 금통위에서 지급준비율 인하가 단행될지 여부도 주목된다. 그간 은행들은 줄기차게 지준율 인하를 요구해왔다. 지준율을 요구불예금 기준으로 현행 7%에서 5%로 내릴 경우 은행의 지급준비금 부담액이 6조원가량 줄어든다. 그만큼 대출여력이 커진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 지준율 수준은 2006년 경기 확장기 때 유동성 과잉을 겨냥해 정해졌다”며 “요즘 같은 침체기엔 탄력적·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하지만 한은은 지준율 인하가 통화량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는 점을 고려해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3일 열린 임시 금통위에서 22년 만에 지급준비금에 대한 이자 지급을 결정, 은행의 대출 여력이 커진 만큼 이번엔 안건으로 채택되기 힘들다는 것이다. 홍진석 기자 gija@segye.com
Commercial Paper

An unsecured, short-term debt instrument issued by a corporation, typically for the financing of accounts receivable, inventories and meeting short-term liabilities. Maturities on commercial paper rarely range any longer than 270 days. The debt is usually issued at a discount, reflecting prevailing market interest rates.
Commercial paper is not usually backed by any form of collateral, so only firms with high-quality debt ratings will easily find buyers without having to offer a substantial discount (higher cost) for the debt issue. A major benefit of commercial paper is that it does not need to be registered with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as long as it matures before nine months (270 days), making it a very cost-effective means of financing. The proceeds from this type of financing can only be used on current assets (inventories) and are not allowed to be used on fixed assets, such as a new plant, without SEC involvement.
12조 풀었지만… 한은-은행 돈 놓고 핑퐁게임
시중 돈가뭄 왜 해소 안되나시중銀, 대출 손해 볼까봐 한은에 되팔아한은은 다시 매각… 주고받기 거래 악순환
김용식 기자 jawohl@hk.co.kr 문준모기자 moonjm@hk.co.kr
ImageView('http://photo.hankooki.com/newsphoto/2008/12/04/cocochoi200812042213410.jpg','GisaImgNum_1','default','260');

한국은행이 경기부양과 신용경색완화를 위해 시중에 돈을 '대량살포'하고 있지만, 이 돈은 고스란히 한은으로 되돌아오고 있다. 한은에서 돈을 받은 은행들이 이를 대출로 내놓지 않고, 한은과 주고받기만 반복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이 아무리 돈을 풀어도, 이 돈은 금융권에서만 맴돌고 있는 것이다.선뜻 돈을 빌려주기 두려워하는 신용경색 때문이지만, 어쨌든 단기자금시장엔 '돈 홍수', 중소기업엔 '돈 가뭄'의 모순된 상황은 좀처럼 개선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은행권은 한은과 '핑퐁'중한은과 은행들이 탁구 치듯 돈을 주고 받는 메커니즘은 이렇다.한은은 통화량 관리를 위해 매주 목요일 환매조건부채권(RPㆍ일정 기간 후 되사주는 조건으로 판매하는 채권)을 은행들과 거래한다. 은행권에 자금이 많으면 한은은 RP(보통 1주일 만기)를 매각해 돈을 흡수하고, 반대로 금융시장에 돈이 모자라면 은행들로부터 RP를 사들여 자금을 공급하는 식이다.평소 2조~3조원 수준이던 RP 매각규모는 10월말부터는 매주 10조~12조원으로 급증했다. 한은이 많은 돈을 풀었지만 별로 쓸 데가 없는 은행들은 이 돈을 RP를 통해 다시 한은에 넘겼고, 한은은 다시 돈을 풀고 은행들은 이를 되넘기는 '주고받기'가 계속되고 있는 것이다.10월 중순이후 총액한도대출 증액, 통화안정증권 중도환매 등으로 한은이 공급한 유동성은 총 12조8,000억원(12월1일 현재). 이 돈이 시중대출로 나가지 않고 거의 전부 RP거래를 통해 한은과 시중은행 사이를 오가고 있다고 보면 된다.4일 RP 매각 규모는 8조5,900억원으로 다소 줄었다. 하지만 1주일 사이 은행들이 대출을 늘림으로써 '노는 돈'을 줄였을 리는 없다. 그저 '대출은 안하고 쓸데 없는 머니게임만 반복한다'는 비난여론을 두려워 해, RP 대신 비공개 자금조정예금(은행들이 한은에 맡기는 하루짜리 단기예금. 이자가 기준금리보다 1%포인트 쌈)에 맡기려는 의도로 분석됐다.■ 핑퐁 왜 거듭되나근본 원인은 은행들이 새로 생긴 돈을 대출에 안 쓰기 때문이다. 대출을 늘릴 경우 요즘 가뜩이나 우려가 높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하락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고, 대출 부실화 가능성도 어느 때보다 높다는 것이다. 시중은행 자금 담당자는 "요즘처럼 신용 위험이 커진 상황에서 스스로의 유동성 확보도 어려운 은행들이 장기대출에 돈을 쓰겠냐"며 "당분간은 여유자금이 생겨도 RP에 묻어두려는 수요만 늘 것"이라고 말했다.결국 해결책은 은행들의 대출공포를 줄여주는 것이라는 지적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일각에서는 한은이 돈을 안 풀어 문제라고 하지만 정작 문제는 풀어도 돈이 돌지 않는 신용경색 상황"이라며 "신용보증기금 등을 통한 보증 확대와 은행 BIS 비율 안정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보증기관 역할키워 막힌 대출 뚫기정부, 수출 中企에 100억까지 보증정부가 4일 내놓은 '중소기업 유동성지원 추가대책'의 골자는 "보증을 통해 막힌 중기대출을 뚫겠다"는 것이다.정부가 이미 대규모 유동성지원을 약속했지만 돈이 시중에 돌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은 좀처럼 풀리지 않고 있다. 시중은행 역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부담 때문에 위험도가 높은 중소기업에 돈을 내주기가 쉽지 않다고 호소한다. 따라서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등 양대 보증기관의 역할을 강화해 은행의 부담을 줄여주는 것만이 돈을 돌게 할 유일한 해법이라는 게 정부 판단이다.전광우 금융위원장도 이날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열린 UBS코리아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정책금융기관을 통한 자금공급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자산관리공사(캠코), 신보, 기보 등 정책금융기관의 자본을 확충해 시장안정에 활용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지난달까지 키코(KI-KO)손실 기업에 유동성 지원이 집중됐다면 이달부터는 수출기업 등 일반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으로 지원이 확대되는 모양새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달까지 지원을 신청한 키코손실 기업 중 절반(283개사)이 6,918억원을 받았다. 그러나 일반기업은 1,405개사가 지원을 요청했으나 232개사만이 유동성 지원을 받은 상태다.정부는 중소기업의 수출금융 지원을 위해 보증기관의 수출자금 보증지원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수출자금 보증한도를 기업당 100억원, 보증비율은 100%까지 늘리기로 했으며 시중은행에 한정된 지급보증의 보증 취급기관도 농협과 수협으로 확대키로 했다. 그 대상이 농협과 수협까지 확대되면 기존에는 수출입 절차 때문에 어려움을 겪던 농ㆍ수산업 관련 영세업체도 보증기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외환위기 이후 처음으로 실시되는 소상공인 담보대출 특별보증도 눈길을 끈다. 제조업과 건설업, 운송업, 광업의 경우 상시 근로자 수 10인 미만, 기타 업종은 5인 미만이면 소상공인으로 분류된다. 정부는 소상공인의 담보대출 보증을 통해 은행들이 BIS 비율 하락 부담을 덜 수 있어 적극적인 만기연장과 신규대출에 나설 거라고 판단하고 있다.문제는 재원이다. 일단 정부는 시중은행의 보증기관에 출연하는 '특별출연보증제도'를 도입키로 했다. 우선 신보와 신한은행이 1,000억원 규모로 협약을 체결하고 8일부터 거래 중소기업에 대한 보증을 시행할 예정이다. 보증기관은 기본재산의 최대 20배까지 보증을 설 수 있기 때문에 그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그러나 중소기업 보증재원을 시중은행을 통해 마련하는 것은 문제다. 중소기업문제는 국가경제 및 고용안정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기본적으로 정부재정으로 풀어야 한다. 내년 예산에 신보ㆍ기보출연금을 대폭 증액함으로써, 정부가 의지를 갖고 신용경색을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다.전문가들은 이 같은 보증확대가 중소기업 자금난을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주겠지만 옥석은 가려야 한다고 지적한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연구원은 "미국 패니메이와 프레디맥 사례에서 보듯 정부의 '마구잡이' 보증은 참담한 결과를 가져온다"며 "보증이 필요한 기업과 구조조정이 필요한 기업을 구분하는 정확한 잣대가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금융위 유재수 산업금융과장은 "이미 많은 경험을 통해 정밀해진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도 평가시스템을 통해 옥석을 가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이닉스 벼랑끝 회생하나
정부·채권단, 신규대출·유상증자 검토
박일근 기자 ikpark@hk.co.kr
정부와 채권단이 시장상황 악화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하이닉스반도체에 대해 지원에 나선다. 신규대출이나 유상증자가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5일 정부 과천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하이닉스반도체에 대해 은행 주주단 중심으로 해결책을 모색해 적극적으로 대안을 검토하고 문제가 생기면 정부도 대안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정부가 직접 지원할 경우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걸리게 돼 있다"며 "현재 주주단이 (지원을) 긍정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이와 관련, 거래 금융기관들로 구성된 주주협의회는 하이닉스에 대한 자금지원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주주협의회 관계자는 "하이닉스로부터 5천억원 지원을 요청 받아 주주협의회에서 검토 중에 있다"며 "주주협의회에서 지원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긍정적으로 지원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지원 방안으로는 신규대출과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 등이 검토되고 있다"며 "그러나 구체적 지원금액과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한편 지경부는 자동차, 조선, 유화, 반도체, 철강, 섬유,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일반기계 등 국내 주력 9개 업종과 소프트웨어를 합쳐 모두 10개 업종에 대해 현 상황에 따라 ▦그린(녹색-안정) ▦엠버(황색-주의) ▦레드(적색-위험) 등으로 구분, 각각 위기대응책을 마련중이라고 밝혔다.이 장관은 특히 석유화학부문에 대해 "과잉생산 해소노력이 시급하며 자율적으로 구조조정에 박차를 가해줬으면 한다"고 강조했고 자동차 분야에 대해선 "완성차 업계 뿐 아니라 부품협력업체의 경영안정이 위기대응책을 마련중"이라고 말했다.이와 관련, 지경부 관계자는 "중소조선업과 건설업, 해운업 외에는 아직 레드라고 볼 징후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對日 차입금 63%, 2010년 이후 만기
정부 "'3월 위기설' 근거.실체 없다"
(서울=연합뉴스) 박대한 기자
내년 '3월 위기설'과 관련해 국내 은행권이 일본계 은행에서 차입한 잔액은 107억 달러로 이중 63%는 2010년 이후 만기가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일부에서는 내년 3월 회계연도 결산을 앞둔 일본계 은행이 자금을 일시에 빼 가면서 우리 경제가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지만 그 가능성은 물론만기도래 규모도 작아 실제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분석됐다.6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현재 국내 은행이 일본계 은행에서 차입한 잔액은 106억6천만 달러로 은행 전체 외채(1천166억 달러)의 9% 수준으로 집계됐다.이중 내년 3월 말까지 만기가 도래하는 차입금은 12월 5억3천만 달러, 내년 1분기 11억1천만 달러 등 16억4천만 달러에 불과했다. 전체의 63%인 67억1천만 달러는 2010년 이후 만기가 돌아오는 것으로 나타났다.11월 말 현재 일본계 채권투자자금은 일본 외은지점 4조9천억 원, 일본 외국인 2천억 원 등 총 5조1천억 원으로 외국인(외은지점 포함) 채권투자 총액 90조7천억 원의 5.6%, 전체 상장채권(853조 원)의 0.6% 수준이었다.일본계 주식투자자금 잔액은 11월 말 기준 3조4천247억 원으로 국내 증시 전체 시가총액 596조 원의 0.6%에 그쳤다.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5일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3월 위기설'은 숫자상으로 전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김동수 재정부 제1차관은 "'3월 위기설'은 '9월 위기설'의 아류로 근거도 극히 미약하며 실체도 없다"고 지적했다.
원.엔 환율 폭등… 무역적자 심화
(서울=연합뉴스) 최현석 기자
엔화에 대한 원화 가치의 하락세가 멈추지 않고있다. 원.엔 환율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100엔당 1,600원 부근까지 치솟았다.엔화 대출을 받은 중소기업들은 원금이 배 가량 급증한 데다 대출금리까지 급등하면서 파산을 우려하는 처지에 놓였다. 원.엔 환율 급등이 대일 무역역조를 심화시켜 전체 무역수지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엔화대출 기업..고금리.고환율 이중고6일 외환시장에 따르면 5일 원.엔 고시환율은 100엔당 1,598.07원을 기록하면서1991년 고시환율 집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지난 9월8일 이후 석달 새 600원 이상 폭등한 것으로 1년1개월 전인 11월5일에 비해서는 배 이상 뛰었다.원.엔 환율이 급등하면서 엔화대출 기업들이 비명을 지르고 있다.원.엔 환율이 744.82원으로 9년10개월 만에 최저치였던 작년 7월9일 엔화로 10억원을 대출했다면 1년5개월 새 원금이 약 21억5천만원으로 11억5천만원 가량 급증하게 된다.최근 엔화대출 금리마저 급등하면서 이자 부담도 크게 늘어나 엔화대출 기업들이 이중고에 처했다.시중은행의 엔화대출 금리는 1년제 기준으로 작년 7월 연 4% 수준에서 5일 현재연 7.5% 수준으로 급등했다. 10억원을 빌린 경우 연간 이자 부담이 3천500만원 가량늘어나게 된다.국민, 신한, 우리, 하나, 외환, 기업은행 등 6개 시중은행의 엔화대출 잔액은 3월 말 이후 9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11월 말 현재 1조403억엔을 기록하고 있다.SK증권 염상훈 연구원은 "세계적인 신용경색에 따른 원화자산 매각으로 원화가 약세를 보이는 반면 엔캐리 자금의 회수로 엔화는 강세를 보이면서 원.엔 환율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며 "엔화대출 기업과 일본에서 부품을 수입해 조립한 뒤수출하는 기업들이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보이며 환위험 헤지를 한 일본펀드 투자자들도 불만이 많은 상황"이라고 말했다.◇대일 무역역조 심화 우려엔화의 강세는 일본 제품에 비해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주기 때문에 수출에 유리할 수 있다.그러나 최근 세계적 경기침체기에는 수출 확대 효과는 미미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오히려 일본에서 원자재나 중간재를 수입해 가공한 뒤 수출하는 한국 경제의 특성상 엔화 강세가 대일 무역역조만 심화시킬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대일 무역수지는 올해 들어 11월20일까지 303억달러 적자를 기록해 작년 연간 무역적자 규모(298억8천만 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1~11월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적자폭 133억4천만달러의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국제거시금융실장은 "우리나라는 제품을 중국에 팔던, 미국에 팔던 대부분 부품을 지리적으로 가깝고 기술력이 높은 일본에서 사오고 있기 때문에 원.엔 환율 상승으로 일본제품의 단가가 비싸지면 수출 가격에 전가할 수밖에 없다"며 "원화 약세에 따른 수출경쟁력 개선 효과는 미흡하지만 대일 무역적자가 심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윤 실장은 "일본 역시 과도한 엔화강세를 우려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과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통해 원.엔 환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환율 안정은 신인도 개선에도 도움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은, 기준금리 얼마나 내리나
(서울=연합뉴스) 윤근영 이준서 기자
한국은행은 오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또는 0.50%포인트 내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이는 경기 하강이 예상보다 빠르고 자금경색이 풀리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구체적인 인하폭에 대해 한은은 적지않은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0.25%포인트를 내리자니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0.50%포인트를 선택하자니 나중에 사용할 카드가 소진되기 때문이다.◇ 기준금리 0.50%포인트 내리나한은으로서는 0.50% 포인트 내리는 것이 부담스럽다. 현재 4.00%인 기준금리를 3.50%로 인하할 경우, 나중에 사용할 카드가 거의 없어지기 때문이다.한은 내부에서는 경제성장률, 소비자물가 등을 감안하면 기준금리의 바닥권은 2.5∼3.0%라는 시각이 적지 않다. 따라서 기준금리를 3.50%로 낮추면 그 이후 열리는 금통위에서 `금리동결'을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한은 관계자는 "경기침체가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장기전을 준비해야 한다는 시각이 있다"면서 "이는 한마디로 금리를 추가로 내릴 여력을 어느 정도 갖고 있어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게다가 기준금리를 내린다고 해서 경기에 큰 자극을 주거나 자금유통이 원활해진다는 보장이 없다. 현재 위기의 근원은 글로벌 신용경색과 경기침체에 있기 때문이다. 또 기준금리 인하는 원화가치 하락을 부추겨 환율을 끌어올리는 부작용을 초래한다.한은은 기준금리를 급속도로 내릴 경우에 지나친 유동성 확대로 인해 또다시 거품을 만들 수있다는 점에서도 걱정이 많다.◇ 0.25%포인트 선택 가능성은한은이 기준금리를 0.25% 내리는 것도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다.정부와 금융기관 등은 한은이 경제위기 대응에 미온적이라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기 때문이다. 마치 위기가 극복되지 않으면 그 책임을 한은에 돌릴 기세다.따라서 0.25% 포인트로는 정부와 시장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미국을 비롯한 각국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큰 폭으로 내리고 있는 것도 한은에는적지않은 압박요인이다.유럽중앙은행(ECB)은 최근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내려 2년 반 만에 최저치인 2.5%까지 낮췄다. 영국중앙은행(BOE)도 3%에서 2%로 낮췄고 스웨덴의 리크스방크도1.75%포인트 인하해 2%로 조정했다.벤 버냉키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최근 1%인 연방기금금리의 추가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오는 15∼16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최저 수준인 `0%대'에 진입할 가능성이 크다.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이 0.25% 포인트 인하를 고수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 "0.5%P 가능성 우세"전문가들은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내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인하폭에 대한 의견을 밝히는데는 신중한 모습이다.실물경기의 하강위험이 갈수록 커지고 있고 한은이 시장안정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모습을 보인다는 측면에서는 0.5%포인트 선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그러나 지난 10월 이후 1.25%포인트 내렸는데도 유동성이 돌지 않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만으로는 금융경색을 해소하기 어려운 만큼 기준금리 인하보다는 유동성 대책에 무게를 둘 가능성도 적지 않다.전효찬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경기 상황을 고려할 때 0.50%포인트를 인하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며 "0.25%포인트 내리는데 그친다면 추가인하에 대한 신호를 강하게 전달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반면 이정범 신영증권 애널리스트는 "경기 측면만 보면 0.50%포인트 이상 내릴 수 있지만 현재는 기준금리를 크게 낮춰도 시중 금리가 떨어지지 않고 있다"며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리되 시중유동성이 돌아가도록 하는 방안 등을 내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임지원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실물 쪽이 너무 안 좋아 0.50%포인트를 내릴 것으로 본다"며 "현 단계에서는 경기하강에 대응하는 게 우선"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0.25%포인트 금리 인하와 유동성 부분에 대한 미세조정 방안을 함께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배민근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금리 인하와 직접적인 유동성 지원책이 함께 필요하기 때문에 금리만 많이 내린다고 해결될 상황은 아니다"라고 지적하고 "특히 연말을 앞두고 환율 상승에 대한 부담이 있어 0.5%포인트 내리기는 부담스러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채상환 우려·정부 부인… 3월위기說, 9월과 닮은꼴?
[글로벌 경제 위기] 경기 침체로 국민 불안심리 높아한중일 통화스와프 등 대책은 필요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ImageView('http://photo.hankooki.com/newsphoto/2008/12/05/l391204200812052301450.jpg','GisaImgNum_1','default','260');

올해 9월 위기설과 내년 3월 위기설은 제기된 배경이나 실현 가능성 등에서 닮은꼴이다. 둘 다 해당 월에 만기 도래하는 외채가 일시에 상환 압력을 받을 경우 금융시장에 위기가 올 것이라는 내용이고,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이 계속 줄어들면서 단기외채 상환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된 것이 등장 배경이라는 점도 같다.정부가 적극적으로 위기 가능성을 부인하고 있고, 대부분 경제전문가들도 실현 가능성을 희박하게 본다는 점도 같다. 삼성경제연구소 전효찬 수석연구원은 "채권 만기가 집중돼 거의 비슷한 위기설이 나왔지만 가능성은 상당히 낮다"고 말했다.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9월 위기설은 만기가 도래해 상환 우려가 제기된 채권이 국고채, 외평채 등 국가 부채였지만 3월 위기설의 주인공은 은행들이 갖고 있는 단기 외채다. 또 9월 위기설이 나올 때는 리먼브러더스의 파산에 따른 글로벌 신용경색이 일어나기 전이었지만, 지금은 세계적으로 극심한 자금경색이 진행돼 전세계적으로 자금 회수가 실제로 발생하고 있는 시점이라는 것이 다르다.9월 위기설이 전체 외국인 보유 채권에 대한 위기설이었다면 3월 위기설의 경우 특히 '일본계' 자금 회수가 나타날 수 있다는 내용이라는 점도 차이가 있다.우선 내년 2ㆍ3월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에 만기 도래하는 외채는 각각 14억2,500만달러, 16억5,600만달러에 이른다. 9월에 돌아왔던 8조6,000억원의 국가 외채에 비해 절대 규모는 극히 작지만 9월에 은행에 만기 도래했던 채권이 6억2,000만달러에 불과했던 것과 비교하면 개별 은행에 주는 부담은 상당할 수 있다.한 시중은행 자금부장은 "국내 은행에 단기 외채를 빌려줬던 외국 은행들이 앞다퉈 자금을 회수하면서 현재 은행에 만기가 도래한 외채의 70%가 상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은행들은 한국은행으로부터 스와프 형태로 외화 자금을 빌려 근근이 갚고 있는 실정이다.이 같은 자본 회수 움직임이 연말을 지나 내년까지 지속될 경우 환율이 고공행진을 계속하게 되고, 국내 은행들의 외화 자금사정이 악화되며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을 지원하는 수출입 금융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달 초 국내 금융기관 중 처음으로 내년 성장률을 마이너스로 예측한 삼성증권은 "내년 3월 일본 은행들의 결산기를 앞둔 자금회수 시기에 환율이 1,500~1,700원으로 폭등할 것"이라고까지 내다봤다.그러나 이 같은 차이가 있다고 해서 3월 위기설의 실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하기는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 특히 은행들의 외채 중 '일본계 자금'의 비중은 매우 적은 것으로 확인됐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일본계 자금 회수라는 시나리오로 3월 위기가 전개될 가능성은 없다"고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이 같은 위기설이 계속 제기되는 것은 경기침체로 국민들의 불안 심리가 높아져 있고, 정부에 대한 신뢰가 갈수록 엷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부가 말로만 한중일 통화 스와프 운운하지 말고 외화 자금과 관련한 국민의 우려를 씻어줄 대책을 내놓는다면 불안감도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사설/12월 6일] 예산안 · 법안 밤 새워서라도 심의를
예산안 처리 법정시한을 넘기고도 분명한 타협점을 찾지 못한 여야가 국회에서 몸싸움까지 벌였다. 감세법안 처리를 둘러싼 원내대표 협상이 접점을 찾는 듯하다가 멀어지기를 거듭하는 사이 국회 기획재정위 회의장 앞에서 여야 의원과 당직자들이 뒤엉켜 밀고 밀치며 험한 말을 주고 받았다. 무엇 때문에 이런 추태까지 보이며 시간낭비를 하는지 답답하다. 그럴 힘과 정성을 예산안과 관련 법안에 대한 실질 심사에 쏟는다면 어느 야당 대표의 말처럼 "밤 새워 심의를 해도 시한을 지키기 어려운" 처지에는 이르지 않아도 됐다.그나마 김형오 국회의장의 중재로 12일까지 예산안 처리에 노력하겠다는 합의가 도출된 것이 다행스럽다. 아무리 일러도 15일 이전은 곤란하다던 민주당과, 애초에 합의된 9일 시한을 고수하겠다던 한나라당이 조금씩 물러나 한가운데서 접점을 찾은 결과다. 자칫 여야의 몸싸움만 확대되고, 결과적으로 강행처리로 흐를 수밖에 없었을 위기에서는 우선 벗어난 셈이다.기획재정위 조세심사 소위의 절충도 빛났다. 일단 마주앉아 실질 심의에 들어가기만 하면, 비록 치열한 논쟁을 벌이더라도 형식절차만 따지고 앉아 있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생산적인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소위에서 여야는 정부가 제출한 종합부동산세 및 소득세 등 각종 감세법안을 두고 한때 커다란 이견을 보이는 듯했지만, 제도의 취지와 감세효과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적절한 타협에 도달했다.종합부동산세의 경우 과세기준은 6억원 그대로 두되 1~3%인 세율은 0.5~2%로 낮추었다. 또 1가구 1주택자에 대해 3억원을 공제해 주고, 8년 이상 장기보유자 및 고령자에 대해서는 추가 감면 혜택도 주기로 했다. 1가구 다주택자의 양도소득세를 한시적으로 대폭 완화하는 내용의 소득세법 개정안도 마찬가지였다.핵심 쟁점인 감세법안이 합의된 만큼 12일까지 예산안과 감세법안 등이 처리될 전망은 한결 밝아졌다. 여야가 진정으로 민생과 국민경제 주름살을 펴겠다는 각오로 임한다면 아직 늦지 않았다. 밤을 새워 예산안과 법안 심의에 매달리기를 촉구한다.
은행주들이 유동성 지원 조치에도 급락했다.4일 코스피시장에서 KB금융은 전일보다 0.43% 하락했고 우리금융(-6.20%), 신한지주(-2.84%), 하나금융지주(-4.75%), 기업은행(-5.71%), 외환은행(-3.72%) 등도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한국은행이 전일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은행이 한은에 맡긴 지급준비금에 대해 5000억원가량 이자를 지급하고 환매조건부채권(RP) 방식의 공개시장조작 대상 채권에 주택금융공사가 발행한 채권을 포함시키는 등 은행 대출 여력 확대를 위한 조치를 내렸다. 이어 KB금융지주와 하나금융지주 등 금융지주들이 자회사 은행들의 자본확충에 잇따라 나섰지만 효과는 미미했다.증시 전문가들은 여전히 불안감이 남아 있는 탓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조치가 은행 대출 여력으로 바로 이어지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크다. 한국투자증권 이준재 연구원은 “연말까지 자본 확충과 증자를 통한 은행 자기자본비율 상승 효과는 1%포인트 정도로 추산된다”면서 “그러나 증자조차도 환율상승과 파생상품자산 증가로 효과가 반감되고 대출 확대로도 바로 연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은행의 미래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실 회사의 구조조정을 통해 실물로의 자금 공급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효과가 일회성에 그칠 것이란 지적도 나왔다. 대신증권 최정욱 연구원은 “이번 조치로 은행의 이자이익은 세전으로 약 3860억원 증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다만 매년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것이 아닌 올해 한 번만 지급하는 한시적 지급이라는 점에서 그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seilee@fnnews.com 이세경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신경원 기자= 단기자금시장 참가자들은 지난 4일 은행권의콜금리가 연 3.83%로 10bp 하락한 만큼 은행권의 신규 콜차입 수요가 크게 줄어들것으로 5일 전망했다.이는 한국은행의 환매조건부채권(RP) 매각 입찰 이후 은행권의 자금사정이 더욱풍부해진 영향이다.시중자금은 전날 RP 매각 만기분 12조원과 재정자금 3천억원이 공급됨에 따라 늘어났지만 RP 매각분 8조5천900억원이 한은에 납입돼 다시 빠져나갔다.외국계은행의 자금조정예금 인출분 3천억원이 시중에 공급됐지만 3천억원 규모의예금이 다시 한은으로 납입됐다.이에 따라 약 4조원이 시중에 풀리면서 4일 은행과 증권 등의 실세 콜금리는 6bp 하락한 연 3.91~3.92%를 보였다.자금시장의 한 담당자는 "은행권의 적수 잉여 규모가 지준마감일에 10조원 내외로 추산되는 만큼 은행권의 콜차입 규모가 크게 줄 것"으로 내다봤다.kwshin@yna.co.kr
은행시스템 정상화 ‘자구+지원’ 속도낸다
2008-12-05 05:15:00
정부와 한국은행, 은행권으로 이어지는 은행시스템 정상화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금융 지원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은행과 우량 기업간의 주식 스와프 추진에 이어 은행이 증자와 후순위채 발행 등의 자본 확충을 통한 자구 노력에 박차를 가하는 동안 정부와 한은은 측면 지원에 나서는 등 투 트랙(Two-track) 전략이 본격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4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은행들이 후순위채 발행과 증자 등를 통해 진행해온 자본 확충 규모가 올 4·4분기에만 10조원 가까이 달하는 등 연말까지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 11% 달성이 무난해 보인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545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한데 이어 이달 중 5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추가 발행과 9500억원의 증자를 계획 중이며 국민은행도 지난달 후순위채 1조5000억원을 발행한 데 이어 이달 중순 이후 KB금융지주의 지원을 받아 5000억원을 증자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2조원의 자본 확충과 현재 추진 중인 우량 대기업과의 주식 맞교환이 성사될 경우 올 연말까지 BIS 자기자본비율을 11%대 중후반까지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지난달 1조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한 데 이어 7000억원을 추가 증자해 4·4분기 중 총 1조7000억원의 자본을 확충할 예정이다. 정부는 한은을 통한 은행권 측면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은행은 전날 임시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은행들이 한은에 예치한 지급준비금에 대해 5000억원 규모의 이자를 지급하기로 했다. 이 경우 은행의 자본 확충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주택금융공사의 채권을 환매조건부(RP) 방식으로 매매하는 공개 시장조작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해 은행의 건전성 개선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이런 가운데 은행권에서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는 지급준비율 인하도 이번 금통위에서 본 의제로 다룰 계획이어서 통과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준율을 현재의 7%(요구불예금)에서 5%로 내릴 경우 필요한 지급준비금 부담이 6조원 정도 줄면서 은행들의 자금 여력과 함께 대출 여력이 그만큼 커지게 된다는 설명이다.민간경제연구소 한 관계자는 “현재의 지준율 기준은 지난 2006년 은행간 외형 경쟁과 부동산 광풍으로 벌어진 유동성 때문에 만들어진 것인 만큼 이제는 제자리로 돌아와야 한다며 시대적 상황에 맞도록 통화정책을 유연성 있게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dskang@fnnews.com 강두순기자韓銀 지원에도 은행주 하락





은행시스템 정상화 ‘자구+지원’ 속도낸다
2008-12-05 05:15:00
정부와 한국은행, 은행권으로 이어지는 은행시스템 정상화 작업이 속도를 내면서 금융 지원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은행과 우량 기업간의 주식 스와프 추진에 이어 은행이 증자와 후순위채 발행 등의 자본 확충을 통한 자구 노력에 박차를 가하는 동안 정부와 한은은 측면 지원에 나서는 등 투 트랙(Two-track) 전략이 본격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4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은행들이 후순위채 발행과 증자 등를 통해 진행해온 자본 확충 규모가 올 4·4분기에만 10조원 가까이 달하는 등 연말까지 국제결제은행(BIS)기준 자기자본비율 11% 달성이 무난해 보인다. 하나은행은 지난달 5450억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한데 이어 이달 중 5000억원 규모의 후순위채 추가 발행과 9500억원의 증자를 계획 중이며 국민은행도 지난달 후순위채 1조5000억원을 발행한 데 이어 이달 중순 이후 KB금융지주의 지원을 받아 5000억원을 증자할 계획이다. 국민은행은 2조원의 자본 확충과 현재 추진 중인 우량 대기업과의 주식 맞교환이 성사될 경우 올 연말까지 BIS 자기자본비율을 11%대 중후반까지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우리은행도 지난달 1조원의 후순위채를 발행한 데 이어 7000억원을 추가 증자해 4·4분기 중 총 1조7000억원의 자본을 확충할 예정이다. 정부는 한은을 통한 은행권 측면 지원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은행은 전날 임시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은행들이 한은에 예치한 지급준비금에 대해 5000억원 규모의 이자를 지급하기로 했다. 이 경우 은행의 자본 확충 효과가 기대된다. 여기에 주택금융공사의 채권을 환매조건부(RP) 방식으로 매매하는 공개 시장조작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해 은행의 건전성 개선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이런 가운데 은행권에서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는 지급준비율 인하도 이번 금통위에서 본 의제로 다룰 계획이어서 통과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준율을 현재의 7%(요구불예금)에서 5%로 내릴 경우 필요한 지급준비금 부담이 6조원 정도 줄면서 은행들의 자금 여력과 함께 대출 여력이 그만큼 커지게 된다는 설명이다.민간경제연구소 한 관계자는 “현재의 지준율 기준은 지난 2006년 은행간 외형 경쟁과 부동산 광풍으로 벌어진 유동성 때문에 만들어진 것인 만큼 이제는 제자리로 돌아와야 한다며 시대적 상황에 맞도록 통화정책을 유연성 있게 운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dskang@fnnews.com 강두순기자
서울=연합인포맥스) 신경원 기자= 한국은행이 4일 오후에 실시한 7일물짜리 환매조건부채권(RP) 매각입찰에서 8조5천900원이 연 4.00%에 낙찰됐다
풀린 돈 증시로 올까?
정부 채권 매입ㆍ韓銀금리 인하등 유동성 공급
전문가“최근상승 기술적 반등…美경제가 변수”
금융위기와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막대한 정책자금이 시중에 풀리면서 경기와 펀더멘털의 도움 없이 증시가 오르는 ‘유동성 장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반등 시 선제적으로 오르는 금융업종과 낙폭이 컸던 조선ㆍ건설업종이 최근 상승하자 돈이 돈을 만드는 랠리가 오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자금이 기업과 가계로 오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데다 자산가치 하락 폭이 커 실질적인 유동성 증가는 별로 없다는 지적이 많다. 전문가들은 “기술적 반등, 반짝 상승의 가능성이 전혀 없진 않지만 유동성 장세로 이어지기엔 너무 사정이 안 좋다”고 입을 모았다.
▶폭증하는 유동성, 증시로 돈 올까=4일 HMC투자증권에 따르면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지난 9월부터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통안증권 환매, 국고채 단순 매입, 채권시장안정펀드 등으로 시장에 풀렸거나 풀리는 정부의 정책자금이 57조9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도 지난 10월 이후 세 차례에 걸쳐 기준 금리를 1.25%포인트 내리며 유동성 공급에 일조했다.
세계 각국도 마찬가지여서 미국은 지난 9월 7000억달러의 구제금융법안을 통과시킨 데 이어 최근 자동차업계 등을 중심으로 추가 자금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12조엔)과 중국(4조위안) 역시 막대한 돈을 경기 부양에 쏟아붓는 실정이다.
각국 정부가 이처럼 돈을 풀자 최근 국내 증시 안팎에선 유동성 장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실제 지난 10월 말 9조원에 불과하던 고객예탁금이 지난달 초 11조원까지 늘기도 했다. 이달도 고객예탁금, 선물예수금은 각각 꾸준히 증가해 10조원, 8조1000억원을 돌파했다. 이종우 HMC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각국 정부가 적자 예산을 통해 지출을 확대함에 따라 내년 2분기께 풍부해진 유동성을 기반으로 유동성 장세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오재열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와 스웨덴의 금융위기 때도 단기 유동성 장세가 나타났다”며 유동성 장세를 기대했다.
▶기술적 반등에 불과, 미국이 변수=하지만 윤세욱 메리츠증권 센터장은 유동성 장세와 관련해 “금리 인하, 재정 지출 확대, 감세 등이 경기 침체의 폭을 줄이고 하락 속도를 완만하게 하는 효과는 있다”면서도 “경기가 이미 꺾인 뒤 자금이 풀리는 만큼 기술적 반등에 불과할 것”으로 봤다. 성진경 대신증권 연구원은 “개인을 중심으로 저가 매수를 노린 스마트머니가 늘고 있지만 자금의 방향은 주식시장이 아닌 현금 확보와 채무 상환 쪽으로 가고 있다”고 했고, 김성주 대우증권 연구원은 “시장에 대한 신뢰가 깨져 유동성 장세는 아무래도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3분기 이후 세계 금융기관의 자본확충액(아시아 국부펀드 포함)이 8730억달러에 달하나 모기지 관련 손실 상각분이 9680억달러로 부실 자산을 메우기에도 부족한 상태다. 김학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만약 유동성 장세가 온다면 그 출발점은 국내가 아닌 해외가 될 것”이라며 “미국 금융주의 신용리스크가 완화돼 악순환 고리가 약화되면 미국 시장을 시작으로 한 글로벌 증시의 반짝 상승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M&A 시장 위축이 구조조정의 걸림돌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인수합병(M&A) 시장의 위축이 향후 기업 구조조정 작업에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우리투자증권은 5일 ‘2009년 주식시장 및 경제 전망’ 보고서에서 “금융위기로 인한 실물경제 침체로 신규 사업 진출을 모색하던 기업 또는 사모펀드 등이 움츠리고 있어 M&A시장이 위축되고 있다”며 “향후 기업구조조정 작업에 난항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실제 지난 2일 동국제강이 쌍용건설 인수에 대한 결정을 1년 유예해 줄 것을 캠코에 요청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또한 금호생명을 상장하려다 매각으로 선회한 금호아시아나그룹과, 대우조선해양 인수 대금 마련을 위해 대한생명지분 매각을 추진 중인 한화그룹 역시 최근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우리투자증권은 지적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금융위기 여파로 재무위험 경감을 위한 기업들의 자산 및 계열사 등의 매각 움직임은 되려 빨라지고 있다. 지주사 체제 전환 등의 이유도 있지만 그룹차원의 유동성 확보 목적도 적지 않다.
두산그룹은 테크팩사업 지분 100% 매각에 따른 약 2000억원의 매각차익이 발생해 부채비율이 46% 감소했다. ‘처음처럼’으로 유명한 주류사업 부문의 경우도 매각대금을 검토 중이다. C&그룹 또한 최근 C&컨리의 자산인 컨테이너를 5800만달러에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뿐만 아니라 그룹내 핵심 사업인 건설사업 계열사 C&우방과 레저사업 부문의 C&우방랜드 매각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말 서울증권을 인수해 유진투자증권을 출범시켰던 유진그룹도 1년 만에 유진투자증권 재매각을 진행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은 “과거 IMF 이후 기업 구조조정 과정을 검토해 본 결과 ▷은행권에 이은 제 2금융권에의 추가적인 유동성 지원 ▷채권시장 활성화 위한 채권안정펀드 도입, 수급 안정화 대책 ▷기업 구조조정 10년 만에 부활, 건설업 옥석 가리기 본격화 등이 예상된다”며 “다만 기업 또는 사모펀드 등의 위축은 M&A시장의 위축으로 이어져 기업구조조정 작업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대연 기자/sonamu@heraldm.com

초고속인터넷을 비롯한 유선통신업계의 라이벌 SK브로드밴드와 LG파워콤의 증시 대결이 볼만하다.
두 업체는 최근 모두 큰 변신을 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코스닥 예비 대장주로 꼽히는 SK브로드밴드는 옛 하나로텔레콤이 SK그룹에 편입되면서 지난 9월 22일 사명을 변경했다. LG파워콤은 지난달 27일 전격적으로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뒤 통신업계 강자로 발돋움하려 하고 있다.
일단 SK브로드밴드는 이번달 5일 종가 기준으로 사명 변경 이후 주가는 신통치 않다. 9월 22일 6430원에서 5일 4955원으로 22.94%가 하락한 상태다. 그러나 거래량이나 거래대금에서는 연일 코스닥에서 톱 5를 기록하며 NHN이 떠난 자리를 메꿀 태세를 보이고 있다. 주가만 조금 뒷받침해주면 언제든지 명실상부한 대장주로서 등극할 수 있다는 평가다.
LG파워콤은 지난달 28일 6730원에 거래를 시작해 5일 현재 7090원으로 장을 마감해 4.46%가 올랐다. LG파워콤은 공모가가 5700원으로 거래 첫날부터 공모가를 상회해 거래되며 스타주로서의 ‘자질’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 수치를 두고 LG파워콤의 승리라고 보기는 어렵다. 상장한지 불과 일주일밖에 안됐기 때문에 조금 더 지켜보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금까지는 상장으로 인한 기대효과가 상당부분 주가에 반영되고 있다는 평가다.
예컨대 SK브로드밴드도 사명변경을 하고 초기에는 효과를 상당히 봤다. 하나로텔레콤에서 SK브로드밴드로 사명을 바꾸고 일주일이 지난 시점인 9월 29일 주가는 6450원으로 9월 22일보다 0.3% 오른 바 있다. 물론 상승폭은 크지 않지만 당시 미국발 금융쇼크로 국내 증시의 대부분 종목이 곤두박질쳤던 점을 생각하면 주가를 현상유지한 것만 해도 충분히 돋보이는 성적이었다.
아직 두 라이벌의 대결에서 승자를 가릴 수는 없다. SK브로드밴드가 코스닥에서 대표주가 되느냐, LG파워콤이 유가증권시장에서 주요통신주로 자리매김하느냐에 따라 앞으로의 경쟁구도가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태경 기자/unipen@heraldm.com

“정말 신호등이라도 세웠으면 좋겠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실물경제가 살얼음판을 걷고 있는 가운데 이를 매일 점검하는 기획재정부 모 과장의 말이다.
신호등이 있어 금융시장이나 실물경제가 위험수위에 오르면 빨간 불이, 위험수위에 임박하면 노란 불이 자동으로 켜지는 시스템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것.
그만큼 실물경제의 위험정도가 어느 수준까지 왔는지 가늠하기가 어렵다는 설명이다.
마침 지식경제부가 지난 5일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반도체 등 주요 9개 업종을 상황별로 ‘녹색’ ‘황색’ ‘적색’으로 구분해 지원책을 마련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나왔다.
물론 자동으로 켜지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색깔별로 측정해볼 수 있는 지표들은 마련돼 있다.
수요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자동차 업계와 중소 조선사는 ‘적색’으로 분류해 세금을 깎아주고 금융회사를 통해 자금도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동근 지경부 성장동력실장은 “어려운 업종으로 보고될 수록 그 업종이 더 어려워진다”면서 “아직 객관적으로 심각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신생 조선사나 자동차 업계 정도”라고 말했다.
업종별 ‘교통정리’에는 이윤호 지경부 장관이 직접 나섰다.
이 장관은 “자동차 완성차 업계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생산 기반인 내수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개별소비세와 환경부담금의 인하 또는 폐지를 관계부처와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임채민 제1차관이 발표하려던 것을 이 장관이 직접 나선 것.
이는 최근 수출이 급감하고 있음에도 실물경제 주관부처인 지경부가 적극 나서지 않는다는 여론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형곤 기자/kimhg@heraldm.com

1가구 다주택자도 내년과 2010년에 양도하거나 취득하는 주택은 양도소득세를 6~33%의 일반세율로 내면 된다. 종합부동산세는 1주택자로 5년 이상 보유시 20%, 10년 이상 보유시 40%를 세액 공제해주며 비수도권 소재 1주택에 대해서는 아예 종부세를 면제해 준다. 정부가 올해 세제개편안에서 제시했던 상속세와 증여세 인하는 보류됐다.
국회 재정위는 5일 정부가 지난 10월 2일 제출한 올해 세제개편안을 이 같은 내용으로 수정해 합의했다. 이번 수정에 따른 추가 감세규모는 2조2천700억원 수준이다.
합의안에 따르면 현행 다주택자에 대해 중과세하는 제도를 2년간 한시적으로 폐지, 2009년과 2010년에 양도하거나 취득하는 주택에 대해서는 양도세를 일반세율로 내도록 했다. 현재 2주택자는 양도차익의 50%를, 3주택 이상자는 60%를 내야했다. 단 다주택자에 대해서는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지금과 마찬가지로 적용되지 않는다.
종합부동산세의 경우 과세기준을 인별 6억원으로 조정하고 단독명의의 1세대 1주택자에 대해서는 기초공제 3억원을 인정해 9억원까지 종부세를 내지 않도록 했다.
하나은행 이신규 세무사는 "종부세만 감안하면 사례에 따라 다르지만 강남권 대단지 아파트의 경우 90% 가량 줄어들고 재산세까지 감안하면 보유세 부담은 40% 안팎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60~70세 이상 1세대1주택 고령자에게 10~30%의 세액공제를 해주는 것은 정부안 그대로 통과됐다. 1주택 장기보유 및 고령자 세액공제는 올해부터 소급 적용되면서 환급이 이뤄질 전망이다.
미술품 양도세는 과세대상을 점당 양도가액 6천만원 이상으로 상향조정하고 국내 생존작가 작품은 과세대상에서 제외하며 시행시기도 2011년으로 1년 늦추기로 했다.
신창훈 기자(chunsim@heraldm.com)

대림산업, 대우건설 등 20개 건설업체의 신용등급이 하향조정됐고 두산건설 등 5개사의 등급전망이 ‘부정적’으로 내렸다.
한국기업평가는 5일 평가를 맡고있는 47개 건설사의 1년 미만 단기자금인 기업어음 및 자산유동화증권ㆍ자산유동화 기업어음에 대한 정기평가를 실시하면서 이같이 개별기업들의 신용등급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신용등급이 하향된 건설사는 대림산업, GS건설, 롯데건설, 현대산업개발, 대우건설, 삼호, 대우자동차판매, 동양건설산업,쌍용건설, 한일건설, 극동건설, 경남기업, 벽산건설, 신일건업, 동문건설, 동일토건, 동일하이빌, 우림건설, 월드건설 등이다.
한기평은 또 두산건설, SK건설, 남광토건, 진흥기업, 풍림산업 등의 5개사의 등급전망을 ‘부정적’으로 내렸다.
한기평은 “주택수요의 위축으로 미분양주택이 급증하고 주택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있으며 프로젝트파이낸싱(PF)관련 자금부담도 늘어나고 있다”며 “이처럼 악화한 건설업계 경영환경과 전망을 고려해 건설사들의 신용등급을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기평은 또 “정부의 주택시장 규제 완화에도 단기간에 주택시장의 급반전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당분간 주택사업 성과와 위험 수준, 우발채무 해소 등의 자구노력을 모니터링해 신용도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이태경 기자/unipen@heraldm.com

엔화가 초강세를 보이며 원ㆍ엔 환율이 급등하며 다시 사상최고치를 경신했다.
그러나 원ㆍ달러 환율은 소폭 하락하면서 전날까지 3일째 이어진 상승세를 멈췄다.
5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에 대한 원화 환율은 전날보다 달러당 1.50원 내린 1475.5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환율은 3.00원 오른 1480.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해 1474원 선으로 밀린 뒤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1492.50원으로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주가가 급반등하면서 매도세가 강화되자 1469.00원까지 급락한 뒤 장 막판 낙폭을 일부 줄였다.
그러나 원/엔 환율은 오후 3시 현재 엔화 강세 영향으로 전날보다 100엔당 10.75원 상승한 1598.07원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 1991년 원ㆍ엔 고시환율 집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주가 상승 영향으로 환율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뉴욕 증시에 이어 코스피 지수가 장중 반등에 성공하면서 환율 하락을 견인했다.
최상현 기자/puquapa@heraldm.com

자본확충으로 실탄마련… 수출中企 ‘지원 0순위’
국책금융기관 공급
100조원 어떻게 마련되나
수출입銀ㆍ産銀등
이달 중 현물출자 마무리 방침
대출공급 25兆선박ㆍ플랜트등
대형프로젝트 지원
정부가 국책금융기관들의 내년도 자금공급과 보증지원 규모를 대폭 늘리기로 한 것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수출기업을 살려 경기를 부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내년도 국책은행들의 자금공급 규모는 92조7000억원으로 올해보다 15조원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신용보증기금 등의 보증총액도 올해보다 9조원 늘어난다. 이를 모두 합하면 100조원이 넘어 정부 지원금액은 사상 최대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금융기관에 대한 정부의 자본 확충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속도 내는 자본확충=정부는 이달 중순 이전까지 수출입은행(6500억원), 산업은행(5000억원), 기업은행(5000억원)에 대한 현물 출자를 모두 마무리 짓는다는 방침이다. 또 4조원인 수출입은행의 수권자본금 한도를 10조원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수권자본금 한도가 높아지면 추가적으로 현금 출자에 나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아울러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에 대해 추가적인 증자 방안도 정부 내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자본금 증액 규모를 당초 5000억원과 2000억원에서 7000억원과 4000억원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현재 국회에 기업은행의 수권자본금 규정을 법에서 정관으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기업은행법 개정안이 의원 입법안으로 발의돼 있어 통과가 주목된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정부는 주총을 소집해 언제든지 증자를 할 수 있게 된다.
▶어디에 쓰이나=국책금융기관들의 자금 지원 대상은 주로 수출 중소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출과 보증을 합한 수출입은행의 내년도 총여신 규모는 47조원으로 올해보다 6조원이 늘어난다.이 가운데 수출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를 위해 수은은 올해보다 1조원가량 늘어난 8조5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도 대출을 통한 기업자금공급액 25조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금액은 선박과 플랜트 등 중장기ㆍ대형프로젝트의 수출 지원(수출자금)에 사용할 계획이다. 나머지는 해외투자와 해외자원개발 지원에 주로 공급된다. 수출입은행은 대출 및 차입금 상환으로 총 12조9000억원의 원화 자금과 185억달러의 외화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자금공급 목표액을 28조원으로 설정했던 산업은행은 연말 대기자금을 고려할 때 공급 규모가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월 말 현재 운용자금이 12조5000억원에 달해 연초 목표액(7조5000억원)을 초과하고 있다. 산은은 내년 자금공급액을 32조원으로 책정했으며 이 가운데 운용자금과 시설자금을 합해 25조원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시설투자 부문, 중소ㆍ벤처기업의 성장기반 확충, 부품소재자금, 창업자금 등에 집중 지원된다. 가계를 위한 대출자금도 4조원에 이른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수출 기업당 최고 보증한도를 현행 30억원에서 100억원까지 확대하고 수출자금 보증비율도 95%에서 100%로 올렸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내년도 국책금융기관들의 자본공급 규모를 최대한 늘리기 위해 신속한 자본 확충을 마무리 지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상현 기자/puquapa@heraldm.com


한기평 조정에 업계
주가하락 우려등 초긴장
국내 3대 신용평가기관 중 한 곳인 한국기업평가가 전체 55개 평가회원 건설사 중 20여개의 신용등급 및 전망을 하향조정한다. 특히 한국신용평가와 한신정평가도 다음주부터 건설업종에 대한 등급 조정에 잇따라 나설 예정이어서 건설업계가 초긴장하고 있다.
등급이 조정된 업체들은 기업어음(CP) 및 회사채 발행을 주간한 은행ㆍ증권사로부터 조기상환요청권(트리거)을 받아 급격한 자금난으로 인한 부도위기 및 주가 폭락에 휩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주단 가입 등의 혼선 속에 정체돼 있던 건설업계 구조조정은 사실상 신용평가사가 주도하는 가운데 시장논리에 따라 진행될 가능성이 커졌다. 특히 유동성 압박에 시달리는 조선업ㆍ레미콘ㆍ시멘트업체 등의 등급 조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기업평가는 5일 오후 2시 평가를 맡고 있는 55개 건설사의 1년 미만 단기 자금인 기업어음 및 자산유동화증권(ABS)ㆍ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한 정기 평가와 2ㆍ3년 만기의 회사채에 대한 수시 평가를 동시에 발표한다.
이들은 대부분 시공 능력 순위 100위 내의 건설업체로, 향후 건설업 전체는 물론 유동성 위기를 겪는 타 업종에도 상당한 여파가 예상된다.
한기평 관계자는 “신용등급 자체를 하향조정하거나 향후 등급 전망을 낮추는 곳을 모두 포함해 20여개의 건설사 등급이 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기평이 평가를 맡고 있는 건설사 3곳 중 1곳의 신용등급이 하향되는 것이다. 예년 전체 건설사 중 10% 남짓(5~10곳)이 하향조정됐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3배 이상 증가한 숫자다.
이날 발표되는 건설사 중 유가증권 상장사는 27개이며 코스닥 기업이 6개 있다. 등급 조정 전 주요 건설사의 등급을 보면 롯데건설 현대건설 현대산업개발(A+), 대림산업 GS건설 포스코건설(AA-) 등이 상위 등급이다.
반면 투자 등급 하한선인 ‘BBB-’에 걸려 있는 극동건설 남광토건 동문건설 동일토건 벽산건설 우림건설 월드건설 이테크건설 풍림건설 등은 하향조정될 경우 투기 등급으로 바뀌어 자금 압박이 심화될 수 있다.
한신평은 이르면 8일 건설사 60여개에 대한 신용등급 조정에 나선다. 한신평은 다른 업종에 대해서는 신용등급을 한꺼번에 발표할 계획이 없으나 유동성 문제가 부각된 건설업계의 경우 동시 등급 조정을 하기로 내부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역시 50여개의 건설사를 평가하는 한신정평가는 아직까지 동시 발표보다는 연말까지 단계적으로 신용등급을 조정할 것으로 예상된다.
등급이 하향조정된 업체들은 당장 만기가 짧은 ABSㆍABCP에 대한 조기 상환 요청을 받게 된다. 단기 자금을 갚아도 자금 규모가 큰 회사채에 대한 상환 압박이 들어오면 막기가 힘들어 부도의 위험이 있다. 한 신용평가업계 관계자는 “주간 은행이나 증권사마다 판매계약 조건이 달라 일괄적으로 말할 순 없지만 조기 상환 요청이 들어오는 곳이 상당수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태경 기자/unipen@heraldm.com

姜재정 ‘위기설’ 거듭진화
정부가 일본계 금융기관의 자금 회수로 인해 한국 경제가 위기를 맞을 수 있다는 ‘3월 위기설’과 관련해 단호하면서도 거듭된 진화에 나섰다.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과천정부청사에서 열린 위기관리대책회의 모두발언에서 “일본계 은행으로부터의 차입금이 106억달러인데 이 중 내년 1분기 만기도래하는 것은 전체의 9%인 11억달러에 불과하다”면서 “3월 위기설은 숫자적으로도 전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또 1분기 외국인채권 만기도래 규모도 5조3000억원 수준이며 11월 말 기준 국내 주식시장의 일본계 자금은 3조4000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0.6%에 불과하다고 강 장관은 덧붙였다.
김동수 재정부 제1차관도 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증권과 채권시장에 투자한 일본계 자금은 전체 외국인 투자액의 3.3%이며 이 모든 자금이 빠져나가더라도 국내 경제에 위협이 될 수 없다”면서 “3월 위기설은 9월 위기설의 아류로 근거가 극히 미약하며 실체도 없다”고 비판했다.
김 차관은 또 “내년 3월에 만기 도래할 일본계 채권 금액은 16억달러로 우리 은행권 하루 평균 차입금액(25억달러)과 비교할 때 크지 않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강 장관은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내년도 예산안은 오는 9일 국회에서 통과되고 세법은 이에 앞서 통과될 예정”이라며 “(세법안ㆍ예산안이) 통과된다는 전제하에 내년 1월부터 즉시 집행할 수 있도록 각 부처가 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강 장관은 “자금 배정도 1월부터 차질 없도록 준비할 것”이라며 “다음 국무회의 때 청년실업 문제 등 예산 조기집행 관련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김형곤 기자/kimhg@heraldm.com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저축은행뿐 아니라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의 전 금융사의 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채권도 일부 사들일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5일 “저축은행의 부실 PF 대출에 대한 처리 방안을 다른 금융권에 적용할 수 있다”며 “캠코가 저축은행 외의 다른 금융회사와도 부실 채권 가격 협상을 벌여 적정 수준에서 합의되면 매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은 11월 말부터 저축은행을 제외한 은행과 보험사 증권사 여신전문사 등의 2000여개 PF사업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금융권의 PF 대출 규모는 지난 6월 말 현재 78조9000억원으로 은행 47조9000억원, 저축은행 12조2000억원, 보험사 5조3000억원, 증권사 3조원, 여신전문사 4조3000억원 등이다.
금융위는 이 중 부실화됐거나 부실 우려가 있는 저축은행의 PF 대출 1조3000억원은 캠코를 통해 연내에 매입하기로 이미 결정했다. 매입대금의 일부는 현금으로, 나머지는 캠코가 발행하는 선순위 또는 후순위 채권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금융권역별 PF 대출 연체율을 보면 은행 0.64%, 보험사 2.4%, 증권사 6.6%, 여신전문사 4.2%로 저축은행 14.3%에 비해서는 낮지만 부동산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부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캠코의 주주이고, 캠코의 주요 업무가 금융회사의 부실 자산 인수와 정리이기 때문에 저축은행 외의 부실 PF 채권도 자체 자금으로 사들이는 데 문제가 없다”며 “현재 진행 중인 전수조사 결과를 보고 최종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캠코의 올해 채권 발행 한도는 7500억원이지만 경영관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치면 자본금의 10배까지 증액할 수 있다. 정부는 캠코의 부실 채권 매입 규모가 늘어나면 증자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정민 기자/bohe@heraldm.com

하이닉스 중장기 지원… 반도체ㆍIT R&D 인센티브
실물경제 빙하기…
업종별 정부 대책은
자동차 특소세 감면ㆍ조선사 경쟁력 유지 지원…
10개업종 중심 3단계 위기대책 마련
“현재 경제위기는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닌 살아남는 자가 강자가 되는 국면이다. 어떤 방면으로 우리 산업 생존시킬 수 있는지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5일 위기관리대책회의에 보고한 ‘최근 실물경제 진단과 대응방향’ 내용을 설명하며 이렇게 밝혔다. 다음해 상반기 수출이 최악 수준 급감하고 거의 전 산업이 침체기에 접어들 것으로 보이자 정부가 실물경제 위기 대응책을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하이닉스 ‘추후 정부 지원 가능’
자동차 소비세ㆍ환경부담금 감면=이 장관은 “완성차 업계에 대해 개별소비세(옛 특별소비세)와 환경부담금 감세에 대해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에 들어갔다”면서 “소형차ㆍ고연비차 해외시장 진출 노력 가속화 등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협력업체에 대해선 완성차 업계 감산에 대비한 국내 컨틴전시플랜(비상대책)을 정부가 수립 중이다.
조선업종의 경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중ㆍ소형 조선사이 지원 대상으로 꼽혔다. 이 장관은 “고용 능력, 독자 기술 보유 정도, 산업 생태계 생존 여부 등을 따져 관계부처ㆍ기관과 협의해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형 조선사의 경우 세계적 경쟁력을 갖췄다 보고 선도 경쟁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정부가 후방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반도체 업종의 경우 하이닉스에 대한 중장기 정부 지원책이 나왔다. 이 장관은 “하이닉스에 대해선 기본적으로 주주단을 중심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면서도 “주주단 대책 추진 이후 문제가 있을 경우 정부가 대응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 정부는 이동통신용 등 고부가가치 반도체 기술개발 확대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석유화학 부문에 대해선 이 장관은 “업계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면 고려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적ㆍ황ㆍ녹’ 위기단계별 비상대책 마련
이렇게 정부는 국내 경제에 대한 파급력이 크면서도 성장동력을 갖춘 9개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지원책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정부가 집중 지원하기로 산업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반도체 ▷철강 ▷섬유 ▷디스플레이 ▷휴대폰 ▷일반기계 등이다. 지난 2006년 기준 9개 주력산업이 우리나라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 48.4%, 고용 46.7%로 절반에 달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의 74.2%가 이들 산업에서 나왔다.
이 장관은 “지금 현재 실물경제 위기 상황은 각 업종마다 동일한 형태 아니라고 본다”면서 “위기 상황 도래에 대비해 단계별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10개 업종별 위기 상황 예측하고 위기 징후을 관측한 후 그린(녹색), 엠버(황색), 레드(적색) 단계별로 구분해 비상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위기 상황에 대비한 계획안이며 구체적 내용을 말하긴 어렵지만 정부가 최대한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조현숙 기자/newear@heraldm.com

중견 건설기계 업체인 혜인이 무명의 소액주주로부터 경영권 위협을 받고 있다. 불과 지난 해 8월 설립된 라파도이엔씨의 이경훈 대표가 4일 경영참가목적의 지분취득을 신고한 데 이어 5일 주당 8000원에 지분 10%를 공개매수 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5일 주가는 다시 폭등 7000원선을 넘어섰다.
이경훈 대표는 “풍부한 현금여력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보수적 경영으로 일관함으로써 성장 및 발전의 기회를 상실하고 가족경영의 행태를 지속하여 주주가치의 현실화 및 개선을 갈망하는 일반주주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 대표는 “매년 시중은행 이자에 턱없이 모자라는 배당정책으로 일관하며, 상장 이후 무상증자 등 적극적인 주주가치 극대화 정책이 없는 점 등 역시 주주홀대 정책의 대표적인 예”라고 덧붙였다.
이 대표는 또 2002년 매각한 안양 공장부지를 사들인 시행사가 단기간에 수 백억에 이르는 막대한 수익을 창출한 데 대한 해명과, 2005년 물적분할한 유콘산업과 계열사 미래에너지개발의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도 지적했다.
특히 지난 11월 28일 1대 주주였던 원경희 대표이사의 갑작스러운 대표이사직 사임도 소액주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혜인은 영업이익은 5%에도 미치지 못하며 9월 말 기준 총자산 1232억원 가운데 매출채권 및 재고자산 비중이 594억원(약 50%)에 달해 재무리스크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800억원에 달하는 이익잉여금 덕분에 장부상 주당순자산가치는 7000원을, 시장가격 기준 주당순자산가치는 1만2000원을 상회하고 있다.
이경훈 대표는 “앞으로 정기주총에서 일부 부적절한 임원을 배제하고 도덕성과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전문경영인을 영입함으로써, 기존 영업부문의 강화와 함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기반으로 신규사업을 적극 육성하겠다”고 계획을 밝혔다.
현재 혜인 최대주주는 약 16%, 라파도이엔씨와 이경훈 대표는 9.26%의 지분을 보유중이다.
홍길용 기자/kyhong@heraldm.com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하이닉스반도체에 대해선 은행 주주단이 우선 지원책을 강구하고 그 이후에도 문제가 생길 경우 정부가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또 정부는 자동차 내수활성화를 위해 개별소비세를 경감하고 경유차 환경부담금을 감면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5일 위기관리대책회의 직후 회견을 열어 “하이닉스가 현재 적자를 계속 내고 있는 상황이지만 반도체 업체 중 삼성전자에 이어 두번째로 양호하다“며 “은행 주주단에서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문제가 생길 경우 정부 대안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자동차 내수활성화 대책에 대해선 “개별소비세 감면과 경유차 환경부담금 경감 등에 대한 업계 건의가 제출됐다”면서 “기획재정부 등 관련 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고전을 면치 못하는 조선업종에 대해서는 경쟁력을 갖춘 중ㆍ소형사를 중심으로 유동성 위기를 겪지 않도록 지원해 나나기로 했다. 공급과잉 상태인 석유화학업종은 업계 자율로 구조조정을 추진하고 여기에 필요하다면 정부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정부는 또 10개 주력산업의 위험도를 ‘그린(녹)ㆍ엠버(황)ㆍ레드(적)’ 등 단계별로 구분한 후 위기 수준에 맞는 컨딘전시플랜(비상대책)을 가동키로 했다.
일자리 감소 문제에 대해 이 장관은 “임금조정을 해서라도 고용은 가능한 유지하는 방법으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김형곤ㆍ조현숙 기자/newear@heraldm.com

輸銀 25조ㆍ산은 32조ㆍ기은 32조 기업에 공급…
신보ㆍ기보 보증도 대폭 증액
국책은행들이 경기 부양을 위해 내년도 100조원을 웃도는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들은 내년도 자금공급 목표를 올해보다 15조원가량 증가한 93조원으로 책정했다. 이는 올해보다 19.2% 늘어난 것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최근 정부가 중소기업과 수출기업의 자금지원을 위해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어 실제 내년도 국책은행의 자금공급 규모는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들 은행의 자금공급 관련 세부 계획을 내년 초에 확정한다.
여기에 수출입은행이 중소기업 및 수출 기업에 대한 내년도 보증 규모를 올해 19조원에서 22조원으로 3조원 확대할 계획이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액도 42조원에서 48조원으로 6조원 늘릴 예정이어서 정부의 지원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수출입은행은 올해 대출을 통한 기업자금공급 목표액을 올해 21조원보다 19.0% 증가한 25조원으로 책정했다. 산업은행도 내년 자금공급 목표를 올해보다 14.2% 확대한 32조원으로 잡고 산업금융채권 발행도 23조원에서 내년 25조원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기업은행은 올해보다 20% 이상 늘어난 32조원의 자금을 중소기업에 공급할 계획이다. 가계대출 자금은 올해 2조5000억원에서 내년에는 3조7000억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총액을 올해 29조5000억원에서 33조5000억원으로 4조원 늘리고, 기술신보도 2조원 증가하는 등 보증 여력이 부족한 중기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최상현 기자/puquapa@heraldm.com

주식회사 대한민국이 떨고 있다
주가ㆍ원화가치 하락 후폭풍
1년전 100원 한국기업
엔화 가치론 25원불과
日ㆍ中먹잇감 전락 우려
M&A방어 장치 마련 시급
대한민국 기업들이 무방비 상태다. 주가에 원화가치까지 동반 하락하면서 외화 환산가치가 바닥으로 추락, 열강 자본의 손쉬운 인수대상으로 전락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가지수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11월 1일 대비 코스피의 원화가치(4일 종가 기준)는 51.11%로 반 토막이다. 하지만 외화로 환산하면 또 반 토막이 난다. 엔화로는 25.56%, 위안화로는 29.1%, 달러화와 유러화로는 각각 31.6%와 35.96%다. 코스닥도 원화로는 전고점 대비 37.17%지만, 엔화로는 겨우 18.58%가 남았다. 일본 자본 입장에서는 불과 1년여 전 100원이던 한국 내 자산의 값이 25원, 또 19원으로 싸진 셈이다.
개별기업을 살펴보면 더 기가 막힌다. 일례로 두산그룹 지주사인 두산의 대주주 지분율 36%의 가치는 662억엔, 국내 4대 은행 가운데 하나를 보유한 하나금융지주도 뚜렷한 대주주가 없어 지분 20% 정도만 사들인다 해도 500억엔이면 충분하다.
간판급 재벌기업도 마찬가지다. SK그룹 지주사인 SK의 대주주 지분율 30%의 주식가치는 731억엔에 불과하다. 800억~900억엔 정도면 시총 1426억엔인 기아차를 사들여 현대차그룹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매출 200조원을 눈앞에 둔 재계 1위 삼성그룹도 1800억엔 정도면 지주사 후보인 삼성물산 지분 절반을 살 수 있다.
그런데 경제위기로 제 코가 석 자인 외국자본이 과연 사냥에 나설까? 지난 외환위기 때와 견줘볼 때 우리 기업의 재무건전성과 기술경쟁력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특히 일본은 주요 해외 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맹추격을 받고 있고, 중국은 우리의 기술력에 눌려 있다. 경쟁업체를 사들여 시장지배력을 높일 동기는 충분하다. 돈도 많다. 일본 기업과 중국 정부는 세계 최고의 달러부자로 꼽힐 정도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구 자본도 이번 위기에서 살아남은 곳을 중심으로 인수ㆍ합병(M&A)에 나설 것이다. 헤지펀드나 사모펀드를 활용하면 M&A 시도과정에서 발생할 부작용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제 최근 몇몇 서구 자본이 국내 첨단기업에 대한 투자를 모색하고 있고 두산그룹의 소주 부문 매각에도 외국계 자본이 군침을 흘리고 있다.
이승철 전국경제인연합회 전무는 “수년 전부터 국내 기업의 경영권 방어를 위한 제도 개선을 요구했지만 아직도 법제화는 요원한 상황”이라며 “기업가치 추락에 따른 경영권 위협 가능성 고조는 아주 심각한 문제인 만큼 이미 적대적 M&A 시도에 대한 면밀한 관찰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기석 삼성투신 리서치팀장은 “원화가치와 기업 실적이 바닥을 찍는 내년 초가 기업 사냥의 최적기”라며 “성공하면 더 좋고, 실패하더라도 환차익을 비롯한 자본이득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돈 가진 사냥꾼들은 꽃놀이패를 든 셈”이라고 설명했다.
홍길용 기자/kyhong@heraldm.com

“현재 경제위기는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닌 살아남는 자가 강자가 되는 국면이다. 어떤 방면으로 우리 산업 생존시킬 수 있는지 고민하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5일 위기관리대책회의에 보고한 ‘최근 실물경제 진단과 대응방향’ 내용을 설명하며 이렇게 밝혔다. 다음해 상반기 수출이 최악 수준 급감하고 거의 전 산업이 침체기에 접어들 것으로 보이자 정부가 실물경제 위기 대응책을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하이닉스 ‘추후 정부 지원 가능’
자동차 소비세ㆍ환경부담금 감면=이 장관은 “완성차 업계에 대해 개별소비세(옛 특별소비세)와 환경부담금 감세에 대해 관계부처와 적극 협의에 들어갔다”면서 “소형차ㆍ고연비차 해외시장 진출 노력 가속화 등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동차 부품협력업체에 대해선 완성차 업계 감산에 대비한 국내 컨틴전시플랜(비상대책)을 정부가 수립 중이다.
조선업종의 경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중ㆍ소형 조선사이 지원 대상으로 꼽혔다. 이 장관은 “고용 능력, 독자 기술 보유 정도, 산업 생태계 생존 여부 등을 따져 관계부처ㆍ기관과 협의해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대형 조선사의 경우 세계적 경쟁력을 갖췄다 보고 선도 경쟁력을 유지하는 수준으로 정부가 후방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반도체 업종의 경우 하이닉스에 대한 중장기 정부 지원책이 나왔다. 이 장관은 “하이닉스에 대해선 기본적으로 주주단을 중심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면서도 “주주단 대책 추진 이후 문제가 있을 경우 정부가 대응책 마련에 나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 정부는 이동통신용 등 고부가가치 반도체 기술개발 확대에 대한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할 방침이다.
석유화학 부문에 대해선 이 장관은 “업계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면 고려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적ㆍ황ㆍ녹’ 위기단계별 비상대책 마련
이렇게 정부는 국내 경제에 대한 파급력이 크면서도 성장동력을 갖춘 9개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지원책을 펼쳐나가기로 했다. 정부가 집중 지원하기로 산업은 ▷자동차 ▷조선 ▷석유화학 ▷반도체 ▷철강 ▷섬유 ▷디스플레이 ▷휴대폰 ▷일반기계 등이다. 지난 2006년 기준 9개 주력산업이 우리나라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 48.4%, 고용 46.7%로 절반에 달한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의 74.2%가 이들 산업에서 나왔다.
이 장관은 “지금 현재 실물경제 위기 상황은 각 업종마다 동일한 형태 아니라고 본다”면서 “위기 상황 도래에 대비해 단계별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10개 업종별 위기 상황 예측하고 위기 징후을 관측한 후 그린(녹색), 엠버(황색), 레드(적색) 단계별로 구분해 비상대책을 강구하고 있다”면서 “위기 상황에 대비한 계획안이며 구체적 내용을 말하긴 어렵지만 정부가 최대한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조현숙 기자/newear@heraldm.com

정부가 국책금융기관들의 내년도 자금 공급과 보증 지원 규모를 대폭 늘리기로 한 것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과 수출기업을 살려 경기를 부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내년도 국책은행들의 자금 공급 규모는 92조7000억원으로 올해보다 15조원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수출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신용보증기금 등의 보증총액도 올해보다 9조원 늘어난다. 이를 모두 합하면 100조원이 넘어 정부 지원 금액은 사상 최대가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금융기관에 대한 정부의 자본 확충 작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속도내는 자본확충=정부는 이달 중순 이전까지 수출입은행(6500억원), 산업은행(5000억원), 기업은행(5000억원)에 대한 현물 출자를 모두 마무리짓는다는 방침이다. 또 4조원인 수출입은행의 수권자본금 한도를 10조원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수권자본금 한도가 높아지면 추가적으로 현금 출자에 나선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아울러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에 대해 추가적인 증자 방안도 정부내에서 논의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자본금 증액 규모를 당초 5000억원과 2000억원에서 7000억원과 4000억원으로 늘리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이와 별도로 현재 국회에 기업은행의 수권자본금 규정을 법에서 정관으로 바꾸는 것을 골자로 하는 기업은행법 개정안이 의원 입법안으로 발의돼 있어 통과가 주목된다. 이 법안이 통과되면 정부는 주총을 소집해 언제든지 증자를 할 수 있게 된다.
▶어디에 쓰이나=국책금융기관들의 자금 지원 대상은 주로 수출 중소기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대출과 보증을 합한 수출입은행의 내년도 총여신 규모는 47조원으로 올해보다 6조원이 늘어난다.이 가운데 수출 중소기업의 자금난 완화를 위해 수은은 올해보다 1조원 가량 늘어난 8조50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도 대출을 통한 기업자금공급액 25조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금액은 선박과 플랜트 등 중장기ㆍ대형프로젝트의 수출 지원(수출자금)에 사용할 계획이다. 나머지는 해외투자와 해외자원개발지원에 주로 공급된다. 수출입은행은 대출 및 차입금 상환으로 총 12조9000억원의 원화 자금과 185억달러의 외화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올해 자금공급 목표액을 28조원으로 설정했던 산업은행은 연말 대기자금을 고려할 때 공급 규모가 3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11월말 현재 운용자금이 12조5000억원에 달해 연초 목표액(7조5000억원)을 초과하고 있다. 산은은 내년 자금공급액을 32조원으로 책정했으며 이 가운데 운용자금과 시설자금을 합해 25조원 안팎으로 예상하고 있다.
기업은행은 시설투자부문, 중소ㆍ벤처기업의 성장기반 확충, 부품소재자금, 창업자금 등에 집중 지원된다. 가계를 위한 대출 자금도 4조원에 이른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은 자금난을 겪고 있는 수출 기업당 최고 보증 한도를 현행 30억원에서 100억원까지 확대하고 수출 자금 보증 비율도 95%에서 100%로 올렸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내년도 국책금융기관들의 자본공급규모를 최대한 늘리기 위해 신속한 자본 확충을 마무리지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최상현 기자/puquapa@heraldm.com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저축은행뿐 아니라 은행, 보험사, 증권사 등의 전 금융사의 부실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채권도 일부 사들일 것으로 보인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5일 “저축은행의 부실 PF 대출에 대한 처리 방안을 다른 금융권에 적용할 수 있다”며 “캠코가 저축은행 이외의 다른 금융회사와도 부실 채권 가격 협상을 벌여 적정 수준에서 합의하면 매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금융감독원은 11월 말부터 저축은행을 제외한 은행과 보험사, 증권사, 여신전문사 등의 2000여개 PF 사업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있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금융권의 PF 대출 규모는 지난 6월 말 현재 78조9000억 원으로 은행 47조9000억 원, 저축은행 12조2000억 원, 보험사 5조3000억 원, 증권사 3조 원, 여신전문사 4조3000억 원 등이다.
금융위는 이중 부실화됐거나 부실 우려가 있는 저축은행의 PF 대출 1조3000억 원은 캠코를 통해 연내에 매입하기로 이미 결정했다. 매입대금의 일부는 현금으로, 나머지는 캠코가 발행하는 선순위 또는 후순위 채권으로 지급할 예정이다.
금융권역별 PF 대출 연체율을 보면 은행 0.64%, 보험사 2.4%, 증권사 6.6%, 여신전문사 4.2%로 저축은행 14.3%에 비해서는 낮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의 장기화로 부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금융위 관계자는 “시중은행들이 캠코의 주주이고 캠코의 주요 업무가 금융회사의 부실 자산 인수와 정리이기 때문에 저축은행 이외의 부실 PF 채권도 자체 자금으로 사들이는데 문제가 없다”며 “현재 진행 중인 전수 조사 결과를 보고 최종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캠코의 올해 채권 발행 한도는 7500억 원이지만 경영관리위원회의 승인을 거치면 자본금의 10배까지 증액할 수 있다. 정부는 캠코의 부실채권 매입 규모가 늘어나면 증자도 추진할 계획이다.
박정민 기자/bohe@heraldm.com

국책은행들이 경기 부양을 위해 내년도 100조원을 웃도는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을 공급한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등 국책은행들은 내년도 자금 공급 목표를 올해보다 15조원 가량 증가한 93조원으로 책정했다. 이는 올해보다 19.2% 늘어난 것으로 사상 최대 규모다.
최근 정부가 중소기업과 수출기업의 자금 지원을 위해 정책금융기관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어 실제 내년도 국책 은행의 자금공급 규모는 100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들 은행의 자금 공급 관련 세부 계획을 내년초에 확정한다.
여기에 수출입은행이 중소기업 및 수출 기업에 대한 내년도 보증 규모를 올해 19조원에서 22조원으로 3조원 확대할 계획이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액도 42조원에서 48조원으로 6조원 늘릴 계획이어서 정부의 지원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수출입은행은 올해 대출을 통한 기업자금 공급 목표액을 올해 21조원보다 19.0% 증가한 25조원으로 책정했다. 산업은행도 내년 자금공급 목표를 올해보다 14.2% 증가한 32조원으로 잡고 산업금융채권 발행도 23조원에서 내년 25조원 이상으로 늘릴 계획이다.
기업은행은 올해보다 20% 이상 늘어난 32조원의 자금을 중소기업에 공급할 계획이다. 가계 대출 자금은 올해 2조5000억원에서 내년에는 3조7000억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신용보증기금은 보증총액을 올해 29조5000억원에서 33조5000억원으로 4조원 늘리고, 기술신보도 2조원 늘리는 등 보증여력이 부족한 중기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최상현 기자/puquapa@heraldm.com

감원않는 조건 환경세 폐지 등 稅혜택…실물경기 부양 선제대응
정부가 금융위기로 수출이 점점 막히고 있는 자동차 등 일부 ‘위기 업종’에 대해 대폭적인 세제 혜택을 비롯한 각종 지원대책을 강구하고 나선 것으로 4일 알려졌다.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수출업종 경영진은 청와대에 직간접 접촉을 통해 업계 애로사항을 건의해 놓은 상태이며, 청와대는 대폭적인 직원 감원을 하지 않는다는 조건 아래 이를 적극 수용키로 해 ‘위기 업종 구하기’ 종합대책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지식경제부는 이 같은 위기 업종 세제 혜택 방안을 5일 자체 협의키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세수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난색을 표하고 있지만, 일단 청와대와 긴밀히 논의키로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수출업종이 침체되면 내수 살리기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위기)업종에 대한 세제 혜택을 검토하고 있고 긍정적인 흐름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금융위기를 극복하고 실물경제 침체를 막을 선제적 대응책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고위 관계자 역시 “내년 상반기 금융위기가 실물위기로 확연히 전이되면서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을 포함해 우리 경제가 상당한 어려움에 처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내수 진작과 실업 감소를 위한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환경세 폐지 ▷하이브리드 승용차 연구개발(R&D)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선과 석유화학 업종에서도 이와 준하는 세제 혜택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조선?유화 업종 등의 에너지 절약시설 투자분에 대해서는 소득세나 법인세 세액 공제 범위를 넓히는 것도 강구 중이다. 조선업계의 숙원인 회계 착시로 인한 부채 비율 과다 산정 개선, 유화업계의 공정거래법상 기업결합 규제 완화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식경제부는 “개별 소비세율 인하 등 자동차업계의 공식 건의와 제안을 받았고 현재 (재정부 등) 관련 부처와 함께 검토에 들어갔다”고 공식 확인했다.
김영상ㆍ권남근ㆍ조현숙 기자/ysk@heraldm.com

일단 발등의 불은 껐지만…
PF부실債1조3000억 매입
부동산 침체로 부실 확대
중소기업 파산땐 타격심각
정부 추가지원 불가피
금융당국이 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저축은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채권을 최대 1조3000억원 매입한다고 밝혔지만 당초 파악됐던 것보다 부실의 정도가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돼 고심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주요 여신고객이 영세 중소기업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여전히 위기의 뇌관은 남아 있는 셈이다.
▶파악 안 된 부실 상당 규모=4일 금융당국과 캠코는 1조3000억원의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방식과 후속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일단 캠코는 저축은행의 전체 PF대출채권 1조3000억원가량을 시가대로 사들인 뒤, 이 채권을 법원에 넘겨 경매나 공매를 통해 현금화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문제는 부동산 가치가 급격하게 하락할 경우 PF의 추가 부실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 6월 기준으로 조사된 PF사업장의 부실평가가 현 시점에서 맞아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6월 저축은행 PF연체율은 14.3%였지만 9월에는 17%로 상승했다. 금융당국은 악화 우려로 평가된 미연체 사업장(68개 5931억원)에서 연체가 발생할 경우 연체율이 19.1%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6개월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미연체 사업장의 연체 발생 수도 훨씬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지난 6월 기준으로 연체 중인 채권(121개 사업장, 9000억원) 역시 12월 현재 그 규모가 더욱 커졌다는 점에서 캠코의 자금지원이 1조3000억원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게 금융업계의 전망이다.
여기에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규모를 감독당국에 축소 보고하기도 했다. 899개 PF사업장에 대해 저축은행 업계는 580개가 정상이라고 판정했지만 감독당국은 447개만이 정상이라고 평가하고 나머지 133개 중 83개가 주의, 악화 우려가 50개라고 밝혔다.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감독당국의 적기시정조치를 의식해 허위보고를 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추가 지원 불가피=김광수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은 저축은행이 망하지 않는 한 캠코가 손해를 떠안을 일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추가 부실이 더 나올 가능성이 높은 데다 저축은행이 파산할 경우 주요 거래대상인 중기들에 엄청난 타격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지원 규모도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캠코의 자금 여력은 납입자본금 등 총 3200억원 정도이며 이를 활용할 경우 금액의 10배에 해당하는, 최대 3조2000억원의 공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추가로 부실 PF채권을 매입할 여력이 충분하다. 하지만 이에 대해 캠코 내부에서도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10년 전 IMF 구제금융 시절에도 부실 금융기관에 대한 지원이 처음에는 1조원대에서 시작했지만 그 잠재부실의 정도가 엄청나 나중에는 200조원에 가까운 공적자금을 투입한 선례가 있기 때문.
금융권에서는 이번 정책의 주무부서가 금융위 내에 저축은행을 담당하는 중소서민금융과가 아닌 공적자금 관련 정책 및 제도를 담당하는 금융구조개선과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부실채권 인수를 통한 2금융권의 구조조정에 관한 업무이지 단순한 저축은행 자금 지원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박정민 기자/bohe@heraldm.com


돌아온 캠코… 2008년판 금융권 부실정리 본격화
환란이후 111兆채권매입… 현 금융위기 구조조정 해결사역 기대
한때 성업공사 회귀 위기감… 저축銀등 부실 PF매입 화려한 부활
캠코(자산관리공사)가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에 비유되는 저축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차단에 나서면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캠코는 1조3000억원 규모의 부실 PF 대출 매입에 나서면서 금융위기 해결사로 새롭게 등장했다. 외환위기 이후 공적자금 회수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제 역할을 다 한’ 대표적인 기구로 꼽혔지만 금융위기를 계기로 상시 구조조정 기구로서 중책을 맡게 됐다. 정부는 물론 시장은 캠코의 이번 저축은행 부실 PF 대출 매입이 향후 발생 가능한 금융회사 부실채권 매입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드 사태 이후 최대 준공적자금 투입=금융위와 금감원은 3일 캠코가 89개 저축은행의 899개 PF 대출 사업장 중 부실 또는 부실 우려가 있는 164개 사업장을 환매 혹은 사후 정산 조건으로 이달 중 매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매입대상 사업장의 대출규모는 1조3000억원 수준으로 2003년 카드채 사태 이후 5년여 만에 최대 규모로 캠코의 자금이 투입되는 것이다.
지난 9~10월 실시된 실태조사에서 사업성이 떨어져 ‘악화 우려’로 분류된 189개 사업장(1조5000억원) 중 연체 중인 121개 사업장 9000억원이 우선 매입 대상이다. 여기에 연체는 없지만 토지 매입이 70% 이상 진행된 43개 악화 우려 사업장 4000억원도 매입 대상으로 분류됐다.
캠코는 부실 PF 매입 대금의 일부는 현금으로 지급하고 나머지는 선순위채 혹은 후순위채로 줄 예정이다. 즉, 500억원 규모의 PF 대출을 캠코가 350억원에 인수할 경우 평균 매입률 70%를 감안해 250억원은 현금 혹은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채권으로 주고 100억원은 후순위채로 지불한다.
이후 캠코는 법원 경매 혹은 공매를 통해 PF 대출의 담보자산을 처분하고 처분금액이 대출금을 초과할 경우, 차액을 저축은행에 지급하고 손실이 발생하면 저축은행이 손실을 보전해주는 방식으로 사후 정산하게 된다.
금융위는 이번 부실 PF 대출 매입을 통해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악화 우려로 평가된 68개 미연체 사업장에서 연체가 발생할 경우 저축은행 PF 연체율이 최대 19.1%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부실자산의 조기 정리를 통해 7.0~10.4%포인트의 연체율 하락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우여곡절을 딛고=외환위기 당시 캠코는 부실채권정리기금을 관리?운영했다. 채권 발행 및 금융기관 출연금 등으로 조성된 39조3000억원의 기금으로 지금까지 111조2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인수했고 국제입찰, ABS 발행, M&A, CRC 매각 등으로 투입된 자금보다 3조5000억원 많은 42조8000억원을 회수했다.
캠코 관계자는 “2012년 기금 청산 시까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정리를 통해 3조~4조원 이상의 추가 회수가 가능할 것”이라며 “공적자금 100% 이상의 회수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위기 극복의 주역으로 관심을 받았지만 공적자금 회수가 마무리되면서 때마다 ‘용도 폐기’설에 시달려온 캠코는 지난 8월 부실채권 매입 및 정리 기능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선진화 추진 계획 등으로 속앓이를 해왔다.
과거 성업공사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팽배했지만 이미 2000년부터 캠코는 중국 베트남 대만 터키 등을 대상으로 부실채권 투자중개, 컨설팅 및 연수사업 등 해외사업을 통해 위기 관리 감각을 유지해 왔다.
특히 중국 4대 국영자산관리공사와의 업무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지난해 12월 중국 투자에 나서 동방AMC의 담보부 부실 채권 1334억원을 국내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인수, 투자 실행 후 현 시점까지 안정적인 회수가 진행 중이다.
캠코는 첫 번째 중국 투자 성공 후 2차 투자를 준비함과 동시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넘치는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이철휘 캠코 사장은 “외환위기 이후 캠코는 금융시스템을 지키는 최후의 안전판으로서 그 역할을 다해 왔다”며 “부실채권 규모가 급격히 늘어나는 등 금융시장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언제라도 대처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국내 금융시장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정일 기자/ryus@heraldm.com

세계 경제침체로 우리 경제의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전반적인 위축이 조기에 가시화할 것이라는 정부의 공식 전망이 나왔다.
정부는 특히 소비?투자?생산?고용 등 국내 실물경제 전반에 걸쳐 향후 전망이 어두울 것으로 분석했다.
기획재정부는 4일 ‘12월 경제동향 보고서(그린북)’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오름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생산ㆍ내수ㆍ수출 등 실물지표가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세계 경제침체에 따른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재정부는 둔화되고 있는 민간소비와 관련해 고용부진과 자산가격 하락, 교역조건 악화, 금융시장 불안과 불확실성 확대 등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돼 당분간 부진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 10월 전년 동월 대비 7.7%나 하락한 설비투자는 선행지표인 기계 수주 및 기계류 수입 흐름, 경기실사지수(BSI) 등을 감안할 때 개선이 어렵고, 주택경기 침체와 건설 부문 투자심리 위축 등으로 건설투자 위축 국면도 심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광공업 생산은 수출 증가세 둔화 및 내수부진과 조업일수 감소로 인해, 서비스업 생산은 내수 위축으로 각각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10월 9만7000명 증가에 그쳤던 고용 역시 공공 부문 및 기업체의 구조조정과 신규 채용 기피로 개선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10월 49억1000만달러로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했던 국제수지는 11월에는 20억달러 내외 흑자를 보이고 경상이전수지 추이에 따라 흑자 규모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됐다.
김형곤 기자/kimhg@heraldm.com

MB정부 경제정책 ‘3대 딜레마’
풀어도 풀어도 막힌 유동성
분기마다 반복되는‘위기설’
공기업 칼대자니 일자리확대 상충
직장인 정모(39) 씨는 주거래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으려다 생각보다 높은 8%대의 금리에 실망이 컸다. 대출 담당직원도 겸연쩍은 표정으로 “금리가 왜 이리 높냐는 말을 많이 듣는다. 아마 3개월 뒤 조정될 것”이라는 말뿐이었다.
한국경제와 한국정부가 총체적인 딜레마 현상에 빠졌다. 아무리 풀어도 시중 유동성은 시원스레 뚫리지 않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거푸 내려도 은행 대출금리는 요지부동이다. 이런 가운데 매번 아니라고 해도 ‘○월 위기설’은 분기마다 불거지고, 정부는 일자리를 창출한다며 수차례 대책을 내놓지만 고용사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분기마다 반복되는 위기설=지난 9월 위기설이 잠잠하자 이제는 3월 위기설이 나왔다. 이로 인해 불안심리가 높아지고 정부가 아니라고 해명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에는 언론이 조용한데 정부가 선제적(?)으로 ‘위기는 없다’고 나섰다. 김동수 기획재정부 차관이 지난 3일 라디오 방송에서 느닷없이 “3월 위기설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인터넷 논객 ‘미네르바’가 최근 한 월간지 기고에서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을 맞이하는 정부의 대응기조가 현재처럼 이어진다면 내년 3월 이전 일본 자본에 편입되는 파국을 맞을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 한몫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외국인 채권 만기에 따른 지난 9월 위기설보다 더욱 근거가 약하다. 금융기관은 3개월마다 한 번씩 보고서를 내는데 내년 3월 일시에 해외 금융기관의 자본이 다 빠져 나간다는 것은 매우 극단적인 예단이라는 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견해다.
▶꿈쩍 않는 시중금리와 풀리지 않는 유동성=한은은 지난 10월과 지난달 기준금리를 총 1.25%포인트 인하했지만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오히려 오름세다.
한은이 집계한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을 보면 지난 10월 예금은행의 대출 평균금리(신규 취급액 기준)가 연 7.79%로 전달보다 0.35%포인트 급등했다. 예금은행의 대출 평균금리는 6월 7.02%에서 8월 7.31%, 10월 7.79%로 꾸준한 상승세다. 이에 한은이 오는 11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50bp(0.5%) 인하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아울러 정부가 은행 유동성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이 자금이 정작 필요한 기업체 등으로 제대로 돌지 않고 있다. 은행은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 맞추기에도 급급한 상황이다. 한계기업에 대출을 할 경우 금감원이 면책조항을 마련한다지만 결국 누가 책임을 질 것이며, 또한 옥석을 가릴 수 있는 시스템도 없다는 것이다.
▶일자리 늘려야 하는데…공기업 구조조정 ‘드라이브’=재정부는 당초 인력 구조조정을 최소화하라는 지침을 공공기관에 내렸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인원을 15% 줄이기로 한 한국농촌공사 방안을 모범 사례로 꼽으면서 분위기는 확연히 달라졌다.
통폐합, 민영화를 피한 대신 경영효율화 대상에 오른 공공기관 대부분이 10% 내외 인력을 줄이는 쪽으로 방향을 급선회했다. 한국전력은 10% 안팎의 인력 감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조직개편안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맞춰 한전 전무급 이상 임원 약 20명의 사표 제출도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후문이다. 한국지역난방공사도 정원을 동결하려던 당초 방침을 바꿔 10% 내외의 인원 감축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 말 결산 기준 공공기관 임직원 수는 총 25만9153명이다. 총 취업자 인원 2343만3000명(작년 말 기준)의 1%를 조금 넘는다. 공기업 인원이 10% 정도 줄어든다면 전체 취업인구의 0.1%가 감소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단순히 비율만 따진다면 크게 영향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규 취업자 수로 따지면 차원이 달라진다.
김형곤ㆍ조현숙 기자/kimhg@heraldm.com

4일 정부는 내년 상반기 예산 60% 조기 집행을 추진하기 위해 긴급 재정관리점검회의를 개최한다.
이날 경기 정부과천청사에서 배국환 기획재정부 2차관이 주재하는 이번 회의에 40개 부처ㆍ청 기획조정실장이 모두 참석한다.
이번 회의에서 내년 재정집행계획이 논의된다. 재정부는 다음해 예산 중 60%를 상반기에 조기 집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었다. 내년 상반기 최악의 경제난이 닥칠 것이란 전망이 계속되자 정부가 재정을 통한 경기 부양 속도를 높이기로 했다.
집행 속도를 더욱 빨리 하기 위해 재정부는 산하 부처 독려에 들어갔다. 재정부 당국자는 “내년 상반기에 예산 60% 조기 집행키로 한 것을 점검한다는 차원”이라면서 “60%면 전체 예산 240조원의 145조원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변 상황은 여의치 않다. 내년도 예산안은 지난달 30일 법정 기한을 넘기고도 현재 통과가 난망한 상태다.
작년처럼 예산안이 12월 말 통과되면 실제 지방자치단체에서 예산이 제대로 풀리기 시작하는 시기는 다음해 1/4분기를 훌쩍 넘길 수밖에 없다. 최악의 상황에 대비해 재정부가 산하 부처 단속에 들어간 것이다.
조현숙 기자/newear@heraldm.com

캠코(자산관리공사)가 한국경제의 ‘시한폭탄’에 비유되는 저축은행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부실 차단에 나서면서 화려하게 부활했다. 캠코는 1조3000억원 규모의 부실 PF 대출 매입에 나서면서 금융위기 해결사로 새롭게 등장했다. 외환위기 이후 공적자금 회수 작업이 마무리되면서 ‘제 역할을 다 한’ 대표적인 기구로 꼽혔지만 금융위기를 계기로 상시 구조조정 기구로서 중책을 맡게 됐다. 정부는 물론 시장은 캠코의 이번 저축은행 부실 PF 대출 매입이 향후 발생 가능한 금융회사 부실채권 매입의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카드 사태 이후 최대 준공적자금 투입=금융위와 금감원은 3일 캠코가 89개 저축은행의 899개 PF 대출 사업장 중 부실 또는 부실 우려가 있는 164개 사업장을 환매 혹은 사후 정산 조건으로 이달 중 매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매입대상 사업장의 대출규모는 1조3000억원 수준으로 2003년 카드채 사태 이후 5년여 만에 최대 규모로 캠코의 자금이 투입되는 것이다.
지난 9~10월 실시된 실태조사에서 사업성이 떨어져 ‘악화 우려’로 분류된 189개 사업장(1조5000억원) 중 연체 중인 121개 사업장 9000억원이 우선 매입 대상이다. 여기에 연체는 없지만 토지 매입이 70% 이상 진행된 43개 악화 우려 사업장 4000억원도 매입 대상으로 분류됐다.
캠코는 부실 PF 매입 대금의 일부는 현금으로 지급하고 나머지는 선순위채 혹은 후순위채로 줄 예정이다. 즉, 500억원 규모의 PF 대출을 캠코가 350억원에 인수할 경우 평균 매입률 70%를 감안해 250억원은 현금 혹은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채권으로 주고 100억원은 후순위채로 지불한다.
이후 캠코는 법원 경매 혹은 공매를 통해 PF 대출의 담보자산을 처분하고 처분금액이 대출금을 초과할 경우, 차액을 저축은행에 지급하고 손실이 발생하면 저축은행이 손실을 보전해주는 방식으로 사후 정산하게 된다.
금융위는 이번 부실 PF 대출 매입을 통해 저축은행의 건전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악화 우려로 평가된 68개 미연체 사업장에서 연체가 발생할 경우 저축은행 PF 연체율이 최대 19.1%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됐지만 부실자산의 조기 정리를 통해 7.0~10.4%포인트의 연체율 하락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우여곡절을 딛고=외환위기 당시 캠코는 부실채권정리기금을 관리?운영했다. 채권 발행 및 금융기관 출연금 등으로 조성된 39조3000억원의 기금으로 지금까지 111조2000억원의 부실채권을 인수했고 국제입찰, ABS 발행, M&A, CRC 매각 등으로 투입된 자금보다 3조5000억원 많은 42조8000억원을 회수했다.
캠코 관계자는 “2012년 기금 청산 시까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의 정리를 통해 3조~4조원 이상의 추가 회수가 가능할 것”이라며 “공적자금 100% 이상의 회수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찾아보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위기 극복의 주역으로 관심을 받았지만 공적자금 회수가 마무리되면서 때마다 ‘용도 폐기’설에 시달려온 캠코는 지난 8월 부실채권 매입 및 정리 기능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선진화 추진 계획 등으로 속앓이를 해왔다.
과거 성업공사로 회귀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팽배했지만 이미 2000년부터 캠코는 중국 베트남 대만 터키 등을 대상으로 부실채권 투자중개, 컨설팅 및 연수사업 등 해외사업을 통해 위기 관리 감각을 유지해 왔다.
특히 중국 4대 국영자산관리공사와의 업무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지난해 12월 중국 투자에 나서 동방AMC의 담보부 부실 채권 1334억원을 국내 금융기관과 공동으로 인수, 투자 실행 후 현 시점까지 안정적인 회수가 진행 중이다.
캠코는 첫 번째 중국 투자 성공 후 2차 투자를 준비함과 동시에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넘치는 미국 시장 진출을 추진 중이다. 이철휘 캠코 사장은 “외환위기 이후 캠코는 금융시스템을 지키는 최후의 안전판으로서 그 역할을 다해 왔다”며 “부실채권 규모가 급격히 늘어나는 등 금융시장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언제라도 대처할 수 있도록 우선적으로 국내 금융시장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정일 기자/ryus@heraldm.com

금융당국이 자산관리공사(캠코)를 통해 저축은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채권을 최대 1조3000억원 매입한다고 밝혔지만 당초 파악됐던 것보다 부실의 정도가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돼 고심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주요 여신고객이 영세 중소기업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여전히 위기의 뇌관은 남아 있는 셈이기 때문이다.
▶파악 안된 부실 상당 규모=4일 금융당국과 캠코는 1조3000억원의 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 방식과 후속 대책에 마련에 착수했다. 일단 캠코는 저축은행의 전체 PF대출채권 1조3000억원 가량을 시가대로 사들인 뒤, 이 채권을 법원에 넘겨 경매나 공매를 통해 현금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캠코는 저축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는 PF사업장의 담보물의 평가액을 산정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현재의 부동산 가치를 전제로 이뤄지는 것이어서 향후 부동산 가격의 추가 하락 가능성 등이 고려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부는 이에 매각대금 지급방식으로 공사채와 후순위공사채를 포함시키며 변동가능성 있는 담보물 가치에 저축은행이 추가 부담해야함을 조건으로 달았고 여기에 채권 매각 후 후순위공사채에 대한 충당금도 단계적으로 적립하는 의무도 부과했다.
하지만 문제는 부동산 가치가 급격하게 하락할 경우 PF의 추가 부실의 정도가 매우 심각한 수준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지난 6월 기준으로 조사된 PF사업장의 부실평가가 현 시점에서 맞아 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6월 저축은행 PF연체율은 14.3%였지만 9월에는 17%로 상승했다. 금융당국은 악화우려로 평가된 미연체 사업장(68개 5931억원)에서 연체가 발생할 경우 연체율이 19.1% 수준까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6개월 가까운 시간이 흐르면서 미연체 사업장의 연체 발생 수도 훨씬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지난 6월 기준으로 연체 중인 채권(121개 사업장, 9000억원) 역시 12월 현재 그 규모가 더욱 커졌다는 점에서 캠코의 자금지원이 1조3000억원에서 그치지 않을 것이라는 게 금융업계의 전망이다.
여기에 저축은행 업계는 부실 규모를 감독당국에 축소 보고하기도 했다. 899개 PF사업장에 대해 저축은행 업계는 580개가 정상이라고 판정했지만 감독당국은 447개만이 정상이라고 평가하고 나머지 133개 중 83개가 주의, 악화우려가 50개라고 밝혔다.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감독당국의 적기시정조치를 의식해 허위보고를 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추가 지원 불가피=김광수 금융위원회 금융서비스국장은 저축은행이 망하지 않는 한 캠코가 손해를 떠안을 일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추가 부실이 더 나올 가능성이 높은데다 저축은행이 파산할 경우 주요 거래대상인 중기들에게 엄청난 타격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지원 규모도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현재 캠코의 자금여력은 납입자본금 등 총 3200억원 정도이며 이를 활용할 경우 금액의 10배에 해당하는, 최대 3조2000억원의 공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추가로 부실 PF채권을 매입할 여력이 충분하다. 하지만 이에 대해 캠코 내부에서도 부정적인 반응이 나오고 있다. 10년 전 IMF 구제금융 시절에도 부실 금융기관에 대한 지원이 처음에는 1조원대에서 시작했지만 그 잠재부실의 정도가 엄청나 나중에는 200조원에 가까운 공적자금을 투입한 선례가 있기 때문.
금융권에서는 이번 정책의 주무부서가 금융위 내에 저축은행을 담당하는 중소서민금융과가 아닌 공적자금 관련 정책 및 제도를 담당하는 금융구조개선과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부실채권 인수를 통한 2금융권의 구조조정에 관한 업무이지 단순한 저축은행 자금 지원이 아니라는 점 때문이다.
박정민 기자/bohe@heraldm.com

직장인 정모씨(39)는 주거래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으려다 생각보다 높은 8%대의 금리에 실망이 컸다. 대출 담당직원도 겸연쩍은 표정으로 “금리가 왜 이리 높냐는 말씀 많이 들어요. 아마 3개월 뒤 조정될 겁니다”는 말뿐이었다.
한국경제와 한국정부가 총체적인 딜레마 현상에 빠졌다. 아무리 풀어도 시중유동성은 시원스레 뚫리지 않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거푸 내려도 은행 대출금리는 요지부동이다. 이런 가운데 매번 아니라고 해도 ‘○월 위기설’은 분기마다 불거지고, 정부는 일자리를 창출한다며 수차례 대책을 내놓지만 고용사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분기마다 반복되는 위기설=지난 9월 위기설이 잠잠하자 이젠 3월 위기설이 나왔다. 이로 인해 불안심리가 높아지고 정부가 아니라고 해명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 위기설이 종전과 다른 것은 언론은 조용한데 정부가 선제적(?)으로 “위기는 없다”고 나선 것. 김동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지난 3일 라디오방송에서 느닷없이 “3월 위기설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여기에는 인터넷 논객 ‘미네르바’가 최근 한 월간지 기고에서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을 맞이하는 정부의 대응기조가 현재처럼 이어진다면 내년 3월 이전에 일본 자본에 편입되는 파국을 맞을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 한몫했다.
여기에 김상조 경제개혁연대 소장이 라디오 방송에서 “외국 금융기관들이 12월 말이나 3월 말에 회계연도 결산을 하게 되는데 자신들의 재무건전성이 좋지 않다고 판단하면 우리나라에 빌려준 돈을 일시에 회수할 수 있다”고 거들었다.
하지만 이번엔 외국인 채권만기에 따른 지난 9월 위기설보다 더욱 근거가 약하다. 금융기관들은 3개월마다 한번씩 보고서를 내는데 내년 3월에 일시에 해외금융기관의 자본이 다 빠져나간다는 것은 매우 극단적인 예단이라는게 정부와 전문가들의 견해다.
▶꿈쩍 않는 시중금리와 풀리지 않는 유동성=한은은 지난 10월과 지난달 기준금리를 총 1.25%포인트 인하했지만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오히려 오름세다.
한은이 최근 발표한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동향을 보면 지난 10월 예금은행의 대출 평균금리(신규 취급액 기준)가 연 7.79%로 전달보다 0.35%포인트 급등했다. 예금은행의 대출 평균금리는 6월 7.02%에서 8월 7.31%, 10월 7.79%로 꾸준한 상승세다.
이에 한국은행은 오는 11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50bp(0.5%) 인하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아울러 정부가 은행 유동성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이 자금들이 정작 필요한 기업체등으로 제대로 돌지 않고 있다. 은행들은 BIS 자기자본비율을 맞추기에도 급급한 상황이다. 한계기업에 대출을 할 경우 금감원이 면책조항을 마련한다지만 결국 누가 책임을 질 것이며, 또한 옥석을 가릴 수 있는 시스템도 없다는 것이다. 은행들은 지난 수년동안 중소기업 대출 시스템을 개선한다고 했지만 여전히 주먹구구식이다.
▶일자리 늘려야하는데…공기업 구조조정 ‘드라이브’=재정부는 당초 인력 구조조정을 최소화하라는 지침을 공공기관에 내렸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인원을 15% 줄이기로 한 한국농촌공사 방안을 모범 사례로 꼽으면서 분위기는 확연히 달라졌다.
통폐합, 민영화를 피한 대신 경영효율화 대상에 오른 공공기관 대부분이 10% 내외 인력을 줄이는 쪽으로 방향을 급선회했다.
한국전력은 10% 안팎 인력 감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조직개편안을 이달 중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맞춰 한전 전무급 이상 임원 약 20명의 사표 제출도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후문이다. 한국지역난방공사도 정원을 동결하려던 당초 방침을 바꿔 10% 내외 인원 감축을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 말 결산 기준 공공기관 총 임직원 수는 총 25만9153명이다. 총 취업자 인원 2343만3000명(작년 말 기준) 의 1%를 조금 넘는다. 공기업 인원이 10% 정도 줄어든다면 전체 취업인구의 0.1%가 감소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단순히 비율만 따진다면 크게 영향이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신규 취업자 수로 따진다면 차원이 달라진다.
김형곤ㆍ조현숙 기자/kimhg@heraldm.com

“공매도는 시장 효율성을 개선 시키는 매우 중요한 장치다”
플로렌스 롬바르드 AIMA(국제투자협회) CEO는 공매도가 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하고 적정 주가를 형성하게 만들어 전체 시장의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순기능을 한다고 봤다.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증권업협회 불스홀에서 열린 ‘서울 헤지펀드 컨퍼런스’에서, 롬바르드 대표는 전세계 헤지펀드 산업의 동향을 설명하면서 특히 금융위기 이후 이슈가 된 공매도 제한 조치들이 적절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
그는 “공매도를 제한하는 조치들이 결과적으로는 시장의 유동성을 고갈시키고 변동성을 증폭시켰으며, 공매도 제한 및 금지 조치 이후에도 전세계 주가는 하락하고 이런 조치들이 목표했던 바를 전혀 달성하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봤다.
국내의 일부 관계자들이 우려하는 바 처럼 공매도가 시장을 왜곡하는 부도덕한 기법이 아닌 시장의 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시장 참여자들의 조화를 이끌어내는 역할을 한다는 의미다.
그에 따르면 실제로 지난 6월 13일 FSA(영국 재정청)도 “공매도가 유동성을 증대시키는 합법적인 장치이며 그 자체로는 비난 받을 행위가 아니다”라고 공식적으로 밝힌 바 있다.
올들어 전세계 금융 시장이 출렁이면서 미국과 영국 일본 프랑스 등 주요 10개국 증시가 한시적인 공매도 제한 조치를 실시한 바 있다. 국내의 경우도 지난 10월 2일부터 연말까지 네이키드 숏셀링을 금지한 상태다.
롬바르드가 대표를 맡고 있는 AIMA는 지난 1990년 설립된 단체로 세계적으로 1280개에 이르는 회원사를 보유하고 있는 세계 헤지펀드 산업을 대변하는 전문가 협의체다.한편 이날 컨퍼런스에서는 국내 시장에의 헤지펀드 도입과 규제 방안에 대한 활발한 논의도 이뤄졌다.
노희진 증권연구원 박사는 시스템 리스크 방지를 위한 규제 도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노 박사는 “정기 보고서를 통해 헤지펀드의 레버리지 규모를 감독하고, 헤지펀드가 사용할 수 있는 레버리지 한도를 규제상에서 규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다”고 봤다. 또 투명성 확보를 위해 운용사가 보다 많은 정보를 공개하도록 유도하고, 포트폴리오 자산가치의 평가가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공정한 가격 책정 장치를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헤지펀드에 주식을 대여하거나 대출을 제공하는 프라임브로커들에 대한 리스크 관리 여부를 면밀히 감독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이를 위해 감독기관이 이들과 실시간 정보교환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헤지펀드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한 활동이 이어져야 한다는 견해도 많았다.
김기환 금융위원회 사무관은 “헤지펀드 투명성 개선 방안 등 국제적 차원의 규제 공조 논의에 참여하고, 정치권 및 시민단체 등 헤지펀드 도입을 반대하는 주장에 대해 적극적인 홍보와 설득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홍승완 기자/swan@heraldm.com

헤럴드포럼]부실 초래한 책임은 없나
김성우 경기대 경영학과 교수
캠코 PF채권 매입 돌입
정부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
부실 경영진에도 책임물어야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가 저축은행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자산 가운데 부실한 채권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저축은행에 1조3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부동산발 금융부실을 차단하기 위한 이번 대책은 오히려 때늦은 감이 있으며 부실자산에 대한 평가나 지원 규모가 적합한지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조기에 금융부실을 차단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번 대책으로 캠코가 부실 PF채권을 매입하는 데 투입하는 자금이 공적자금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는 것 같다. 일부에서 이 자금이 공적자금이라고 보도됐으나 정부와 캠코, 저축은행중앙회 등은 공적자금이 아니라고 반박하면서 국민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결론부터 얘기하면 이 자금은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공적자금이라고 할 수 없다. 공적자금의 정의는 ‘공적자금관리특별법’에 명확하게 나와 있다. 즉, 예금보험기금채권상환기금, 부실채권정리기금, 공공자금관리기금 등을 공적자금이라고 한다. 이 가운데 캠코가 관리하던 부실채권정리기금은 이미 상환이 만료돼 그 존재의 실효가 없어진 상태다.
이번에 캠코가 PF 대출채권 매입에 투입할 자금은 위에서 언급된 기금, 즉 공적자금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캠코의 고유계정에서 나오는 것이므로 공적자금이라고 볼 이유가 없다.
정부의 이번 부실 PF대출 대책의 핵심은 건설경기 침체가 금융기관의 건전성 문제로 전파되고, 실물에 다시 확산되는 고리를 끊어보자는 데 있다.
이 같은 의도가 얼마나 효과를 거둘지에 대해 시장에서는 기대감과 함께 의구심이 있다. 이번 대책으로 저축은행의 자산 건전성이 당장 개선돼서 퇴출 불안감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기대감이 있는 반면에 부실화가 더욱 진행될 것이 자명한데 이 정도로는 미봉책에 불과하지 않겠느냐는 의구심도 있다.
정부 발표대로 PF대출 사업장의 50%만이 정상이라면 상황은 이미 심각하다. 현 상황의 근원이 해외에 있고, 감독당국이 내적인 상황변화에 나름대로 선제적 조치를 해왔다고 하지만 이 지경에 이를 때까지 적극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지적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은 공적자금 논란이 빚어질 정도로 저축은행에 당근을 안기면서 채찍은 어이없게 빈약하다는 점이다. 부실을 초래한 저축은행의 경영진에게 책임을 묻겠다는 얘기는 한마디도 없다.
저축은행은 서민 금융기관이다. 그런데 PF대출 비중이 30%, 심지어는 50%가 넘도록 방만한 경영을 하면서 서민 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에서 일탈했다. 그 책임을 묻지 않으면서 부실채권 매입이나 충당금 적립 완화 등의 지원을 쏟아붓는 것은 국민의 공감을 받기 어렵다.
정부나 저축은행 모두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외환보유액 2000억달러 선 유지가 아슬아슬하다. 11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한 달 전보다 무려 117억달러 감소한 2005억달러를 기록, 8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런 추세라면 1000억달러대 진입은 시간문제다. 여기에 외국계 자금 이탈로 나라 경제가 거덜날 것이란 이른바 ‘3월 위기설’까지 맞물려 외환시장 분위기는 살얼음판이다.
외화 곳간이 갈수록 쪼그라드는 것은 기본적으로 국내에 들어오는 달러보다 해외로 나갈 외환 수요가 큰 탓이다. 최근 40억달러 통화스와프 입찰에 78억달러가 응찰할 정도로 외환시장은 공급 부족에 허덕인다. 국민연금 통화스와프 조기 해지분까지 시장에 풀었지만 환율의 고공비행은 여전하다. 그렇다고 환율 방어를 빌미로 보유 외환을 무작정 풀 수도 없다.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야 하는 까닭이다. 국제 금융시장의 ‘돈맥경화’가 풀리지 않는 한 이런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여지가 크다.
지금은 어떻게 해서든 외화 곳간을 채워 ‘위기’를 넘겨야 한다. 한ㆍ미 통화스와프 한도를 300억달러에서 500억달러 이상으로 늘리거나 아예 선진국처럼 한도를 철폐하는 게 좋다. 기한 연장은 당연하다. 중국 일본 EU 등과의 통화스와프 체결도 자꾸 늦출 일이 아니다. 신규 외자 유치가 어렵다면 기존 투자자의 해외이탈 방지대책을 서둘러 강구해야 할 것이다. 수도권 규제 완화와 세제 지원 등의 보완 조처가 시급한 이유다. 무엇보다 경상수지 흑자 기조가 선결이다. 경상적자가 지속되는 한 달러 부족, 환율 상승 기조를 막기 어렵다.
경계 대상 1호는 이런 틈새를 파고드는 불안심리다. 갖가지 낭설 속에 내년 3월 말 결산을 앞둔 일본계 은행 등이 투자금을 대거 회수할 것이란 ‘3월 위기설’이 대표적이다. 특히 “한국의 일본 자본 편입 가능성”을 거론한 ‘미네르바’ 논거는 가당치 않다. 악의적 선동 수준이다. 이처럼 허무맹랑한 루머는 초기 진화가 중요하다. 커지기 전에 ‘싹’을 잘라야 한다. 근거 없는 괴담을 퍼뜨리는 ‘미네르바’ 같은 사이비 논객들을 왜 발본색원 못하는가. ‘아니면 말고’ 식의 불안심리 조장이야말로 시장 불안을 부추기는 암적 존재다. 처벌 조항이 없다면 법을 새로 만들어서라도 시장 질서를 바로잡기 바란다. 시장 불안은 시장 불신에서 비롯된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신뢰 회복이 시급하다.

<김대우의 금융패트롤>‘위기설’의 경제학…위기는 기회
또 위기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인터넷 경제논객으로 유명세를 탄 ‘미네르바’가 한 월간지 기고에서 “스태그플레이션 국면을 맞이하는 정부의 대응기조가 현재처럼 이어진다면 내년 3월 이전에 파국이 올 수 있다” 면서 위기설에 기름을 부었다. ‘9월 위기설’이 불거진지 불과 3개월만에 불거져나온 이른바 ‘3월 위기설’이다.
내년 초 실물경제가 완연한 침체국면으로 접어들고 금융시장이 혼란스러워진다. 여기에 국제수지 불균형 등의 악재와 맞물려 미국과 일본 금융기관의 분기 및 연말 결산이 몰려 외국인 자금이 밀물처럼 빠져나간다. 2000억달러의 외환보유액과 300억달러의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에도 불구하고 일본계를 비롯한 외국인 투자자금이 한꺼번에 국내에서 빠져나가면 대외 지급불능 사태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가 다시 제기된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지나간 ‘9월 위기설’과 마찬가지로 ‘3월 위기설’ 역시 근거가 없다는 입장이 확고하다. 김동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최근 “내년 3월에 일시에 (해외금융기관의 자본이) 다 빠져나간다고 보는 것은 지나친 예단”이라며 “국제금융상황이나 국제공조 노력에 영향을 받겠지만 우리의 정책적 노력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3월 위기설’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밝혔다. 민간 경제 전문가들 역시 3월 위기설이 시장을 떠돌만하다는 점에는 공감하지만 실현 가능성은 높지 않게 보고 있다.
그렇다고 마냥 안심할 수만도 없다. 6월 말 현재 단기외채와 장기외채 중 1년 이내 만기 도래분을 더한 유동외채는 2223억달러로 당시 외환보유액 대비 비중이 86.1%에 달한다. 물론 정부의 설명대로 이 같은 유동외채가 순식간에 빠져나갈 가능성은 거의 없다. 정부의 외평채 발행과 최근 경상수지 흑자 추세 등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한국의 외채 잔액 4198억원 가운데 정부 대외채무, 은행 환헤지용 외채, 기업선박 선수금 등 순수한 빚은 2120억달러다. 이는 외환보유액으로 충분히 커버할 수 있다.
문제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2001년 4년간 한국의 외채가 26%나 감소한데서 보듯 금융불안이 지속될 경우 외채상환이 이어지면서 국내 유동성이 심각하게 위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내년 중 만기 도래 외채에서 경상수지 흑자를 뺀 금액, 즉 해외조달 필요액은 2000억달러를 웃돌 것으로 추정된다. 일시적으로는 자금경색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10년전 외환위기 극복을 진두 지휘했던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는 최근 서울대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현재의 경제위기는 진행형으로 앞으로 2?3달이 굉장히 중요하다. 정책대응에 실패하면 경제파국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글로벌 위기 상황이 계속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 만큼 사전에 이를 차단할 수 있는 선제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예컨대 국제금융상황에 맞춰 국제공조를 취하던가 하는 정책적 노력을 말한다. 근거없는 루머로 위기설이 확대 재생산되는 것도 문제지만 위기 가능성을 섣불리 간과하는 것은 더 큰 문제다. 위기의 실체와 가능성을 제대로 인지하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려는 노력을 경주해야 할 때다.
김대우 기자/dewkim@heraldm.com


[베이징=최헌규 특파원]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이 가파른 상승세(위안화 가치 하락)로 돌아서면서 중국 사회에 환율 논쟁이 비등하고 있다. 환율 추이에 대한 다양한 전망과 함께 당국의 ‘정책적 평가절하’에 대해 찬반 양론이 대립하면서 위안화 환율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위안화 환율 추이와 관련한 지배적 전망은 ‘단기 상승, 장기 하락’이다. 위안화 환율 상승에 대해 전문가들은 국제시장에서의 달러 강세에다 수출 확대를 위한 중국 당국의 의중이 반영된 결과로 보고 있다. 시장은 수출 회복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반기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인위적 환율 상승은 바람직하지 않을 뿐더러 상승 추세도 오래 가지 못할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중?미 경제전략대화(4~5일)에 앞서 진행된 위안화 가치 하락에 대해 궁금증이 더해가고 있다. 평소라면 중국이 오히려 위안화 가치를 끌어올려 미국에 화답하는 시늉을 했을텐데 이번에는 ‘(폴슨) 방문 효과’가 역방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고환율’ 정책의 본격 개막이라기보다는 중국이 오바마정권 출범을 앞두고 미국 떠보기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환율을 통한 수출 부양이 절박할 때에 대비해 미리 애드벌룬을 띄워 미국의 반응을 엿보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수출업계와 일부 금융기관 등에서는 2005년 7월 환율개혁 이후 지속된 위안화 강세가 이제 약세 기조로 방향을 틀었다며 반기고 있다. 자오상(招商)은행의 보고서는 최근 위안화 하락은 당국이 환율 정책의 기조를 바꿨다는 중요한 신호라고 지적했다.
수출기업은 금세 달러당 7위안 시대가 다시 올 것이라는 기대감을 보이고 있다. 한 포털사이트의 긴급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75.8%가 향후 위안화 가치의 하락세를 점쳤다.
그러나 이런 기대와는 달리 위안화 가치는 장기적 관점에서 앞으로도 계속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목소리도 높다. 증시에서도 세계 금융위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는 위안화 환율을 올린다고 이론대로 수출이 늘지는 않을 것이라며 오히려 A증시에서 외자만 빠져 나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수출 위축의 근본 원인이 금융위기에 따른 외수 감축에 있음을 주시해야 한다며 정부의 신중한 대응을 권고하고 있다. 사회과학원 세계경제연구소소장 위융딩(余永定) 소장은 “여전히 무역흑자가 큰데 위안화 환율을 끌어올려 수출을 확대하겠다는 것은 맞지 않다”며 “이는 수출 보조를 통해 결국 외국 소비자를 보조해주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상당수 외국기관 역시 위안화 절하는 미국의 새 정권과 정치적 갈등만 초래할 것이라며 중국 당국도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위안화 절하는 기타 아시아국 통화의 동반 절하로 연결, 미국에 보호무역주의의 명분만 제공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자동차 내수가 최악인 가운데 경ㆍ소형차 판매 호조가 눈길을 끈다. 특히 기아자동차의 배기량 999cc 경차 모닝이 중ㆍ대형차를 밀어내고 지난달 월간 판매량 기준으로 10년 만에 1위를 차지한 것은 적잖은 의미를 지닌다. 사회적 체면에 얽매인 승용차 ‘거품’이 빠지는 좋은 징조다. 아니 이 사회에 만연한 각종 거품들을 걷어낼 기회이기도 하다.
경차 모닝의 판매량 1위는 하나의 ‘사건’이다. 지난달 자동차 내수 판매량은 작년 같은 달보다 무려 27%나 감소한 7만4217대에 그쳤다. 하지만 모닝은 달랐다. 무려 7596대나 팔렸다. 없어서 더 이상 팔지 못했다. 지금도 주문 후 4개월 이상 기다려야 차를 인도받을 수 있다. 쏘나타 등 전통의 베스트셀러 차를 압도한 것이다. 배기량이 작은 아반떼, i30, 쎄라토, 포르테 등의 2개월 이상 주문 적체는 도리어 반갑다. 중ㆍ대형차나 스포츠유틸리티(SUV) 등에 몰렸던 수요가 점차 소형차 이하로 눈을 돌리기 때문이다. 전반적인 구매력 저하와 맞물려 겉치레 대신 자기 분수에 맞는 바람직한 차량구입 패턴으로 받아들여진다.
배기량 2000cc 이상 대형차는 땅이 비좁고 비산유국인 우리에게 분에 넘치는 호사나 다름없다. 신규 등록차량 평균 배기량은 2113cc로 유럽의 1744cc보다 20%나 많다고 한다. 더욱이 대형차의 에너지 소비와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경차의 3배 안팎에 이른다니 대형차 운행을 부끄러워할 줄 알아야 한다.
장ㆍ차관과 국회의원, 공기업 CEO부터 경ㆍ소형차 이용을 솔선해야 한다. 정부 부처와 공기업 업무용 차도 일제히 경차 등으로 바꿀 필요가 있다. 일반 대기업도 직급별 배기량 기준을 대폭 낮춰 재조정하기 바란다.
배기량 차이가 사회적 신분의 잣대는 아니다. 대형차를 타야 일을 잘하는 것은 더욱 아니다. 그렇다면 경차 등에 대한 취ㆍ등록세, 자동차세의 과감한 면세, 공영주차장 의무할당제,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등의 우대조처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 노조도 혼합생산, 전환배치 등 경영진 요구를 수용, 주문량이 폭주하는 경ㆍ소형차 생산을 크게 늘려야 마땅하다. 이런 경향이 차에 국한해서는 안 된다. 비싼 집, 비싼 옷, 비싼 외국여행 등을 선호하는 모든 거품을 제거해야 한다. 경제위기를 우리 사회 건전 소비의 계기로 삼는 현명함이 지도자들에게부터 나와야 한다.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의 보수적ㆍ소극적 위기대응 방식이 도마에 올랐다. 은행 시스템을 정상화하고 기업 연쇄부도를 막아야 할 한은이 시중의 ‘돈 가뭄’ 아우성을 외면한 채 몸조심만 하는 모양새이기 때문이다. 정부와 협조 자세에서도 여전히 제3자적인 미약한 느낌이 짙다.
한은은 리먼브러더스 사태 이후 정부와 함께 133조원 공급 계획을 밝혔지만 지난 3개월 동안 집행실적은 겨우 40조원 남짓이다. 미국, 일본 중앙은행이 수천조원, 수백조원을 퍼부은 것에 견줘 언 발에 오줌 누기에 불과하다. 한은은 또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적극 매입한 기업어음(CP)은커녕 은행 후순위채 및 은행채 매입, 은행에 대한 달러 직접공급까지 기피했다. 100억달러로 계획한 수출환어음 담보대출 실적이 아직 전무한 것은 무사안일의 표본이다.
여기에 10조원 규모의 채권안정펀드 조성과 관련, 겨우 5조원 지원 방침을 밝혀 시장 기대를 저버렸다. 되레 금리 상승만 초래했다. 앞서 세 차례의 1.25%포인트 기준금리 인하 역시 정부 압력과 여론 등에 등 떠밀린 늑장 대응 인상을 떨치기 어렵다. 그러면서도 한ㆍ미 간 300억달러 통화 스와프와 관련, 기획재정부와 공로 다툼에선 기민하게 움직였다. 책임 지지 않으면서 공만 가로채겠다는 심산 아닌가.
한은은 “무작정 통화 증발은 곤란하다”고 항변하나 지금은 미증유의 비상 상황이다. 교과서에 나오는 원칙과 기준으로는 해결 난망이다. “한은이 독립성에만 치중, 소극적으로 대처한 측면이 없지 않다”는 이헌재 전 부총리 지적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통화가치 안정보다 글로벌 금융 위기와 경기 침체를 극복할 국가 차원의 중앙은행 역할을 주문하는 것이다. 오히려 한은 주장대로 시중 자금난이 느려진 통화 유통속도 탓이라면 이럴수록 유동성을 ‘충분하게’ 공급, 하루빨리 돈 가뭄을 해소해야 옳다. 당장 인플레를 걱정할 때가 아니지 않은가.
한은은 보수적이란 평을 들으면서도 정부와 정책공조를 펴는 미국 영국 일본 은행 등 사례를 본받기 바란다.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의 책임 공방은 급하지 않다. 극약처방을 해서라도 금융 및 기업 자금난 숨통을 터줘야 한다. 더 이상 몸사리기에 급급하다면 한은 독립성 명분 뒤에 숨은 총재 임기 등을 꼭 보장해야 할지 통치권자 입장에서 심각히 고민할 때라고 본다. 정책은 실기하면 효과가 없다.
debt restructuring
An exchange of one or more new debt issues for outstanding debt issues that can occur when the new issues have interest rates and/or maturities that differ from those of the outstanding issues. For example, a firm might offer holders of 9% coupon bonds with 5 years to maturity a new bond with a higher-coupon rate and a 25-year maturity. Creditors having difficulty making interest and/or principal payments often restructure their debt to reduce the size of the interest payments and to extend debt maturity. Also called troubled debt restructuring. Compare restructuring.

국채선물, 한은 조치에 대한 의구심으로 하락 반전
3일 오전 10시 현재 국고채 3년물은 전일보다 0.01%포인트 내린 4.24%, 5년물은 0.03%포인트 오른 4.53%를 기록하고 있다. 국채선물은 외국인의 지속적인 매수에도 불구하고 전일보다 15틱 떨어진 109.60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지난 2일 한국은행에서 지급준비금에 이자를 주는 지준부리와 공개시장조작 시 이용하는 환매조건부 채권에 주택금융공사에서 발행한 공사채도 포함하는 내용의 은행 지원책을 발표했다. 한은은 은행에 직접적인 지준금 이자 5000억원이 지급되고 그에 따른 대출 파급효과 4조6000억원과 동시에 공사채 RP매입까지 더해지면 총 6조3000억원의 유동성이 시중에 공급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시장 관계자들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당장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맞추기에도 버거운 상황에서 그 돈이 온전히 대출효과로 이어질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 하이투자증권 김동환 연구원은 "다양한 유동성 공급정책이 나오고 있지만 문제의 핵심은 유동성이 확산되지 않는 것"이라며 "은행을 비롯한 각 경제주체들의 신용위험도를 낮추는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 [매일경제신문 성원경 기자]
TEL AVIV -- Top officials at General Motors Corp., trying to avert a bankruptcy-law filing by the Detroit auto giant, are developing a plan under which debtholders would swap their securities for equity, The Wall Street Journal reported. Chief Executive Rick Wagoner and aides must deliver a business plan to the U.S. Congress by Tuesday. GM is to argue that a short-term loan from the government plus accords with creditors and unions should enable the company to stay in business as a leaner, viable firm, the Journal reported. GM is carrying $43.3 billion of debt and paying $2.9 billion a year of interest on it, the Journal reported, citing J.P. Morgan Chase estimates.
(서울=연합인포맥스) 신경원 기자= 단기자금시장 참가자들은 4일 실시되는 환매조건부채권(RP) 매각입찰에서 낙찰규모가 자금사정에 변수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은행권의 적수잉여가 지준마감일 기준으로 70조원 정도로 추산되는 가운데 은행권의 자금담당자들은 낙찰규모가 약 9조원에서 11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외국계은행들이 지속적으로 한국은행의 자금조정예금에 자금을 넣고 있다.이에 따라 지급준비금마감일의 변동성을 대비해 시중은행들도 소극적으로 RP 입찰에 응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또 RP 입찰에 참여할 경우 자금이 남는 은행으로 낙인될 부담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이날 RP 매각 만기분 12조원과 재정자금이 시중에 공급되는 반면 RP 매각의 낙찰규모만큼 다시 한은으로 들어간다.지난 3일 통안채 만기분 9천100억원과 조정자금예금 인출분 5천억원, 재정자금이시중에 방출된 반면 월말세수 본납분 5조2천억원이 국고로 납입됐다.이에 따라 전일의 당일지준은 약 3조원 '부족'을, 적수는 1조7천억원으로 '잉여'를 나타냈다.자금시장의 한 담당자는 "지난 반월처럼 지준마감일을 앞두고 외국계은행들의 자금조정예금으로 단기자금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며 "9조원 선에서 낙찰규모가결정돼야 빠듯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른 자금시장의 담당자는 "기존 흐름상 RP 매각에서 10조원에서 11조원까지 낙찰될 수 있다"면서도 "민감한 시점에서 은행권의 자금사정이 RP 입찰 결과로 평가될수 있기 때문에 소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그는 "이번 반월 자금잉여로 지준마감될 것을 확신하지만 RP 낙찰규모에 따라 잉여규모가 더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kwshin@yna.co.kr
GM reportedly pushing debt-for-equity swap

November 30, 2008 10:04 AM ET
(Reuters)—General Motors is pushing some bondholders to swap their debt for equity, as CEO Rick Wagoner tries to keep the automaker out of a Chapter 11 bankruptcy that would likely cost him his job, The Wall Street Journal reported, citing people familiar with the plan.GM’s board has also ratcheted up pressure on Mr. Wagoner in recent weeks, the newspaper said, citing several people familiar with the matter.While George Fisher, the lead independent director, supports management, more than one-fourth of the automaker’s 14 directors have privately expressed frustration with Mr. Wagoner, the newspaper said, citing people close to the board. Topping the list of potential successors is Chief Operating Officer Fritz Henderson, the newspaper said, citing these people.GM was not immediately available for comment.Last week, the U.S. Congress rejected pleas from GM, Ford Motor and Chrysler for $25 billion of loans, and asked the automakers to submit detailed turnaround plans.GM is scrambling to deliver a plan by Tuesday. Lawmakers are scheduled to reconvene during the week of December 8 to review any plan and consider aid.A debt swap could leave many unsecured debtholders with big losses. Many GM bonds have been trading at small fractions of their face values, suggesting that many investors are uncertain about the automaker’s ability to pay its debts.

금융위기와 경기침체를 막기 위한 막대한 정책 자금이 시중에 풀리면서 경기와 펀더멘털의 도움 없이 증시가 오르는 ‘유동성 장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반등시 선제적으로 오르는 금융업종과 낙폭이 컸던 조선, 건설 업종이 최근 상승하자 돈이 돈을 만드는 랠리가 오는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다.
하지만 자금이 기업과 가계로 오지 않는 ‘돈맥경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데다, 자산가치 하락 폭이 커 실질적인 유동성 증가는 별로 없다는 지적이 많다. 전문가들은 “기술적 반등, 반짝 상승의 가능성이 전혀 없진 않지만 유동성 장세로 이어지기엔 너무 사정이 안좋다”고 입을 모았다.
▶폭증하는 유동성, 증시로 돈 올까= 4일 HMC투자증권에 따르면 금융위기가 본격화된 지난 9월 부터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통안증권 환매, 국고채 단순매입, 채권시장안정펀드 등으로 시장에 풀렸거나 풀리는 정부의 정책자금이 57조9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도 금리를 지난 10월 이후 3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1.25% 포인트 내리며 유동성 공급에 일조했다.
세계 각국도 마찬가지여서 미국은 지난 9월 7000억 달러의 구제금융법안을 통과시킨데 이어 최근 자동차 업계 등을 중심으로 추가 자금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 일본(12조엔)과 중국(4조위안) 역시 막대한 돈을 경기부양에 쏟아붓는 실정이다.
각국 정부가 이처럼 돈을 풀자 최근 국내 증시 안팎에선 유동성 장세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다. 실제 지난 10월말 9조원에 불과하던 고객예탁금이 지난달 초 11조원까지 늘기도 했다. 이달도 고객예탁금, 선물예수금은 각각 꾸준히 증가해 10조원, 8조1000억원을 돌파했다. 이종우 HMC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각국 정부가 적자 예산을 통해 지출을 확대함에 따라 내년 2분기께 풍부해진 유동성을 기반으로 유동성 장세가 가능하다”고 전했다.
오재열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일본의 부동산 버블 붕괴와 스웨덴의 금융위기 때도 단기 유동성 장세가 나타났다”며 유동성 장세를 기대했다.
▶기술적 반등에 불과, 미국이 변수= 하지만 윤세욱 메리츠증권 센터장은 유동성 장세와 관련, “금리 인하, 재정지출 확대, 감세 등이 경기 침체의 폭을 줄이고 하락 속도를 완만하게 하는 효과는 있다”면서도 “경기가 이미 꺾인 뒤 자금이 풀리는 만큼 기술적 반등에 불과할 것”으로 봤다. 성진경 대신증권 연구원은 “개인을 중심으로 저가 매수를 노린 스마트머니가 늘고 있지만 자금의 방향은 주식시장이 아닌 현금확보와 채무 상환쪽으로 가고 있다”고 했고, 김성주 대우증권 연구원은 “시장에 대한 신뢰가 깨져 유동성 장세는 아무래도 힘들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 3분기 이후 세계 금융기관의 자본확충액(아시아 국부 펀드 포함)이 8730억 달러에 달하나 모기지 관련 손실 상각분이 9680억 달러로 부실 자산을 메우기에도 부족한 상태다. 김학균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만약 유동성 장세가 온다면 그 출발점은 국내가 아닌 해외가 될 것”이라며 “미국 금융주의 신용리스크가 완화돼 악순환 고리가 약화되면 미국 시장을 시작으로 한 글로벌 증시의 반짝 상승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김대연 기자/sonamu@heraldm.com
Asian Stocks Finish Losing Week With Winning FridayForbes.com staff 12.05.08, 12:40 PM ET
Asian stocks finished a down week (other than for mainland Chinese markets) mostly to the up side Friday, as encouragement from European rate cuts warred with the negative reverberations of a fall on Wall Street.
The European Central Bank's 75-basis-point interest rate cut Thursday was the steepest in the institution's decade-long history. But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shed 215.45 points, or 2.5%, to 8,376.24 points, on anticipation of a bleak monthly jobs report. A further tumbling of oil prices to a near four-year low boosted shares of energy-intensive companies.
In Japan, the Nikkei 225 average edged downby 0.1%, to 7,917.51 points. The broader Topix sidled down by 0.4%, to 786.02. Tech-related companies mostly gained, with Sony rising by 0.4%, to 1,730 yen ($18.76), and Toshiba climbing by 0.7% to 301 yen ($3.26).
The automakers traded in a narrow range, with Honda Motor dropping by 1.9%, to 1,653 yen ($17.92), after it said it had withdrawn from Formula One auto racing, to save costs amid bleak industry conditions. (See "Honda Will Be No-Show At Grand Prix Events.") Toyota Motor shed 1.9%, to 2,650 yen ($28.75). Chugai Pharmaceutical plunged by 8.3%, to 1,469 yen ($15.98), after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sked for further data on Actemra, rheumatoid arthritis drug that Chugai's partner, Roche Holding, is developing.
Banking stocks were soft after Goldman Sachs cut its price targets for the sector. Mitsubishi UFJ Financial Group fell by 5.0%, to 437 yen ($4.74), and Mizuho Financial Group tumbled by 6.7%, to 210,700 yen ($2,289.72).
In Hong Kong, the Hang Seng index rose 2.5%, to 13,846.09, on optimism over government stimulus measures and falling energy prices. U.S. light, sweet crude prices stood still on the Nymex by the conclusion of Asian trading, after closing in New York at $43.67, the lowest settlement price since January 2005.
Insurers rose smartly on expectations that they will benefit from a new policy encouraging them to invest in infrastructure. Ping An Insurance jumped by 5.7%, to 33.30 Hong Kong dollars ($4.30), and China Life rose by 5.9%, to 21.60 Hong Kong dollars ($2.79).
Bank of China rose by 3.1%, to 2.35 Hong Kong dollars (30 cents), and China Construction Bank gained 2.8%, to 4.41 Hong Kong dollars (57 cents). But a report in China Securities Journal indicated that Chinese banks' bad loans may grow in 2009, as Beijing has removed loan caps for commercial lenders and direct banks to help finance its half-trillion-dollar stimulus package. Sun Hung Kai Properties lost 0.6%, to 54.30 Hong Kong dollars ($7.01), but other property companies recovered part of earlier losses this week.
The Shanghai Composite inflated by 0.9%, to 2,018.66, capping off a week of gains.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rapped up two days of high-level economic talks with a pledge to provide $20 billion in financing to importers in developing economies, with the aim of keeping trade flowing while private sector credit is tight. China also agreed temporarily to allow foreign banks operating in the country to borrow from their overseas affiliates to shore up capital positions without the borrowings counting toward the banks' short-term debt quotas.
Australia's S&P/ASX 200 fell 1.2% to 3,489.90, while the broader All Ordinaries index matched that decline in percentage terms, descending to 3,427.20. Resources stocks trended mostly lower, including mining giant BHP Billiton, which slumped by 4.9%, to 26.15 Australian dollars ($16.89). Fortescue Metals was dumped to the tune of 9.35%, to 2.23 Australian dollars ($1.41). Bucking the trend was Felix Resources, which rocketed by 36.6%, to 7.43 Australian dollars ($4.80), after it confirmed that it was in talks to be acquired. The Australian Financial Review had reported earlier that China's Yanzhou Coal Mining was in talks to acquire the company for more than 3 billion Australian dollars ($1.9 billion).
In Seoul, the benchmark KOSPI index rose 2.1% to 1,028.13, as Shinhan Financial Group advanced by 3.1%, to 31,700 won ($21.49), and Woori Finance Holdings moved up by 3.55%, to 6,420 won ($4.35). Steel maker Posco swelled by 5.7%, to 344,500 won ($233.59), and the carmakers recovered some of their midweek losses.
Meanwhile, India's Sensex 30 index shed 2.9%, to 8,965.20, ahead of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of a stimulus plan Saturday. Singapore's Straits Times index appreciated by 0.9% to 1,659.17, and Taiwan's Taiex weighted index was trimmed by 0.7%, to 4,225.07.
--Thomson Financial contributed to this article.
GM boss in last-ditch talks on debt for equity swap
GENERAL MOTORS is in emergency discussions with its lenders this weekend over a multi-billion dollar debt-for-equity deal that could save the iconic American car giant from a Chapter 11 bankruptcy filing.
GM’s chief executive Rick Wagoner is scrambling to secure a deal by Tuesday, when he will make a fresh attempt to secure up to $12 billion (£7.8 billion) in financial aid from the US government.
Wagoner is trying to persuade some of his debt-holders to swap part of the company’s $43 billion debt pile for shares, in a move that would shore up the balance sheet and reduce its crippling interest costs.
The company has been paying about $2.9 billion a year in interest payments, one of the key factors behind its troubled financial state.
Related Links
· GM passes begging bowl around Europe
· How to keep US carmakers on the road
Weak demand and restructuring costs have seen the company lose $13 billion in the first nine months of the year.
The new capital structure would form the basis of a new business plan for a much smaller, leaner business. If agreement can be reached this weekend the company could avoid seeking bankruptcy protection.
Analysts believe investors could agree to the plan as unsecured creditors are expected to suffer big losses if the company is forced into Chapter 11.
Wagoner has been vigorously opposed to a bankruptcy filing, a move which would be expected to cost him his job. Fritz Henderson, GM’s chief operating officer, is being tipped as his successor.
The GM board is expected to meet this weekend to assess whether there is sufficient interest in a debt-for-equity swap before filing the business plan with the US Congress on Tuesday.
America’s big three car firms – GM, Ford, and Chrysler – are looking for a combined aid package of some $25 billion. They are arguing for short-term loans to see them through to 2010. The appeals for cash will be assessed in hearings to be heard on Thursday and Friday.
GM had been in merger negotiations with Chrysler’s majority owner, Cerberus Capital Management, although these talks broke down this month.
Polestar cuts debts with further debt-for-equity swap
Simon Nias, printweek.com, 04 December 2008
Polestar has dramatically reduced its remaining debt after securing its second debt-for-equity swap in two years.
Under the terms of the agreement Polestar's owners, which include JPMorgan, Bluebay and Contrarian, will exchange the "majority" of the printer's outstanding debt for equity.Barry Hibbert, chief executive of Polestar, said: "Polestar has agreed with its lenders and shareholders to dramatically strengthen its balance sheet by swapping the majority of its debt into equity."This will allow the business to be in the best possible position to take advantage of the expected industry consolidation, which is likely to speed up as the recession takes its toll."Polestar, which cut its total debt from £814m to £257m in a £557m debt-for-equity swap in December 2006, declined to comment on the specifics of the latest transaction.
Polestar restructure to wipe £557m off debt
Simon Nias, PrintWeek, 08 December 2006
Polestar Group has revealed details of a refinancing and restructuring deal that will wipe £557m off its outstanding debt.
The recapitalisation is likely to cut the company's debt from £814m to £257m. Polestar chief executive Barry Hibbert said: "The completion of the restructuring has greatly strengthened Polestar. The recapitalisation provides the business with a stable platform that will allow it to focus on the opportunities in the market place."The announcement came following reports in the Financial Times that Polestar's investors were on the verge of losing £700m in what it described as "one of the worst failures of a European leveraged buyout deal in recent years".Polestar confirmed that the recapitalisation and restructuring of the business, which is due to complete on 12 December, would lead to a 67% reduction in the total amount owed under its existing Term A, Term B and Revolving Credit Facilities.This transaction, agreed by the firm's senior secured lenders, will form part of a debt-for-equity swap that will result in former owner Investcorp losing its entire equity interest in the group. The senior secured lenders will instead own 100% of the equity in Polestar.According to the Financial Times' report, Investcorp has also forfeited the £250m thought to be owed to it by Polestar. As part of the deal, Polestar will cease to be the sponsor of its pension scheme, which will now be administered by newly formed company Print Pensions Limited (PPL).While Polestar will have no ownership links with PPL, which will be wholly owned by the trustees, the company has agreed to make cash contributions to the scheme totalling £45m over the next 12 years. In its last reported accounts, Polestar listed its pension deficit as £141.7m.
A debt-for-equity swap for the financial sector
The 700 billion dollars requested from US Congress by Treasury Secretary Paulson to buy up bad mortgage-backed and mortgage-based securities from American banks is not going to solve the crisis, although it can be part of a solution. I assume that 700 billion dollars will allow the purchase by the Treasury of at least 2 trillion dollars worth of mortgage-related securities at face value, as it would not make sense for the US tax payer to pay much more than 33 cents on the dollar for the mortgage-related rubbish that banks have loaded onto their balance sheets. Pricing the assets punitively makes it possible to save the financial system while punishing the financial sinners at the same time.
But the US banks have large amounts of bad assets on their books that are not mortgage-related. Basically, any financial instrument that implies significant exposure to the US household sector is dodgy and doubtful. I expect that Secretary Paulson or his successor will, if Congress grants the 700 billion dollars request, be back for more before long.
Paulson’s proposal creates a ‘market maker of last resort’ for some of the toxic assets of the banking system. But is does not, in and of itself, solve the problem of an overleveraged/undercapitalised US financial system.
To get new capital into the banks, and to reduce leverage dramatically at the same time, I propose a mandatory debt-for-equity swap for all US financial institutions. For the most junior debt (subordinated or tier one debt), 100 percent could be swapped for equity. And even the most senior debt should be subject to a non-trivial ‘conversion ratio’ - 25 percent, say.
This form of debt forgiveness would not extinguish the claims of the current creditors, but would convert them into equity - a pro-rated claim on the profits - of the banks. It would have the further benefit of diluting the existing shareholders - a desirable action both from the perspective of fairness (I was going to say equity!) and from an efficiency point of view: incentives for a repeat of past incompetence, reckless lending and mindless investment would be mightily diminished.
The proposal amounts to a compulsory re-assignment of property rights - a form of expropriation. So be it. Extreme circumstances require extreme measures. It is time for the creditors of the banks to make a mor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solution of the financial crisis and to the prevention of an economic crisis.

Willem Buiter (1949) is a professor of European Political Economy at the London School of Economics and Political Science (LSE). He left the Netherlands as a child in 1955 and has since lived in Luxembourg, Belgium, the United Kingdom and the USA. He was an external member of the Bank of England’s Monetary Policy Committee and chief economist at the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He has his own blog Maverecon on the website of the Financial Times. A longer version of this posting appeared there.
커피맛으로 경기를 알 수 있다?
[헤럴드 생생뉴스 2008-12-06 11:01]
때로는 일상생활 속의 사소한 현상을 보고 현재와 앞으로의 경기를 판단할 수 있다.물론 경기상황을 진단하거나 예측하는 공식적인 지표에 비할 수는 없지만 기막히게 설득력을 갖는 경우도 종종 있다.올해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폴 크루그먼(Paul Robin Krugman)은 사소한 일상생활 속에서도 현재의 경기 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고 했다.크루그만에 따르면 경기가 좋을 때에는 TV에서 코믹광고가 많이 나오고 경기가 나빠지면 TV광고에서 같은 상품 이름이 15번이나 반복된다고 주장한다.‘1997년 미국 연례보고서’의 저자 메레디스 백비(Meredith Bagby)는 ‘스타벅스’의 커피 맛을 보고 경기를 진단할 수 있다고 했다. 그녀는 경기부진이 예상되면 대부분의 커피전문점들이 비용절감을 위해 커피 농도를 줄이기 때문에 보통 때 보다 커피 맛이 옅어진다고 말했다.자신이 마시는 커피 농도가 보통때보다 옅어진다면 앞으로 경기가 나빠질 것을 우려해야 한다는 것이다.미국 코넬대의 로버트 프랭크(Robert Frank) 교수는 버거킹에 들르면 메뉴판보다 남자점원들의 얼굴을 먼저 살핀다. 그래서 그들 가운데 면도할 나이의 점원이 많이 있으면 경기가 나빠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 만큼 취업난이 심각해지는 증거로 보기 때문이다.이밖에도 경기가 안 좋을 때에는 담배꽁초의 길이가 더욱 짧아지고 소주 소비량이 늘고 성형외과가 잘 안된다는 속설이 있다. 반면 신경정신과는 불황의 스트레스로 성황을 이룬다는 얘기들이 많다.그런가 하면 불황기에는 영화관을 찾는 손님이 늘어나고 부부관계가 좋아져 콘돔 판매가 증가한다는 설도 있다.최상현 기자(puquapa@heraldm.com)- `헤럴드 생생뉴스`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불황 탓?… 빨간 립스틱 잘팔려
[동아일보 2008-12-05 03:15]
[동아일보]‘불황기엔 미니스커트와 함께 빨간 립스틱이 잘 팔린다’는 경제 속설이 있다.불황에는 여성들이 자신을 더욱 강하게 어필하기 위해 미니스커트를 입는 것처럼 색조 화장을 더 많이 하게 되고, 특히 비용 대비 효과가 큰 빨간 립스틱 소비가 늘어난다는 것.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매판매액 통계를 보면 ‘화장품 및 비누’ 판매액은 올해 6∼10월 5개월 연속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두 자릿수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다. 10월에는 14.6% 증가. 올해 중에도 6월 6800억 원이었던 화장품 및 비누의 판매액은 금융위기가 본격화한 9월과 10월 각각 7430억 원과 7435억 원으로 늘었다. LG생활건강 성유진 홍보과장은 “‘후’ 립스틱이 나온 지 열흘 만에 2만 개나 팔리는 등 전반적으로 불황이었던 올해 판매실적이 사상 최대”라며 “특히 짙은 붉은색이나 화려한 핑크 등 강렬한 색조 화장품이 인기”라고 말했다.
백화점 인기 강좌엔 ‘시대 트렌드’가 있다
기사입력 2008-12-05 14:00
‘크리스마스 케이크 만들기’, ‘한식조리사 과정’, ‘짠순이 현모양처 되기’, ‘한치 앞을 못보는 불황에 사주해설이나 배우자’.연말을 맞아 주요 백화점 문화센터들이 내놓자마자 마감될 정도로 인기를 끌고있는 강좌들이다. 백화점에서 쇼핑 이외에 문화센터까지 즐기는 이들은 그야말로 우리 한 시대를 대표하는 소비주체들. 이들을 대상으로 한 문화강좌들은 자연스럽게 최근 국제적인 경제 불황 속의 우리 사회 풍속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5일 신세계백화점이 지난 8년간 문화센터 이용고객들이 선택한 인기강좌를 분석한 결과 올해 문화센터 인기강좌의 화두는 ‘절약’과 ‘건강’으로 파악됐다. 지난 2001년 신세계 문화센터의 인기강좌는 50세 이상의 실버 세대를 위한 강좌들이었다. 당시는 경제가 조금 회복되기는 했지만 수많은 직장인들이 길거리로 쫓겨났던 1997년 외환위기의 여파가 남아있던 시기여서 자연스럽게 노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또 중국의 개방이 확대되면서 중국어 강좌도 인기를 끌었다.지난 2002년과 2003년은 젊은이들의 소비와 직장인들의 재테크가 폭발적인 관심을 끌었다. 특히 2002년에는 ‘신세계 영 노블리안 클래스’ 등 20대 소비층을 위한 각종 에티켓 교양강좌들이 인기를 끌었다. 정부와 금융권의 신용카드 남발로 젊은 층의 소비가 급증하면서 생긴 강좌인 셈이다. 신용카드 소비는 결국 2003년 말에서 2004년까지 이어지는 ‘가계부채 대란(大亂)’이라는 부메랑이 된다.2004년은 ‘카드사태’ 등으로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를 맞아 ‘몸짱’ 붐이 일었다. 2004년 말부터 본격적인 저금리 시대가 되고 실물경기가 반등하면서 2005년에는 재테크 강좌들이 다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이어 2006년에는 우리 사회가 여유를 되찾으면서 문화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폭됐다. 지난해는 재테크가 여전히 강세인 가운데 먹을거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이들 간식을 직접 만들어주겠다는 주부들을 위한 ‘간식요리’ 강좌가 인기를 끌었다.올해는 경제위기 속에 ‘가족의 건강과 안전’이 화두가 됐다. 특히 상반기부터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신세계 문화센터는 ‘알뜰맘(mom)’, ‘에코맘(eco-mon)’을 위한 절약, 환경관련, 홈메이드 쿠킹 강좌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박선호기자 shpark@munhwa.com
(서울=연합뉴스) 구정모 기자 = 잡코리아는 직장인 1천213명을 대상으로 복권구매 여부를 조사한 결과 80.3%가 복권을 구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복권을 사는 이유에 대해 직장이들은 '대박을 기대해서'(57.6%, 복수응답), '마음의 위안을 삼기 위해서'(51.2%)라고 답했다. 특히 이전보다 복권구매가 늘어났느냐는 물음에 이들 중 39.6%가 '늘었다'고 답했다. '변함없다'는 응답은 51.7%였고, '줄었다'는 8.6%에 그쳤다.직장인들은 대개 주1회(58.7%) 복권을 구매하고 한번 구매할 때 쓰는 비용은 5천원 정도(42.2%)인 것으로 조사됐다.pseudojm@yna.co.kr

[쿠키 경제] 불황으로 기업들의 송년회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 가급적 저녁 회식을 줄이고, 검소하게 보내는 기업들이 많다. 어려운 이웃에게 성금을 보내거나 봉사활동으로 송년회를 대체하는 기업도 늘고 있다.◇아끼고 줄이고=현대홈쇼핑은 16일부터 열흘 간 점심시간을 이용해 송년회를 갖는다. '음주 송년회'를 하지 않기 위해서다. 전문 뮤지션을 초청해 캐롤공연을 펼치고, 전 직원은 1층 로비에 마련된 뷔페에서 식사를 즐기도록 했다.이를 통해 지난해 2000만원 안팎이었던 회식 비용을 절반 이상 줄였다. 현대는 매년 현금으로 지급했던 팀별 송년 회식비도 올해는 문화상품권으로 지급했다.신세계도 영화나 뮤지컬 관람 등 '문화 송년회'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신세계 관계자는 "최근 사내 게시판에 부서 회식시 반드시 1차에서 끝내도록 권고하는 공지문이 올라 왔다"며 "자칫 과소비로 이어질 수 있는 음주 회식을 자제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식품기업 아워홈은 지난해까지 대규모로 벌이던 송년회 관행을 깨고, 3개 팀 단위로 나눠 간단하게 치르기로 했다. 회식 장소도 호텔 연회장 대신 저렴한 레스토랑으로 골랐다. 술자리를 좋아하지 않는 일부 팀은 '사랑의 연탄 나르기' 봉사활동 후 칼국수를 먹는 것으로 송년회를 대신하기로 했다.◇회식 대신 기부·자원봉사=불황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 사회 분위기를 감안해 '봉사 송년회'도 줄을 잇고 있다. 기부나 봉사활동으로 송년회를 대체해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기업 이미지까지 높일 수 있어 '1석2조'다.SK텔레콤은 매년 연말 을지로 사옥 안팎을 대형 크리스마스 트리로 장식해 왔는데, 올해는 사옥 단장 비용 5000만원을 한국실명예방재단에 내놨다. SK관계자는 "경기침체로 고통받는 이웃을 돕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했다"며 "연말연시를 검소하게 보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롯데홈쇼핑 역시 송년회 대신 국제구호단체 굿네이버스와 '2009 희망트리 캠페인'을 벌이기로 했다. 사내에 마련된 크리스마스 트리에 직원들이 새해 소망을 적은 쪽지를 걸고, 성금을 모아 굿네이버스에 전달하는 행사다. 롯데홈쇼핑 직원 이모씨는 "송년회가 없어 서운한 마음도 들지만 어려운 이웃을 돕는 일이라 불평하는 직원들은 없다"고 말했다.신세계이마트는 17일 '사랑의 김장김치 담그기' 행사를 열어 송년회를 대신하기로 했다. 매년 술 없는 송년회를 열고 있는 한국야쿠르트는 31일 '헌혈행사'를 열어 송년회를 대체한다. 1750여명의 임직원이 참여할 예정으로 이날 받은 헌혈증을 한국백혈병어린이재단에 기부할 예정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국민일보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신용카드도 덜 긁는다… 지난달 사용액 3.5% 줄어
기사입력 2008-12-06 03:03
5년만에 처음소비가 꽁꽁 얼어붙으면서 신용카드 사용액이 5년만에 감소했다. 통상 연말이 다가올수록 신용카드 사용액이 늘어나기 마련인데,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소비자들이 지갑은 닫고 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5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11월의 신용판매 승인실적(체크ㆍ선불카드 포함)은 25조330억원으로 전월 대비 3.5% 감소했다. 11월 신용카드 사용액이 10월보다 줄어든 것은 2003년 카드 대란 이후 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전년 동월비 증가율도 9.8%로 급감했다. 올 들어 경기 하강에도 불구하고 신용카드 사용액은 오히려 늘어 1~9월까지 카드사용액은 평균 20.1%씩 증가했다. 그러나 금융위기 후폭풍이 몰려오기 시작한 10월부터 카드이용액 증가율은 크게 낮아지기 시작, 11월에는 올 들어 가장 낮은 증가 폭을 기록한 것이다.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실물경기가 침체되는 시점으로 판단해 신용카드 사용액을 줄이고 있다"며 "특히 자동차 등 고가 제품 소비가 줄어든 것이 증가율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최진주 기자 pariscom@hk.co.kr
[한겨레] 자기계발 집중하면서 교육 수요 늘어날 듯예측불가능 불안감 커져 ‘치유’상품도 관심경기침체로 내년 우리사회의 소비 트렌드는 ‘불황형 실존주의’ 양상이 나타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센터장 김난도 교수)는 5일 발간한 ‘트렌드 코리아 2009’ 보고서에서 “내년에는 경기침체의 불안감 속에 소비자들이 자신의 존재가치를 높이고 개성을 추구하는 소비 행태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보고서는 특히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자구책으로 어린이부터 대기업 최고경영자에 이르기까지 ‘자기계발’에 더 열중하면서 각종 교육서비스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러닝(e-Learning) 시장과 교육 콘텐츠 시장은 물론 개인 ‘라이프 코칭’(life coaching), 경력·학습 컨설팅 등에 대한 수요가 늘어날 것이란 얘기다. 자기만의 개성과 자아를 확인하고자 하는 욕구도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스포츠·악기연주 등 다양한 체험형 활동 인구가 크게 늘어나고, 고전음악·순수미술·와인 등 고급 문화가 대중화 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누구 앞에서도 초라해지지 않기 위해 ‘무심한 듯 신경을 쓴’ 스타일이 유행하고, 개인의 정서적·신체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치유(Healing)’와 관련된 문화상품 및 상담 서비스도 각광받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집에서 적극적 여가활동을 즐기는 ‘신(新) 코쿤족’도 등장하는데, 과거 코쿤족이 사회와 단절하고 혼자만의 세계에 몰입했다면 ‘신 코쿤족’은 적극적인 재택 활동을 즐기며 재충전하는 유형이다. 김난도 교수는 “사회적 불안과 경기침체로 세상에 대한 실망이 커진데다 자유주의·개인주의적 가치관이 결합하면서 자신이 귀하고 소중한 존재임을 끊임없이 확인하려 하는 것이 ‘불황형 실존주의’의 특징”이라며 “이미지 메이킹 산업, 위로형 대중문화 상품이 속속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한겨레신문 구독 한겨레21 구독]

JAL speeding up restructuring efforts: Is a debt-for-equity swap with a major lender in the works?
June 22, 2007 By Ken Worsley
In an excellent piece published on Thursday, the Wall Street Journal warned that despite the steps toward restructuring that Japan Air Lines has announced, investors may want to wait for a clearer path to emerge before buying shares in Japan’s largest air carrier.
At issue is the fact that although JAL needs cash to buy new, more fuel-efficient airplanes, banks are reluctant to extend loans to a firm carrying debt that is 75 times greater than its operating profit, at $13.78 billion. Then we get the rumor:
[I]n a sign of tough times, last month it asked its banks to give up part of their debt in exchange for nonvoting shares in the company, people close to the situation say.
Such a debt-for-equity swap would certainly be risky for the banks, amidst the rising trend for shareholders to pressure banks not to provide large firms with financial bailouts simply based on who they are. For more detail on this, the WSJ article is the best place to go.
What I want to get to is a Nikkei report that JAL has decided to speed up some of its restructuring plans. It will apparently cut 4,300 jobs by the end of fiscal 2008, a year earlier than originally planned. It will also begin asking flight attendants to “retire” during this fiscal year, is looking to cut retirement benefits by 10%, and is considering cutting its entire workforce by 10% by the end of fiscal 2009.
When I saw all this, I figured at least one of their major banks must have been interested in the debt-for-equity swap. The Nikkei article finishes with the vague line, “As it scrambles to improve profitability, the airline hopes that such steps will curry favor with financial institutions and other lenders.”
We’re still wondering which financial institutions are going to risk raising the ire of shareholders. JAL’s largest lender, the state-owned Development Bank of Japan doesn’t have nearly as much to worry about as Mizuho Corporate, Mitsubishi UFJ and Mitsui Sumitomo (JAL’s other big lenders) do.
Just as pressing is whether or not the interested parties are going to demand deeper restructuring commitments from JAL.
Why Paulson is wrong
Luigi Zingales21 September 2008
Print EmailComment Republish

This weekend’s decisions will shape the type of capitalism we live with for the next fifty years. Here one of the world’s leading financial scholars, Chicago Business School Professor Luigi Zingales, argues that bailing out the financial system with taxpayers’ money is wrong. He discusses an alternative – forced debt-for-equity swap or debt-forgiveness.

When a profitable company is hit by a very large liability, as was the case in 1985 when Texaco lost a $12 billion court case against Pennzoil, the solution is not to have the government buy its assets at inflated prices – the solution is Chapter 11. In Chapter 11, companies with a solid underlying business generally swap debt for equity. The old equity holders are wiped out and the old debt claims are transformed into equity claims in the new entity which continues operating with a new capital structure. Alternatively, the debt holders can agree to trim the face value of debt in exchange for some warrants.
Even before Chapter 11, these procedures were the solutions adopted to deal with the large railroad bankruptcies at the turn of the twentieth century. So why is this well-established approach not used to solve the financial sectors current problems?
No time for bankruptcy procedures
The obvious answer is that we do not have time.
Chapter 11 procedures are generally long and complex, and the crisis has reached a point where time is of the essence. The negotiations would take months, and we do not have this luxury. However, we are in extraordinary times, and the government has taken and is prepared to take unprecedented measures. As if rescuing AIG and prohibiting all short-selling of financial stocks was not enough, now Treasury Secretary Paulson proposes a sort of Resolution Trust Corporation (RTC) that will buy out (with taxpayers’ money) the distressed assets of the financial sector.
But at what price?
If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find it difficult to recapitalise (i.e., issue new equity), it is because the private sector is uncertain about the value of the assets they have in their portfolio and does not want to overpay.
Would the government be better in valuing those assets? No. In a negotiation between a government official and banker with a bonus at risk, who will have more clout in determining the price?
The Paulson RTC will buy toxic assets at inflated prices thereby creating a charitable institution that provides welfare to the rich – at the taxpayers’ expense. If this subsidy is large enough, it will succeed in stopping the crisis.
But, again, at what price?
The answer: billions of dollars in taxpayer money and, even worse, the violation of the fundamental capitalist principle that she who reaps the gains also bears the losses. Remember that in the Savings and Loan crisis, the government had to bail out those institutions because the deposits were federally insured. But in this case the government does not have do bail out the debtholders of Bear Sterns, AIG, or any of the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that will benefit from the Paulson RTC.
An Alternative to Paulson’s RTC
Since we do not have time for a Chapter 11 and we do not want to bail out all the creditors, the lesser evil is to do what judges do in contentious and overextended bankruptcy processes. They force a restructuring plan on creditors, where part of the debt is forgiven in exchange for some equity or some warrants. And there is a precedent for such a bold move.
During the Great Depression, many debt contracts were indexed to gold. So when the dollar convertibility into gold was suspended, the value of that debt soared, threatening the survival of many institutions. The Roosevelt Administration declared the clause invalid, de facto forcing debt forgiveness. Furthermore, the Supreme Court maintained this decision.
My colleague and current Fed Governor Randall Koszner studied this episode and showed that not only stock prices but bond prices as well soared after the Supreme Court upheld the decision. How is that possible? As corporate finance experts have been saying for the last thirty years, there are real costs from having too much debt and too little equity in the capital structure, and a reduction in the face value of debt can benefit not only the equity holders, but also the debt holders.
If debt forgiveness benefits both equity and debt holders, why do debt holders not voluntarily agree to it?
· First of all, there is a coordination problem.
Even if each individual debtholder benefits from a reduction in the face value of debt, she will benefit even more if everybody else cuts the face value of their debt and she does not. Hence, everybody waits for the other to move first, creating obvious delay.
· Second, from a debt holder point of view, a government bail-out is better.
Thus, any talk of a government bail-out reduces the debt-holders’ incentives to act, making the government bail-out more necessary.As during the Great Depression and in many debt restructurings, it makes sense in the current contingency to mandate a partial debt forgiveness or a debt-for-equity swap in the financial sector. It has the benefit of being a well-tested strategy in the private sector and it leaves the taxpayers out of the picture.
But if it is so simple, why has no expert mentioned it?
Taxing the many to benefits the few
The major players in the financial sector do not like it. It is much more appealing for the financial industry to be bailed out at taxpayers’ expense than to bear their share of pain. Forcing a debt-for-equity swap or a debt-forgiveness would be no greater a violation of private property rights than a massive bailout, but it faces much stronger political opposition. The appeal of the Paulson solution is that it taxes the many and benefits the few. Since the many (we, the taxpayers) are dispersed, we cannot put up a good fight in Capitol Hill. The financial industry is well represented at all the levels. It is enough to say that for 6 of the last 13 years, the Secretary of Treasury was a Goldman Sachs alumnus. But, as financial experts, this silence is also our responsibility. Just as it is difficult to find a doctor willing to testify against another doctor in a malpractice suit, no matter how egregious the case, finance experts in both political parties are too friendly to the industry they study and work in.
Profits are private but losses are socialised?
The decisions that will be made this weekend matter not just to the prospects of the US economy in the year to come. They will shape the type of capitalism we will live in for the next fifty years. Do we want to live in a system where profits are private, but losses are socialised? Where taxpayer money is used to prop up failed firms? Or do we want to live in a system where people are held responsible for their decisions, where imprudent behavior is penalised and prudent behavior rewarded?
For somebody like me who believes strongly in the free market system, the most serious risk of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interest of few financiers will undermine the fundamental workings of the capitalist system. The time has come to save capitalism from the capitalists.

As the economy and wages worsen, more Japanese are cutting their own hair
December 3, 2008 By Ken Worsley
With the economy officially in recession and wages falling in October as Japanese firms cut back on overtime, the Nikkei is reporting that more and more Japanese are taking matters into their own hands - when it comes to getting a haircut.
In a piece in Wednesday morning’s edition, the Nikkei reports that sales of hair dye, electric clippers and and hair irons is on the rise, as visits to hair salons are apparently on the decline. The paper reports that Loft has seen a 10% rise in the sales of hair irons, while Koizumi Seiki has seen a 20% rise in sales of its negative-ion hair iron. Meanwhile, Yodobashi Camera is reporting a 10-20% rise in sales of men purchasing hair irons, while Joshin Denki in Osaka’s Nipponbashi has seen a 20% increase in sales of one Panasonic model of hair clipper.
On the other hand, beauty salon operator Taya saw 4.6% fewer customers in the April-September quarter, while Arte Salon Holdings has seen a 9.3% decline in the number of customers over the first ten months of 2008.
So, now that Toyota has cut bonuses for management by 10%, one has to wonder if a self bar-code hairstyling machine will hit the market any time soon.

Stocks shake off jobs report to end with big gains
Email this StoryDec 5, 6:22 PM (ET)By TIM PARADIS
var fiMaxNumSponLinks = 5;
var fiSponLinksDivHgt = 195;
var fiSponLinkTarget = new Array();
var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 new Object();
globHtmlWriteSponSideBar1Obj.type = '8';
fiSponLinkTarget[0]= new Array('gca_sidebar1',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fiSponLinkTarget[1]= new Array('gca_sidebar1',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fiSponLinksChannelTag = 'excite_myway_news_js';
document.write('');

Google sponsored links

Trader Makes $18 Billion - California trader makes $18 Billion in a single year! Find out Howwww.VirtualinvestingClub.com

Low Latency Processing - High-volume market data analysis with sub-millisecond latency.www.Coral8.com
NEW YORK (AP) - Wall Street put an upbeat spin Friday on the government's report that the nation lost more than half a million jobs last month. Stocks reversed early losses and closed sharply higher as the data raised hopes that Washington will again step in to help the economy.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closed up nearly 260 points as investors' shock dissipated over the Labor Department's report that employers slashed 533,000 jobs in November compared with the 320,00 that economists forecast. Ultimately, even a terrible reading on employment wasn't surprising to a market that has been drubbed by a stream of bad economic news.
The market's advance in light trading volume left Wall Street with moderate losses for the week, the result of a nearly 680-point slide in the Dow on Monday. More important, the market was able to claim a victory of sorts over the course of the week - except for Monday's drop, stocks repeatedly overcome bleak economic data and corporate announcements.
Demand for the safety of government debt eased slightly Friday but remained high. In the past week, Treasury yields have plunged to their lowest levels since the government started issuing them.
Stock market investors who originally sold Friday after the employment figures had a change of heart by afternoon, believing the numbers could make the government more likely to supply more aid for the economy. They also appeared relieved by the market's relatively cool reaction to the data - trading was orderly and the huge loss of jobs didn't spark the type of massive sell-off it might have even a month ago when Wall Street still trying to determine how severe the recession would be.
"In a kind of paradoxical sense, the really ugly employment numbers probably helped the case for more help from Washington, whether it's through the broader stimulus plan or more targeted industry measures," said Craig Peckham, equity trading strategist at Jefferies & Co.
Job losses were widespread, hitting manufacturing, construction, retail, financial and other sectors.
Beyond the hopes for more aggressive moves by the government, strength in the tattered financial sector also gave a boost to the overall market Friday. An upbeat forecast from Hartford Financial Services Group Inc. cut through some of investors' fears that profits among financial firms would continue to spiral lower; the company raised its profit expectations for the year and quelled some concerns about the strength of its balance sheet.
Kim Caughey, equity research analyst at Fort Pitt Capital Group, said that Hartford's "bullish commentary" boosted investors' appetite for financial companies like insurers and banks.
Friday's advance was the eighth for the Dow in 10 sessions, raising some hopes that stability was returning to the Street after months of turbulence. But some analysts were still cautious.
"The markets are, in my view, acting not stable at all but with excessive volatility and unpredictability," said Gary Townsend,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of private investment group Hill-Townsend Capital Inc. "It's a very difficult market to invest into and a very difficult market to trade."
The Dow industrials jumped 259.18, or 3.09 percent, to 8,635.42 after falling by 258 and rising as much as 310 in the volatile trading late in the session.
Broader stock indicators also advanced. The Standard & Poor's 500 index rose 30.85, or 3.65 percent, to 876.07, and the Nasdaq composite index rose 63.75, or 4.41 percent, to 1,509.31.
The Russell 2000 index of smaller companies rose 21.56, or 4.91 percent, to 461.09.
Two stocks rose for every one that fell on the New York Stock Exchange, where consolidated trading volume came to a light 6.03 billion shares, compared with 5.7 billion traded Thursday. Thin trading can exacerbate the market's moves.
For the week, the Dow fell 2.2 percent, the S&P 500 declined 2.3 percent and the Nasdaq fell 1.7 percent.
Bond prices fell as stocks turned higher - ending a winning streak that had sent yields to record lows for much of the week. The yield on the benchmark 10-year Treasury note, which moves opposite its price, jumped to 2.70 percent from 2.56 percent late Thursday. The yield on the three-month T-bill, considered one of the safest investments, rose to 0.02 percent from 0.01 percent late Thursday.
The dollar was mixed against other major currencies, while gold prices fell.
Light, sweet crude fell $2.86 to settle at $40.81 a barrel on the New York Mercantile Exchange. Concerns about the economy and weakening energy demand have kept oil prices near four-year lows. The price of oil has fallen a staggering 72 percent since peaking at $147.27 in July.
Analysts said the extent of the labor market's weakness likely will galvanize government officials.
"In the perverse way that the market works, there's a hope that it further fuels the dire need for economic stimulus for the Street and for the consumer, with so many people out of work right now," said Ryan Larson, senior equity trader at Voyageur Asset Management.
The Federal Reserve and the Treasury have been taking unprecedented steps to revive the economy since the mid-September bankruptcy of Lehman Brothers Holdings Inc. (LEH) The biggest move was the government's $700 billion rescue for the banking sector. The Treasury said Thursday it is considering a plan to encourage banks to make mortgage loans at low rates; that could help patch up the troubled housing market, which many analysts say is crucial to any economic recovery.
While the deluge of bad economic readings have weighed on the markets in the past several months, investors are growing somewhat accustomed to the news. The stock market, which generally looks ahead, tends to recover six to nine months before economic reports show a recession is abating. At some point, investors likely will determine that a recession has been fully built into the market's expectations and will begin placing bets on a recovery.
Part of investors' latest uncertainty centers on the automakers. The heads of Detroit's Big Three appeared on Capitol Hill this week. General Motors Corp. (GM), Ford Motor Co. (F) and Chrysler LLC are collectively seeking $34 billion in emergency funding. While the market largely expects the companies will win some sort of government aid, support for the troubled carmakers isn't assured.
GM fell 3 cents, or 0.7 percent, to $4.08, while Ford rose 6 cents, or 2.3 percent, to $2.72. Chrysler isn't publicly traded.
Financial stocks also rallied after Hartford's forecast. Hartford's stock doubled, jumping $7.38 to $14.59. Other financials rose as well. Wells Fargo & Co. (WFC) advanced $2.39, or 8.7 percent, to $29.94, while Prudential Financial Inc. (PRU) surged $7.35, or 35 percent, to $28.52.
Optimism that buoyed some overseas markets following massive interest rate cuts across Europe Thursday deflated following the report on U.S. jobs. Britain's FTSE 100 fell 2.74 percent, Germany's DAX index fell 4 percent, and France's CAC-40 declined 5.48 percent. Japan's Nikkei stock average slipped 0.08 percent; trading in Tokyo ended before the employment report was released.
---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ended the week down 193.62, or 2.19 percent, at 8,635.42. The Standard & Poor's 500 index finished down 20.17, or 2.25 percent, at 876.07. The Nasdaq composite index ended the week down 26.26, or 1.71 percent, at 1,509.31.
The Russell 2000 index finished the week down 12.05, or 2.55 percent, at 461.09.
The Dow Jones Wilshire 5000 Composite Index - a free-float weighted index that measures 5,000 U.S. based companies - ended at 8,737.14, down 208.06 points, or 2.33 percent, for the week. A year ago, the index was at 14,963.52.
Debt-for-equity swap plan gets big boost
Southeast Asian leaders on Saturday called on international lenders to consider swapping debt for equity in projects to enable poor countries to reduce poverty.
The proposal, first put forward by the Philippines more than a year ago, would allow poor countries to swap up to 50 percent of their debt service payments with creditors.
In turn the creditors would be given equity in projects such as reforestation, pollution control, mass housing and health care, allowing poor countries to reduce poverty and help them meet UN development targets.
“We agreed that debt repudiation, debt-forgiveness or even discounts on existing levels of obligations are not the appropriate measures to apply,” leaders of the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Asean) said at their annual summit.
The proposal is aimed at 102 of the world’s poorest and most heavily indebted countries, they said in a statement.
Speaker Jose de Venecia Jr. had proposed for the creation of “antipoverty fund and Asian monetary fund” to combat poverty in Southeast Asia and advance Asean objectives.
Addressing the 27th Asean Interparliamentary Organization (AIPO), de Venecia said the key to realize this goal is the creation of an Asean micro­finance fund to be capitalized from international lenders, successful hedge funds and donor countries.
“From this fund our micro-lending institutions could draw to generate job and livelihoods; to create social wealth and to stimulate entrepreneurial energies in Asia’s urban and rural slums,” he said.
De Venecia also proposed to invite 2006 Nobel Peace prizewinner Mohamad Yunus to become the first president of the fund putting its headquarters at the Asian Development Bank, one of the possible contributors for the fund.
The AIPO and other parliamentary organizations in Asia have been discussing the workings of an Asian monetary fund that de Venecia said he “believes should complement and cannot compete with the work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Since our region is all too susceptible to financial crises, Asean might consider initiating feasibility studies of this ‘Asia IMF’ starting with China, Japan and South Korea,” he said.
The recent successes of Asian bonds and swap arrangements among some Asian central banks are movements toward an Asian monetary vehicle, he added.
De Venecia said that China’s acquisition of the trillion dollars in foreign currency reserves—the largest in the world—Japan’s stockpile of $800 billion and the rebound of South Korean economy must be recognized as an emergence of new powers from Asia.
“Besides these countries, other Asian countries are also gaining strength such as India, Iran and Saudi Arabia.” --AFP and Angelo S. Samonte
Telewest agrees debt-for-equity swap
— filed under: Internet
Added:
Sep 15, 2003
The company has been dicussing the terms of its refinancing with a committee of its bondholders since last year, with the intention of agreeing a debt-for-equity swap that would reduce crippling interest payments that have long prevented it from reporting a profit.Bondholders including Liberty Media, W.R. Huff Asset Management and IDT Corporation, will strike off about £3.5bn of Telewest's debt in return for shares. By the time the restructuring is complete, lenders will own 98.5% of Telewest's equity.The deal mirrors a similar one completed by NTL at the start of the year, when it emerged from Chapter 11 bankruptcy having swapped £7.5bn of its debt for new equity, issued to bondholders.Both NTL and Telewest have long been expected to merge in order to challenge Sky's dominance in the UK digital television market. Once Telewest has re-aligned its balance sheet, the two companies will sure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proceed with such a deal.As well as impacting the television marketplace, a combined NTL and Telewest group would also offer greater competition in the telecoms and internet sector, with both companies able to strengthen their cable broadband push, providing incumbent operator BT with a much stronger challenge.28 July:
Debt-for-equity swaps of dubious legality
15:46' 30/08/2006 (GMT+7)
Discounting and selling non-performing loans is a common practice among banks around the world but still a new concept in Vietnam.
A non-performing loan (NPL) is one that has stopped earning interest income for the bank and on which the borrower is likely to default. In another words, an NPL is what is also called a bad debt.
Financial institutions buy NPLs at a discount, expecting to turn a profit if the loan is ultimately collected, but meanwhile the NPL can be listed as assets to secure bond issues or other borrowing by the bank.
The institution buying the NPL can also issue real estate mortgage securities and equity mortgage securities to the selling bank in lieu of cash payments, making a debt-equity swap (i.e., transformating creditors rights into equity rights).
Trading in NPLs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is needed to address a source of capital stagnancy. Foreign banks and financial institutions are eyeing Vietnam as a potential market for NPL trading, but the legal framework does not support this activity and is largely puzzling to foreign financiers.
In Vietnam, pursuant to Decision No 140/1999/QD-NHNN 14 of the State Bank of Vietnam dated April 19, 1999, numerous institutions may purchase of debts from commercial banks including State-owned commercial banks, investment bankers, development banks, joint stock commercial banks, joint venture banks, branches of foreign banks, public policy banks, central credit funds, finance companies, leasing companies, collection agencies, and even foreign entities.
Many commercial banks have subsidiaries that function to manage and sell debts and other assets of the bank. Vietnamese law, however, is silent on whether these companies can buy and sell loans of other banks.
Other jurisdictions uphold the operation of Specific purpose companies (SPCs) which issue and acquire bonds in trading NPLs. SPCs are usually paper companies operated solely to hold equity in other firms.
Questions remain about the legality and possibility of SPCs in Vietnam. The Law on Enterprises requires a company to be established with substance (registered capital) and a stated purpose, and it is unclear whether the mere holding of equity in other firms would be deemed a business function acceptable to business registrars.
Foreign entities buying NPLs in Vietnam are also constrained by laws requiring the sale of debts overseas be approved by the State Bank.
Normally, the sale of debts encompasses the transfer of security interests to the buyers of the debt. A major concern expressed by foreign banks is whether and to what extent they can hold security interests from Vietnam, noting that Vietnamese law does not allow the mortgage of land use rights or assets affixed to the land to overseas banks.
Real estate trust transactions which are allowed in many countries are also of dubious legality in Vietnam.
Another legal problem hinders debt-equity swap transactions. Debt buyers wonder how they can convert their creditors' rights into equity rights (i.e., become a shareholder in a debtor's firm).
Vietnamese law provides for new shareholders only by means of transfer of shares with the consent of current shareholders, provided the business registrars approve the application dossier.
There is no legal mechanism enabling conversion of debts into equity in a debtor's firm. Business registrars may not have the power to enforce mortgage transactions using shares as a security interest.
Even if the debt equity swap transaction is lawful, foreign creditors still face the limitation on foreign equity in local firms which is currently set at 30%. A new cap will be proposed in the yet-to-be-issued decree guiding the new Law on Enterprises.
An SPC's issuance of bonds also needs to. be approved by the State Securities Commission. Decree 52/2006/ND-CP requires an SPC to have been in operation for a year and profitable in the preceding year.
There are no legal guideline with respect to the issue of bonds on overseas markets by privately-owned enterprises or foreign-invested enterprises.
Government Decree No 23/CP, dated March 1995, on the issuance of international bonds only regulates government bonds or bonds issued by State-owned commercial banks or State-owned enterprises.
GM (GM): A Debt For Equity Swap No Answer To Larger Problems
247Wallst Sat, 11/29/2008 - 12:47pm Add a comment
Rank this post
0 Up Down
ShareThis
GM (GM) would like to get some unsecured debt-holders to swap their crumbling paper for equity in the failing auto marker. It may appear that this would solve a problem, but it creates several more and hardly cures what ails the firm. According to The Wall Street Journal, "By agreeing with ce
지준부리, 한국은행식 자본투입
[BOK Watch]"이익 늘려줄테니 대출 나서라"…돈맥 뚫는 외과수술
한국은행이 3일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지준예치금에 대한 이자지급을 의결하자 채권시장의 많은 참가자들이 실망했다. 애타게 기다렸던 지준율 인하가 물 건너갔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은에게 이번 조치는 의미심장한 결정이었다. 통화당국이 지준율이나 기준금리 인하처럼 경제 전체에 영향이 가는 정책을 구사하는 대신에 돈의 길이 막힌 곳을 찾아 뚫어주는 '외과수술'에 나선 것이다. 더구나 지준에 대한 이자는 한은이 직접 지출하는 비용으로 수지 악화 부담을 안게 된다. 이날 임시 금통위는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였다. "이런 걸로 임시 금통위까지 열어야 했나"라는 의구심도 많았다. 한은의 대답은 "기왕 할 것 빨리 하는 게 좋다"였다. 그동안 너무 굼뜨고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벗어던지려는 듯 했다. ◇ 지준부리 이유? "BIS비율 올라가야 대출 늘린다" 은행이 대출을 늘리지 않는 이유를 한은은 BIS비율 하락에서 찾았다. 한은이 은행채를 사줘서 유동성엔 숨통이 트였지만 그렇다고 대출을 늘릴 순 없었던 게 은행의 사정이다. BIS비율 하락을 가속화시키기 때문이다. 대출을 줄이지 않고 BIS비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이익을 많이 내거나 새로운 자본을 투입하는 수밖에 없다. 하지만 편법을 쓰지 않고는 한은이 민간 은행에 직접 자본을 투입할 수는 없다. 민간 기업(은행포함)의 주식을 사는 것은 한국은행법에서 엄격하게 제한하고 있다. 결국 한은이 은행의 BIS비율 개선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지급준비금에 대해 이자를 주는 것이다. 말하자면 지준부리는 한국은행이 정부를 통하지 않고(예컨데, 한은이 국채를 사주고 정부가 그 돈을 은행에 투입할 수 있음) 자력으로 할 수 있는 은행에 대한 자본 투입인 셈이다. 지준예치금이 무이자인 이유는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은행들이 지불하는 성격이 컸다. 이번 5000억원 이자지급으로 그만큼의 비용이 한은 손익계산서에 계상되게 됐다. 더구나 한은은 그간 외환보유액과 통화안정증권의 역마진 구조로 수지가 극도로 악화돼 왔다. 지준부리 결정이 한은으로서는 상당한 배려라고 할 수 있다. 주택금융공사채를 공개시장조작 대상 채권에 포함시킨 것 역시 은행의 BIS비율 개선을 우회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지준부리가 이익을 늘려주는 방식인 것과 달리 대출자산을 덜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식이다. 앞으로 한은은 공개시장조작용으로 주택금융공사채를 매입할 것이다. 그럼 주택금융공사는 채권을 발행한 자금으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을 사들여 MBS를 발행할 수 있다. 주택금융공사는 MBS 발행을 위한 안정적인 조달 수단이 하나 생긴 셈이다. 주택담보대출 자산을 처분한 은행은 BIS비율을 떨어뜨리지 않고 그만큼의 대출을 추가로 취급할 수 있게 된다. 한은은 은행들이 현행 BIS 비율을 유지하면서 위험가중치가 100%인 기업대출을 할 경우 은행의 총 여신 여력 확대 규모는 6조3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사실 주택금융공사채를 공개시장조작에 넣는 것은 오래 전부터 예상돼 왔다. 국채를 제외하고는 공개시장조작 대상 채권으로 그나마 가장 적합했다. 그러나 먼저 국내 MBS 시장이 충분히 안정적이라는 증거가 필요했다. ◇ 지준율 인하? "10조원 잉여자금 갖고도 그런 말이 나오나" 한은은 지준율 인하를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 지준율 인하보다는 지준부리의 유동성 확대 효과가 더 크다며 최근 은행들의 요구를 '희망사항일 뿐'이라고 일축했다. 지준율을 인하하게 되면 은행의 초과 지준만큼은 자동적으로 한은의 공개시장조작에 의해 흡수되고, 지준율 인하 효과가 은행 수지개선, 대출증가, 유동성 확대로 나타나는 데는 최소 6개월에서 1년이 걸린다고 한은은 지적했다. 오히려 5000억원의 이자 지급이 지준율을 0.8%포인트 인하했을 때 은행이 대출로 벌 수 있는 자금을 감안한 것인만큼 은행에게는 더 이롭다는 것이다. 한은이 적용한 대출금리는 지난 10월 예금은행이 신규 취급한 대출 평균금리인 7.79%이다. 채권시장안정펀드 재원 마련을 위해서는 지준율 인하가 필요하다는 은행들의 요청에 대해서는 "10조원이 넘는 단기 잉여자금을 가지고서도 그런 요구를 할 수 있느냐"고 꼬집었다. 은행들이 연 4%의 낮은 금리를 받는 한은 RP로만 잉여자금을 운용하고, 8% 이상인 우량 회사채를 사지 않는 것을 지적했다. 지준율 인하 요구에 대해서는 은행에 불편한 속내도 드러냈다. 금융시장이 불안한 틈을 타 은행들이 한은에서 받아낼 수 있는 걸 모두 끌어내려고 한다는 것이다. 마치 물에 빠진 사람 건져줬더니 보따리 내놓으라는 격이란 시각을 노출한 것이다. 이주열 부총재보는 "지준율을 한번 내리면 오랫동안 다시 올리기 어렵다는 것을 은행들이 알고 있기 때문에 그런 요구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은행이 종전보다 신용공급에 더 적극적일 것"이라며 "구체적인 공급 확대로 이어지기 위해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12월 금통위, 금리인하 폭은? 오는 11일 열릴 12월 금통위에서는 최고 0.25%포인트, 최대 0.50%포인트의 금리인하가 이뤄질 것으로 경제 및 채권시장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다. 지난 2일 더벨이 전문가 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는 0.25%포인트 인하 9명, 0.50%포인트 인하 9명으로 팽팽했다. 지준예치금에 대한 이자지급과 지준율 인하에 대한 분명한 거절은 12월 금통위에 어떤 변수로 작용할까. 우선은 한은이 돈맥경화 해소를 위한 유동성 공급에 주력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내년이후 상당한 수준의 경기수축을 불가피하다고 보면 한은이 추가 금리인하에 나선다는 전망은 상식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한은이 금리인하를 중단한다면 그 자체가 쇼크가 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그러나 현재 은행들의 대출축소와 신용스프레드 확대 이유는 기준금리가 높아서가 아니다. 위험한 곳으로는 돈이 흘러가지 않는 '돈맥경화' 때문이다. 기준금리를 사상 최대 폭으로 떨어뜨려도 은행 대출금리나 회사채 금리는 하락하지 않았다. 한은으로서는 다소 난감한 상황이 아닐 수 없다. 이번 조치는 "한은이 적극적으로 금융시장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시장에 표현한 셈이다. 채권시장에서는 이를 금리인하 폭의 확대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그러나 내년 이후를 감안하면 금리인하 카드를 물 쓰듯 써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예상보다 심하고 긴 경기악화를 대비해 남겨둬야 한다. 기준금리를 미리 잔뜩 낮추었다가 경기침체가 장기화되면 유동성함정과 디스플레이션의 악몽이 현실이 될 지도 모를 일이다.

시중은행들은 3일 금융통화위원회가 지준예치금에 이자를 지급하기로 결정한 것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재무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중소기업까지 지원해야하는 2중고에선 '가뭄에 단비'라는 평가다. 다만 시기나 방법에 대해선 다소 아쉽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날 한국은행은 임시 금통위를 열어 은행권이 한은에 예치한 지준예치금에 대해 총 5000억원 규모의 이자를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조치는 한시적인 조치이나, 은행들은 총 6조3000억원의 여신을 확충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한국은행은 분석했다. 그간 은행들은 "정부가 기업을 살리기 위해 지나치게 금융기관들을 압박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해왔다. 최근 연체율 상승으로 BIS(국제결제은행) 등 경영지표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는데, 이런 상황에서 기업대출을 늘리라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요구라는 점에서다. 그러나 정부가 한국은행을 통해 사실상 은행에 자금을 지원함에 따라서, 이 같은 불만은 상당부분 해소되는 분위기다. 은행들이 주목하는 건 정부의 태도변화다. 지금까지는 무작정 기업들만 살리라는 분위기였는데, 이젠 금융권의 어려움에도 주목하는 것 아니냐는 것이다. A은행 관계자는 "정부가 금융권의 현실을 무시하고 기업지원에만 매달렸는데, 이번 조치로 시각이 바뀐 듯 하다"며 "이번 금통위의 결정에 대해선 일단 환영할 일로, 은행권 유동성에 숨통이 트였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급준비금에 이자가 지급되면 다소나마 수익성이 개선되는 효과도 있다"며 "내부적으로 검토해 봐야겠지만 호재인 것은 분명하다"고 덧붙였다. B은행 관계자도 "정부가 명목적으로도, 실질적으로도 어려운 결정을 내린 듯 하다"며 "중소기업 지원여력이 다소나마 생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금통위의 이번 결정이 시기적으로 아쉽다는 반응도 있었다. 정책효과가 극대화하기 위해선 여러 방안을 하나씩 내놓을 게 아니라, 종합대책으로 묶어서 힘을 키우는게 바람직하다는 주장이다. 또한 임시방편식 지원책보다, 산업계와 금융권을 한 데 묶는 구조조정을 통해 시장효율을 올리는 게 적절하다는 원론적인 반응도 있다. C은행 관계자는 "금융권 여건이 생각보다 좋지 않아서, 대출여력이 생긴다 해도 바로 실행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며 "구조조정이 선행된다면 비용효율 측면에서 더욱 개선효과가 있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그는 이어 "이번 금통위의 결정은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있다"며 "외화 및 원화유동성 지원과 함께 나왔다면 더욱 효과가 컸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은행이 늦어도 다음주초까지 은행들의 예금지급준비예금(이하 지준금)에 대해 5000억원 가량의 이자를 지급한다. 또 오는 9일부터 주택금융공사에 환매조건부(RP) 매매 방식으로 유동성을 공급,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채권을 매입하도록 할 방침이다. 한은은 3일 오후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두 안건을 의결했다. 한은은 "이번 조치로 따라 은행의 여신여력 확충 규모가 △지준금에 대한 이자지급으로 4조6000억원 △주택금융공사의 주택담보대출채권매입으로 1조7000억원 등 총 6조3000억원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각 은행별 지준금 통계를 확인하는 대로 이번주 또는 다음주초까지 연 2.3% 금리의 이자를 지급할 예정이다. 이자지급 대상기관은 지준금을 예치해야 하는 모든 금융기관이고, 대상예금은 최근 1년간(2007년 11월 8일~2008년 11월 5일) 각 금융기관의 지준금 평균잔액(약 23조원)이다. 이번에 지급하는 이자 5000억원은 현 시점에서 지급준비율을 0.8%포인트 낮출 때와 같은 수익 개선효과를 가져온다고 한은측은 설명했다. 되도록 지급준비율 인하를 꺼리는 한은 입장에서 대안을 내놓은 셈이다. 이주열 한은 부총재보는 "지준율을 낮추면 유동성 확보까지 시간이 걸리는 반면 이번 이자 지급은 1회에 한하지만 효과는 즉각적"이라며 "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상승하고, 여신여력이 증대된다"고 말했다. 한은은 또 오는 9일부터 주택금융공사 발행 사채를 공개시장조작 대상증권에 포함시켜 RP 매매 방식으로 매입하기로 했다. 주택금융공사는 추가된 유동성을 바탕으로 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채권을 매입하게 된다. 부채 성격의 주택담보대출채권이 줄어들면 은행은 그만큼 BIS 비율의 상승효과를 누리게 된다. 이 조치는 전산시스템 추가 구축을 거쳐 오는 9일부터 시행된다. 한편 지준금에 대한 이자 지급은 지난 1986년 이후 22년만이다. 당시 금리 수준은 연 2%였고, 1983년과 1984년에는 각각 10%, 5% 수준이었다. 지준금은 각 금융회사가 예금자들의 대규모 인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한은에 예금총액의 일정부분 을 적립하는 금액이다. 지준율은 예금총액에 대한 지준금의 비율이다.

채권시장은 임시 금융통화위원회 결과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은행의 유동성을 늘려줘 대출 확대를 꾀해 '돈맥경화'를 일부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일 한국은행은 임시 금통위를 열고 주택금융공사채를 공개시장조작 대상 증권에 포함하고 은행의 지급준비금에 대한 이자지급을 하기로 결정했다. 한은은 공개시장조작대상 증권에 주택금융공사채를 포함, 이를 환매조건부(RP) 방식으로 매입하고, 주택금융공사는 이 자금으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채권을 사주는 방식이다. 결국 은행은 위험가중치인 주택담보대출채권이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상승하는 효과를 얻는다. 당연히 기업에 대한 대출 여력이 늘어난다. 그간 은행들이 BIS 하락을 우려해 신규대출을 극도로 꺼려왔던 상황이 어느 정도 호전될 개연성은 커지는 셈이다. 또한 은행이 한국은행에 예금액의 일정부분을 예치하는 지급준비예금에 이자를 받게되면 수익성이 좋아져 대출을 늘릴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은행의 대출확대는 유동성 확대에 힘을 보탤 수 있다. 연 2.3%의 수익률이 확정될 경우 5000억원대의 이자가 은행권으로 흘러들어갈 전망이다. 채권 시장은 금통위의 지원책에 대해 환영하는 분위기다. 일단 국고채 금리는 이를 선반영하듯 전일대비 0.18%포인트 급락(채권가격 상승)했다. 신동수 NH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은행입장에선 좋은 결과이므로 신규 대출 여력을 높여줄 수 있다"며 "한은의 지급준비금 이자지급은 과거에 중단됐다 부활한 것이고 미국도 최근 이같은 조치를 취해기 때문에 유동성 확대를 위해 통화당국이 쓸 수 있는 카드를 모두 고민한 흔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직접적인 통화량 증가에 도움이 되겠냐는 조심스러운 시각도 있고 은행채의 금리하락으로 이어질지도 미지수다. 황태연 동양종금증권 애널리스트는 "차라리 지급준비율을 인하하는 것이 통화량 증가에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다"며 "지준부리가 채권시장에 우호적으로 작용하겠지만 신용위험을 해소할 근본적 대책으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은행채 금리 인하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가는 한국은행이 은행들의 예금지급준비금에 대해 이자를 지급키로 한데 대해 은행들의 수익성과 유동성 개선에 도움이 될 조치라며 '호재'로 평가했다. 이병건 신영증권 연구원은 3일 "은행들이 지준으로 묶어 놓고 가는 금액이 상당하다"며 "이자를 지급한다면 은행들에게는 호재"라고 분석했다. 또 유동성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2.3%의 이자를 지급할 경우 은행권에 유입될 금액은 5000억원대로 추산된다. 최정욱 대신증권 연구원도 "은행들은 그동안 지준율 인하를 요구해 왔는데 지준율 인하 대신 이자를 지급하는 방법으로 결정이 난 것 같다"며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돼 그만큼 대출 여력이 커지게 될 것"으로 분석했다. 하지만 은행주가의 향방은 아직은 불투명하다. 지난달 중순 은행주들이 급락한 이후 최근 반등하고 있지만 이는 근본적인 불확실성의 해소가 아니라 수급 개선과 정부의 정책 발표에 따른 반응이라는 해석이 아직까지는 지배적이다. 반등하더라도 아직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 한 애널리스트는 "내년 은행들의 건전성이 악화된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고 가장 문제는 불확실성"이라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등 은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는 상승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금융업종 지수는 이날 2.36% 상승했다. KB금융(30,450원 1,250 +4.3%)이 4.64%, 신한지주(31,700원 950 +3.1%)가 5.50%, 하나금융이 5.92% 각각 올랐다.

한국은행은 3일 은행 지급준비금에 대한 5000억원 규모의 이자를 지급하고 주택금융공사채를 9일부터 공개시장조작 대상 증권에 포함시킨다고 밝혔다. 한은은 이날 오후 3시 30분 임시 금융통화위원회을 열어 은행의 여신능력 확충을 위해 은행에 지준금에 대한 이자(지준부리)를 지급키로 결정했다. 한은 관계자는 "지준부리를 지급하게 되면 이자액만큼 은행수지가 즉각 개선돼 BIS자기자본비율이 상승하고 은행의 여신여력도 증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자지급 대상 예금은 2007년 11월 8일부터 2008년 11월 5일까지 각 금융기관 예금 지급 준비 예금 평잔이며, 이자율은 연 2.3%다. 한은은 총 이자지급 규모가 5000억원에 근접하도록 이자율을 맞춘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은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발행하는 채권을 오는 9일부터 환매조건부(RP) 매매 방식으로 이뤄지는 공개시장조작 대상증권에 포함시켰다. 이에 따라 주택금융공사채 발행에 따른 자금조달이 원활해지고 공사의 은행 주택자금대출채권 매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관계자는 "은행의 재무건전성이 좋아지고 신규여신 여력이 확대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를 통해 은행들이 여신을 확대될 수 있는 추가 BIS수준을 유지하면서 추가 여신을 할 수 있는 규모는 6.3조원 정도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US ag chief: China, US agree on free farm trade
Email this StoryDec 6, 6:35 AM (ET)By ELAINE KURTENBACH

(AP) U.S. Secretary of Agriculture Ed Schafer, left, listens to information from Chief Executive Officer...Full Image
if (NAV_NS&&NAV_VER");
else document.write(" ");


var fiMaxNumSponLinks = 5;
var fiSponLinksDivHgt = 195;
var fiSponLinkTarget = new Array();
var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 new Object();
globHtmlWriteSponSideBar1Obj.type = '8';
fiSponLinkTarget[0]= new Array('gca_sidebar1',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fiSponLinkTarget[1]= new Array('gca_sidebar1',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fiSponLinksChannelTag = 'excite_myway_news_js';
document.write('');

Google sponsored links

Karl Suss Equipment - Service & sales of refurbished, new and used Karl Suss equipmentwww.specequipment.com

China Import & Export - Wholesale Price from Manufacturers Join Us Today & Inquiry Directly!www.Made-in-China.com
SHANGHAI, China (AP) -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gree on the need to resist protectionist farm tariffs even in the face of the world economic crisis, the U.S. agriculture secretary said Saturday, while urging action on a world trade agreement.
Ed Schafer told reporters that both countries are aware the tough economic times could lead to a protectionist backlash and are committed to guarding against one - a stance that could nudge along a seven-year effort to lower global trade barriers known as the Doha Round.
"We talked ... about the tendency in times of trouble to instill protectionism in one's country," Schafer said after visiting a food products and services exhibition in Shanghai. "And we pledged as two of the world's largest agricultural producers to encourage the rest of the world to back away from protectionism."
But Schafer offered no specifics, and it was hard to tell if there was a promise of real movement on the Doha agreement, which was once hailed as a formula for lifting millions out of poverty. Talks collapsed in July after countries such as India and Brazil rebuffed an offer by the U.S. and Europe to gradually reduce their farm subsidies in exchange for lower tariffs on food stuffs imported by developing countries.

(AP) U.S. Secretary of Agriculture Ed Schafer, center, tours the booths of American exhibitors of...Full Image
Yet Schafer said both the U.S. and China were confident the round can succeed.
Asia-Pacific leaders meeting at their annual summit agreed to send trade ministers to Geneva this month to try to break a logjam over farm trade. While analysts say they are not optimistic, U.S. officials say they are making a strong effort to get a final agreement.
The U.S. side is prepared to make "appropriate commitments" on cutting subsidies to farmers, a key sticking point, but a deal would require a reduction of trade barriers from others to help farmers and manufacturers weather the ups and downs of demand that the subsidies are meant to help counter, Schafer said.
"If we lower that safety net program, we have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to those farmers and ranchers," he said.
Despite the global economic crisis and occasional disputes over trade issues, sales of U.S. farm and processed food products to China are thriving, with exports in 2007 totaling $9.4 billion, according to U.S. figures. Imports of such products from China totaled nearly $8 billion.
Chinese consumers wary of domestic processed foods after a slew of food safety scandals are becoming more open to imports, and increasingly able to afford them.
"Our food system is reliable, efficient and transparent to all," Schafer said. "This is our edge, and this is how we stand out with American products."
Processed and ready-to-use foods are finding new markets among China's 1.3 billion people, with sales leaping by five and six-fold for some products as hotels, restaurants and individual consumers increasingly rely on precooked sauces, baking mixes, canned food, dried fruit and fish fillets, Schafer said.
Turkeys, popcorn, cheese, sausages, ketchup - plenty of U.S. staples were on show in Shanghai.
Still, the hundreds of exhibits from other countries - Italian pastas and cheeses, Greek olive oils, Belgian chocolates, and wines from around the globe - underscored the lively competition U.S. food makers face from their international rivals.
The more the better, said Schafer, given concerns over food supply and population growth.
"It's important that all countries in the world move toward policies that increase food production," he said.
Job losses mount as economic picture worsens
Email this StoryDec 6, 7:50 AM (ET)By JEANNINE AVERSA

(AP) Alex Silverman of Great Neck, NY, who lost his job 14 months ago at WaMu Capital Corp. speaks with...Full Image
if (NAV_NS&&NAV_VER");
else document.write(" ");


var fiMaxNumSponLinks = 5;
var fiSponLinksDivHgt = 195;
var fiSponLinkTarget = new Array();
var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 new Object();
globHtmlWriteSponSideBar1Obj.type = '8';
fiSponLinkTarget[0]= new Array('gca_sidebar1',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fiSponLinkTarget[1]= new Array('gca_sidebar1', globHtmlWriteSponSideBar1Obj);
//fiSponLinksChannelTag = 'excite_myway_news_js';
document.write('');

Google sponsored links

The Coming US Recession - What does it mean for our finances? How long will it last? Free reportwww.MoneyMorning.com/us_rece

Build Wealth w/ Canfield - Get from Where You Are to Where You Want to Be w/ a Success Coach Now!www.CanfieldCoaching.com
WASHINGTON (AP) - Record numbers of homeowners are falling behind on mortgage payments and the U.S. economy is losing jobs at an alarming rate with companies big and small slashing their work force.
A half-million American jobs disappeared month, the worst mass layoffs in more than three decades, as the nation spiraled downward in what could be the hardest hard times since the Great Depression.
Bush administration officials said Friday night that the White House is considering telling Congress as early as next week that it wants to tap the unused $350 billion of the financial industry bailout. It was not immediately clear how the administration might use the money.
General Motors, one of the Big Three automakers that went to Congress this week for a second time with hat in hand, announced it was cutting even more jobs.

(AP) Graphic charts monthly unemployment rate for the past 15 years; 1 c x 2 1/2 in; 46.5 mm x 63.5 mmFull Image
"The economy is in a free fall," said Richard Yamarone of Argus Research. "It is as if someone flicked off the switch on hiring."
Despite the gloom, investors found a silver lining, betting that so much bad news would force fresh government action to revive the foundering economy. The Dow Jones industrial rose 259 points.
But economists, staring at 533,000 lost jobs, were anything but hopeful. Since the start of the recession last December, the economy has shed 1.9 million jobs, and the number of unemployed people has increased by 2.7 million - to 10.3 million now out of work.
Some analysts predict 3 million more jobs will be lost between now and the spring of 2010 - and that the once-humming U.S. economy could stagger backward at a shocking 6 percent rate for the current three-month quarter.
"It's a mess," said Mark Zandi, chief economist at Moody's Economy.com. "Businesses, battening down the hatches, are concerned about their survival and are cutting workers."

(AP) Graphic charts monthly unemployment rate for the past 13 months;; 1 c x 3 1/2 in; 46.5 mm x 88.9 mmFull Image
President-elect Barack Obama said the crisis "is likely to get worse before it gets better," and no one was going to argue that point. Economists predicted the unemployment rate, which rose to a 15-year high of 6.7 percent in November, could soar as high as 10 percent before skittish employers begin hiring again.
The jobless rate would have bolted to 7 percent for the month if not for the exodus of 422,000 people from the work force for any number of reasons - going back to school, retiring or simply abandoning job searches out of frustration. When people stop looking, they're no longer counted in the unemployment rate.
The rate was at 4.7 percent just one year ago, 6.5 percent in October.
Employment shrank in virtually every part of the economy - factories, construction companies, financial firms, accounting and bookkeeping, architectural and engineering firms, hotels and motels, food services, retailers, temporary help, transportation, publishing, janitorial and building maintenance, and even waste management. The few fields spared included education, health care and government.
The United States - already in recession for a year, may not be out of it until the spring of 2010 - making for the longest downturn since the Great Depression of the 1930s, economists are now saying. Recessions in the mid-1970s and early 1980s last 16 months.

(AP) People looking for employment use computers in the resource center at the Super Jobs center,...Full Image
Unemployment peaked at 10.8 percent in 1982, terrible but still a far cry from the Depression, when roughly one in four Americans were out of work.
That said, more pain is certainly in store. Fresh evidence:
- A record one in 10 American homeowners with a mortgage was either at least a month behind on payments or in foreclosure at the end of September, the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reported.
- General Motors, already pleading with Congress for billions of dollars to survive the month, said it would lay off an additional 2,000 workers as it cuts shifts at three car factories starting in February due to slowing demand for GM cars.
President George W. Bush, who used the word "recession" for the first time to describe the economy's state, pledged Friday to explore more efforts to ease housing, credit and financial stresses.

(AP) A Sept. 16, 2008 file photo shows General Motors Renaissance Center headquarters building in...Full Image
"There is still more work to do," Bush said. "My administration is committed to ensuring that our economy succeeds."
President-elect Obama said the dismal job news underscored the need for forceful action, even as he warned that the pain could not be quickly relieved.
Employers are slashing costs as they cope with sagging sales in the U.S. and in other countries, which are struggling with their own economic troubles.
In recent days, AT&T Inc. (ATT), DuPont, JPMorgan Chase & Co. (JPM), as well as jet engine maker Pratt & Whitney, a subsidiary of United Technologies Corp. (UTX), and mining company Freeport-McMoRan Copper & Gold Inc. (FCX) all have announced layoffs.
Tom Solso, chief executive of Columbus, Ind.-based manufacturer Cummins Inc. (CMI), said Friday the company planned to cut 500 jobs, or about 3.5 percent of its work force despite other cost-cutting moves such as temporarily shutting down plants, shortening work weeks and extending holiday shutdowns.

(AP) A Sept. 16, 2008 file photo shows General Motors Renaissance Center headquarters building in...Full Image
Fighting for survival, the chiefs of Chrysler LLC, General Motors Corp. (GM) and Ford Motor Co. (F) returned to Capitol Hill Friday to again ask lawmakers for as much as $34 billion in emergency aid.
Workers with jobs did see modest wage gains in November. Average hourly earnings rose to $18.30, a 0.4 percent increase from the previous month. Over the year, wages have grown 3.7 percent, but paychecks haven't stretched that far because of high prices for energy, food and other items.
Federal Reserve Chairman Ben Bernanke is now expected ratchet down a key interest rate - near a historic low of 1 percent - by at least a half-percentage point on Dec. 16 in a bid to breathe life into the moribund economy. Bernanke is exploring other economic revival options and wants the government to step up efforts to curb home foreclosures.
Treasury Secretary Henry Paulson, whose department oversees the $700 billion financial bailout program, also is weighing new initiatives.
Obama, who takes office on Jan. 20, has called for a massive economic recovery bill to generate 2.5 million jobs over his first two years in office. House Speaker Nancy Pelosi, D-Calif., has vowed to have a package ready on Inauguration Day for Obama's signature.
The measure, which could total $500 billion, would bankroll big public works projects to create jobs, provide aid to states to help with Medicaid costs, and provide money toward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Top Stories: Business and Finance
©2008 Bloomberg News
Dec. 5 (Bloomberg) -- The following are the day's top business stories:
1. U.S. Stocks Rally as Hartford Leads Financial Shares After Profit Forecast 2. Employers in U.S. Cut 533,000 Jobs, Most in 34 Years, as Recession Deepens 3. GM, Chrysler May Need Twice Their Bailout Requests to Finance Bankruptcies 4. Mortgage Delinquencies, Foreclosures Rise to Record in U.S. as Prices Drop 5. Asian Stocks Post Weekly Decline as Global Recession Cuts Consumer Demand 6. Ellington Management Said to Split Flagship Hedge Fund, Dismiss Employees 7. First Georgia Community Bank Closed by Regulators in 23rd Failure of Year 8. Japanese Bonds Decline as Supply Concern Offsets Global Interest-Rate Cuts 9. Malaysia's Manufacturers May Face `Trying Time' Next Year Amid Recession 10.Mexico Will Speed Up Building Projects to Boost Economy, Ruiz Mateos Says 11.Taiwan's Dollar, China's Yuan Fall on Worldwide Economic Slowdown, Stocks 12.Sarkozy Morphs From `President Bling-Bling' to Champion of Working Class
1. U.S. Stocks Rally as Hartford Leads Financial Shares After Profit Forecast
U.S. stocks jumped, reversing an early slide, as Hartford
Financial Services Group Inc. led a rally in insurers after
increasing its profit forecast and saying it´s weathering the
credit crisis. Hartford, which tumbled 92 percent in 2008
before today, doubled and all 21 insurance companies in the
Standard & Poor´s 500 Index advanced. Prudential Financial Inc.
and MetLife Inc. climbed at least 22 percent as UBS AG said
they may benefit from potential regulatory changes. The gains
helped the market overcome a morning tumble spurred by
government data showing the nation lost the most jobs in 34
years last month as the recession deepened. "The bad news is
out; people know the economy´s lousy," said Barry James,
president of James Investment Research in Xenia, Ohio, which
oversees $2 billion. "The market is so oversold that we´re
entering into what I´d call a bear-market rally." The S&P 500
rose 3.7 percent to 876.07 after retreating 3.2 percent
earlier. All 10 industry groups advanced as the benchmark index
for U.S. stocks pared losses in its fourth weekly retreat since
October. The Russell 2000 Index of small U.S. companies climbed
4.9 percent to 461.09. The Dow Jones Industrial Average added
259.18 points, or 3.1 percent, to 8,635.42.
2. Employers in U.S. Cut 533,000 Jobs, Most in 34 Years, as Recession Deepens
U.S. companies slashed payrolls last month at the fastest
pace in 34 years as the economy headed for its deepest and
longest recession since World War II. Employers cut 533,000
jobs, bringing losses so far this year to 1.91 million, the
Labor Department said today in Washington. November´s drop
exceeded all 73 forecasts in a Bloomberg News survey. The
unemployment rate rose to 6.7 percent, the highest level since
1993. "It´s unbelievable," said Nariman Behravesh, chief
economist at IHS Global Insight in Lexington, Massachusetts.
"We´re well on our way to the worst recession of the postwar
period." The plunge may spur incoming President Barack Obama to
come up with an even bigger fiscal stimulus package than
economists´ projections of about $700 billion. Today´s figures
also will add to pressure on the Federal Reserve to take
radical steps to revive credit markets and on lawmakers to bail
out the auto companies.
3. GM, Chrysler May Need Twice Their Bailout Requests to Finance Bankruptcies
General Motors Corp. and Chrysler LLC would both need at
least twice as much to finance a bankruptcy as they say they
need in U.S. government bailout loans, Chrysler and a
restructuring expert said. Chrysler, which said today it hired
the Jones Day law firm to review bankruptcy as an option it
later rejected, would need $20 billion for bankruptcy financing
-- triple its $7 billion loan request -- according to a company
report to Congress. A GM bankruptcy would cost $40 billion to
$50 billion to finance, Edward Altman, a professor at New York
University´s Stern School, told Congress today. GM seeks $18
billion in bailout loans. "Unfortunately, this traditional
loan, even for $18 billion, is inadequate and is destined to
fail in the current environment and will likely be followed by
additional requests for more rescue funds or a bankruptcy
petition," said Altman. He urged the government to push banks
that received other bailout aid to provide needed bankruptcy
loans for carmakers. GM Chief Executive Officer Rick Wagoner
had the opposite view of bankruptcy, telling Congress that his
company wasn´t pursuing that option to solve its cash crisis
because it would scare away buyers and further siphon off
revenue, forcing liquidation. Even a government-backed
bankruptcy would be too difficult and risky, GM lead director
George Fisher has said.
4. Mortgage Delinquencies, Foreclosures Rise to Record in U.S. as Prices Drop
One in 10 American homeowners fell behind on mortgage
payments or were in foreclosure during the third quarter as the
world´s largest economy shed jobs and real estate prices
tumbled. The share of mortgages 30 days or more overdue rose to
a seasonally adjusted 6.99 percent while loans already in
foreclosure rose to 2.97 percent, both all-time highs in a
survey that goes back 29 years, the Mortgage Bankers
Association said in a report today. The gain in delinquencies
was driven by an increase of loans with payments 90 days or
more overdue. "Until we see a turnaround in the job situation,
we´re not going to see these numbers improve," said Jay
Brinkmann, chief economist of the Washington-based bankers
group, in an interview. "We´re seeing more loans build up in
the 90-days bucket as lenders work to modify loans and states
put in place programs that delay foreclosures." The U.S.
economy has shed 1.91 million jobs this year, while falling
home prices have made it difficult for people who can´t pay
their mortgages to sell their property. Payrolls declined in
each month of 2008 through November, the Labor Department said
today in Washington.
5. Asian Stocks Post Weekly Decline as Global Recession Cuts Consumer Demand
Asian stocks fell this week as the deepening global
recession slashed consumer demand, driving commodity prices
lower and dragging down materials companies and oil drillers.
BHP Billiton Ltd., the world´s biggest mining company, dropped
16 percent after oil fell more than $100 a barrel from its
record in July and copper prices slumped. Honda Motor Co. sank
21 percent as November U.S. sales plunged the most since 1981.
Surfwear maker Billabong International Ltd. tumbled 25 percent
in Sydney after cutting its earnings forecast as its U.S.
customers deferred deliveries amid the economic contraction.
"The world is in recession and earnings will fall next year for
most companies the world over, including Asia," said Hugh
Young, managing director at Aberdeen Asset Management Ltd. in
Singapore, overseeing about $45 billion. "Asia is in pretty
good shape for surviving, not in great shape for growing." The
MSCI Asia Pacific Index fell 3.8 percent to 79.52 this week.
Raw-materials producers had the biggest percentage decline
among the 10 industry groups.
6. Ellington Management Said to Split Flagship Hedge Fund, Dismiss Employees
Ellington Management Group LLC, an Old Greenwich,
Connecticut-based investment firm that focuses on mortgage
securities, split its flagship hedge fund into two and
dismissed about 16 employees, according to people familiar with
the matter. Hard-to-sell assets of Ellington Overseas Partners
Ltd. will be put into a separate fund where they will be sold
over time, said the people, who asked not to be identified
because the information is private. Steve Bruce, a spokesman
for Ellington, which employed about 160 people, declined to
comment. Hedge funds, reeling from their worst year in two
decades, are segregating assets after credit markets froze,
making it difficult to value or sell those holdings. At least
80 firms have shut down funds or limited investor withdrawals
after losses this year. "We will see more managers setting
aside assets," said Peter Green, a partner in New York at law
firm Lowenstein Sandler LLC, whose clients include hedge funds.
"It´s a good way for them to retain more of their assets
indefinitely."
7. First Georgia Community Bank Closed by Regulators in 23rd Failure of Year
First Georgia Community Bank of Jackson was closed by
regulators today, the 23rd U.S. bank seized this year, as
mortgage delinquencies and foreclosures surge to records amid a
deepening recession. First Georgia, with $237.5 million in
assets and $197.4 million in deposits, was shut by the Georgia
Department of Banking and Finance and the 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 was named receiver. United Bank of Zebulon,
Georgia, will assume First Georgia´s deposits and open the
failed bank´s four offices southeast of Atlanta tomorrow as
United branches, the FDIC said. "Deposits will continue to be
insured by the FDIC, so there is no need for customers to
change their banking relationship to retain their deposit
insurance coverage," the FDIC said. Regulators have closed the
most banks in 15 years, with the collapses of Washington Mutual
Inc. and IndyMac Bancorp Inc. among the biggest in history.
November was the busiest month in more than a decade, with five
institutions closed, matching the pace in July 1994, according
to the FDIC.
8. Japanese Bonds Decline as Supply Concern Offsets Global Interest-Rate Cuts
Japanese five-year government notes completed a second
weekly drop on concern the Ministry of Finance will increase
debt sales next year to fund economic- stimulus spending.
Five-year yields yesterday climbed from near the lowest since
April after the Nikkei newspaper said bond sales may exceed the
government´s 30 trillion yen ($325 billion) ceiling for the
year ending March 31. The Tokyo interbank offered rate for yen
loans, known as Tibor, increased for a 20th day yesterday,
adding to speculation higher costs will deter investors from
borrowing to buy debt. "Investors are very aware of next year´s
issuance plan so bonds tend to be weak this time of year," said
Takashi Nishimura, an analyst in Tokyo at Mitsubishi UFJ
Securities Co., a unit of Japan´s largest bank by assets.
"Tibor is one of the hurdles for the JGB market." The yield on
the 1 percent note due September 2013 rose one basis point this
week to 0.88 percent in Tokyo at Japan Bond Trading Co., the
nation´s largest interdealer debt broker. The price declined
0.048 yen to 100.550 yen. A basis point is 0.01 percentage
point.
9. Malaysia's Manufacturers May Face `Trying Time' Next Year Amid Recession
Malaysia's manufacturers may face a ``tough year'' in 2009
as the global recession cuts demand for computer chips,
components and electronic goods, a trade group said after a
survey of local businesses. Next year will be ``a very trying
time, a tough year,'' Mustafa Mansur, president of the
Federation of Malaysian Manufacturers, said in an interview in
Kuala Lumpur yesterday. ``We will feel the impact.''
Four-fifths of the respondents in the trade group's survey
expect new orders and sales forecasts will be ``strongly'' or
``moderately'' hurt by the global recession. Malaysia's
government on Nov. 4 announced a 7 billion-ringgit ($1.9
billion) spending package for public projects to support
economic growth that's set to slow to the worst pace in eight
years in 2009. Global economic outlook will worsen in the next
six to 12 months, according to 82 percent of the 113 companies
surveyed last month by the Federation of Malaysian
Manufacturers.
10.Mexico Will Speed Up Building Projects to Boost Economy, Ruiz Mateos Says
Mexico Economy Minister Gerardo Ruiz Mateos said the
government will accelerate infrastructure projects in a bid to
allay job losses caused by a global economic slump that has
reduced demand for exports. The government will spend $12.5
billion on roads, ports, railroads and other projects in the
first quarter of next year after delays on infrastructure
outlays in 2008, Ruiz Mateos, 43, said today in an interview
with Bloomberg Television. Officials are also studying new
programs to prevent layoff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create temporary jobs, he said. "In manufacturing we´ll
suffer the most in terms of jobs because of lower demand for
our exports," said Ruiz Mateos, who has a degree in industrial
engineering. "I see a very high probability of a radical change
in how the budget is applied in this country starting next
year." President Felipe Calderon is trying to alleviate the
impact of the slowdown in the U.S., which buys 80 percent of
Mexican exports, with a stimulus package worth 1 percent of
gross domestic product that includes spending on
infrastructure. Ruiz Mateos expects the economy to grow 1.5
percent to 1.8 percent next year, while a central bank survey
of analysts reported a median estimate of 0.38 percent.
11.Taiwan's Dollar, China's Yuan Fall on Worldwide Economic Slowdown, Stocks
Asian currencies fell this week, led by Taiwan´s dollar and
the Chinese yuan, after reports showed exports in the region
slumped because of recessions in the U.S., Europe and Japan.
Eight of the region´s 10 most-traded currencies excluding the
yen dropped this week as investors became net sellers of shares
from South Korea,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The Korean won,
Malaysia´s ringgit and Singapore´s dollar fell after
manufacturing in China, the fastest-growing major economy,
shrank by the most on record, damping regional trade outlook.
"Attention has been on the trade numbers" and that is likely to
see the Taiwan dollar weaken further, said Maya Pinto, an
economist at IDEAglobal in Singapore. "We´ve seen foreigners
exiting the stock market in the past three session." Taiwan´s
dollar declined 0.8 percent to NT$33.549, according to Taipei
Forex Inc., after reaching NT$33.612, the weakest level since
Oct. 28. The yuan´s five-day 0.7 percent drop to 6.8812 is the
steepest since a dollar peg was scrapped in July 2005. The
ringgit fell 0.4 percent to 3.6350, near the lowest in more
than two years.
12.Sarkozy Morphs From `President Bling-Bling' to Champion of Working Class
At 4 a.m. on Sept. 30, as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Holdings Inc. was shaking up investors on six continents,
President Nicolas Sarkozy convened an emergency meeting at the
Elysee Palace in Paris to broker the bailout of French-Belgian
bank Dexia SA. For an hour, he grilled Finance Minister
Christine Lagarde and Bank of France Governor Christian Noyer
on the terms of the 6.4 billion euro rescue plan, says François
Perol, Sarkozy´s economic adviser. One of his top requirements:
Dexia Chief Executive Officer Axel Miller must leave and
forfeit his 3.7 million euro severance paycheck. With that
gesture, Sarkozy, who took office pledging to instill a
work-hard, get-rich ethos in a country known for its disdain
for money, turned into something more familiar to the French: a
politician who intervenes in private companies, subsidizes jobs
and bashes the bosses. "By conveying the message that the state
can do better than free markets, Nicolas Sarkozy is appealing
to the French´s old instinct for protection," says Philippe
Waechter, chief economist at Natixis Asset Management in Paris.
"He seems to be turning his back on his reformist agenda meant
to give the French economy more inner resilience."
For the complete stories summarized here, and for more of the day's top news, see TOP .
BIS 8% 넘는 은행도 정부출자 추진
일본의 관련법 개정 사례 참고…비누적적 우선주 매입 검토
국내 은행이 부실 은행으로 전락하기 전에 자본을 선제적으로 확충해주는 방안을 정부가 검토 중이다. 또한 정부가 은행의 배당 부담을 비교적 덜어주면서 기본자본(Tier1) 확충이 가능한 비누적적 우선주를 매입해주는 복안도 자본 확충의 단계별 시나리오에 포함돼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현행 법령으로는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8% 밑으로 떨어져야 해당 은행에 적기시정조치를 취할 수 있지만 이처럼 부실 은행이 되기 전에 정부가 자본 확충에 나설 수 있는 근거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따른 것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1차적으로 은행의 자구 노력을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지만 정부가 은행에 선제적으로 자본을 주입하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이라며 "일본 사례 등을 참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은 은행의 BIS 비율 제고와 관련해 그동안 측면 지원을 강조해왔다. 한국은행의 은행 후순위채 매입, 주택금융공사의 은행 주택담보대출 인수, 자산관리공사의 부실채권 매입 추진 등이 그 예다. 대부분 국회 동의 절차 없이 은행 자본을 늘리고 위험가중치를 덜어주는 조치다. 정부가 한발 더 나가 직접적인 자본 주입을 검토하는 것은 내년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서다. 각 은행이 연말까지 BIS 비율을 11~12%까지 끌어올린다고 하지만 기업 여신과 부동산 대출 부실이 급격히 늘어나면 BIS 비율이 순식간에 한 자릿수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정부의 선제적 자본 주입을 위해선 법 개정이 필요하다. 현행 법률로는 정부가 BIS 비율 9~10%대에서 직접적으로 은행 자본 확충에 개입할 근거가 없기 때문이다. 예금자보호법과 금융산업구조개선법은 은행이 부실화됐거나 부실 가능성이 높을 때만 정부가 개입하도록 하는데 이때 부실 기준은 BIS 비율 8%를 적용한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일본의 '금융기능강화법' 사례를 참고하고 있다. 이 법은 은행의 요청이 있을 때 정부가 부실 은행에 직접 자본을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올해 들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자 일본 의회는 지원 규모를 늘리고 대상을 확대하는 개정안을 만들어 이르면 연내 통과시킬 전망이다. 개정안에 따르면 BIS 비율에 관계없이 은행이 건전성 강화를 위해 증자를 할 때 정부가 지원할 수 있고, 지원 대가로 은행에 요구했던 경영책임, 구조조정 등 조항도 크게 완화했다. 정부가 은행 자본 확충을 위한 측면 지원이 아닌 직접 개입에 나설 경우 비누적적 우선주를 매입하는 방안이 거론될 것으로 보인다. 누적적 우선주는 발행자가 배당 부담을 계속해서 가져야 하는 보완자본 성격인 반면 비누적적 우선주는 그런 부담이 없어 기본자본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상환우선주도 은행이 이익을 쌓아 만기 때 상환해야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보완자본에 포함된다. 예보법이나 금산법을 개정하는 것보다 속전속결로 특별법을 제정하자는 의견도 제기된다. 개혁 성향 경제학자들의 모임인 한국경제정책연구회는 지난달 27일 창립 심포지엄을 통해 '위기관리특별법' 제정을 제안했다. 특별법에 담길 내용은 금융기관에 대한 예금보험공사의 선제적 자금 지원을 비롯해 △(경제관료 교체를 전제로)기획재정부 장관에 한시적으로 재정ㆍ금융ㆍ외환정책 권한 부여 △한은의 자금지원 제한 철폐 등이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과 교수는 "특별법을 만들어 놓으면 나중에 위기가 닥쳤을 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며 "예보법이나 한은법 등 관련법을 일일이 개정할 게 아니라 특별법을 만드는 게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국책금융기관의 정부 출자금부터 늘리기로 했다. 기업은행에 대한 정부 출자금을 당초 정부안보다 5000억원 많은 1조5000억원으로 늘리고, 주택금융공사에 대한 출자금도 당초 2000억원에서 5000억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 <용어> 비누적적 우선주 = 보통주보다 우선적으로 지급돼야 할 배당이 당해 연도에 지급되지 않으면 다음 연도에 배당을 받을 수 없는, 즉 배당이 보전되지 않는 우선주를 말한다. [황인혁 기자 / 박만원 기자]

댓글 없음: